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18:56:05

내 분신이 거물이 되어간다/설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내 분신이 거물이 되어간다
내 분신이 거물이 되어간다
등장인물 설정 웹툰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배경3. 카르마 상점
3.1. 카르마 상점 Ver. 23.2. 카르마 상점 Ver. 3
4. 고유 스킬
4.1. 특성
5. 종족6. 지역
6.1. 아우테리카
6.1.1. 이온 대륙6.1.2. 에나멜 대륙
6.2. 강환계
7. 조직

1. 개요

웹소설 내 분신이 거물이 되어간다의 설정을 정리한 문서.

2. 배경


3. 카르마 상점

3.1. 카르마 상점 Ver. 2

사용하지 않은 카르마 포인트가 천만이 넘어서며 보상 특전으로 상점 Ver.2가 업데이트 되었다.

3.2. 카르마 상점 Ver. 3

사용하지 않은 카르마 포인트가 이천만이 넘어서며 보상 특전으로 상점 Ver.3이 업데이트 되었다. 카르마 상점의 물품구매에서 지구의 물건이 구매가 가능해졌다.

4. 고유 스킬

4.1. 특성

육체능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다른 흡혈인자를 획득할 때마다
계체의 혈계능력을 강탈하는 능력.
무엇이든 쉽고 빠르게 소화해 더욱 많이 먹을 수 있어지는 능력.

5. 종족

6. 지역

6.1. 아우테리카

6.1.1. 이온 대륙

아우테리카 차원에서 가장 거대한 땅. 지구의 유라시아 대륙과 비슷한 수준이다. 북부 산맥 쪽은 원래도 몬스터들이 많이 서식해서 도시를 세우기 부적합했었고, 거기에 3대 불사왕인 한스가 자리잡으면서 예전보다 더한 마경이 되었다.

6.1.2. 에나멜 대륙

원래는 바다 한가운데 있던 작은 섬이었으나 세계수가 자리잡은 이후 세계수의 권능으로 인해 이온대륙의 1/4가량의 크기로 늘어났다. 이곳에 엘프를 비롯한 드워프, 수인등 인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이종족이 살아가고 있다. 바다 건너 존재하기에 그동안 한번도 불사왕에게 침공당한 적이 없는 대륙이지만 역천의 서약의 모략에 의해 라이칸스로프들의 기습으로 세계수가 불탈 뻔한 이후 에나멜 대륙도 위기에 빠지는 국면에 접어든다. 이후 주인공이 번천회주가 아우테리카 차원으로 침입한다면 성지 아니면 세계수를 노릴거라 생각하고 방비를 강화했다. 다행히 실제로 노린 곳은 성지였기에 공격받진 않았다.

6.2. 강환계

7. 조직



[1] 1화에 TV패널들이 법으로 제정된 조항들이 실효성이 없다고 설전을 벌인다. 작중 강제전이 사태가 벌어지고 20여년이 지난 시점이라면 사태파악과 대비책 검토, 발의, 심의, 의결 및 개정까지 제도적으로 자리 잡기엔 짧다면 짧을 수도..[2] 초기에는 이세계에서 흡혈귀나 늑대인간 등의 힘을 얻고 돌아온 귀환자를 칭하는 말이었으나, 최근엔 저주나 사령술 등 힘을 악용하는 자들까지 의미가 확대되어 사용된다. 부정한 힘은 사용자의 정신을 오염시켜 범죄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3] 은하연맹의 군단장의 기함.[4] 은하연맹에도 하나뿐.[5] 어느 정도냐면, 사바천의 영웅인 윤지윤이 그 세계의 최고급 마도구들을 지원받아 그걸 가지고 귀환했는데, 다른 세계에서는 중급 마도구 수준이었다고..[6] 소드마스터나 대마법사 수준[7] 자아를 깨워준 초월자는 부모이기에 초월자가 사망해도 주인의 이상과 유사한 꿈을 품은 이에게 힘을 빌려주거나 탄생과 엮인 이념을 새로운 파트너에게 투영한다.[8] 성혈은 신앙의 대상, 진혈은 왕족(클랜의 수뇌부), 순혈은 귀족, 잔혈은 기사라고 볼 수 있다. 신혈은 아우테리카 차원에서 존재하지 않았었다.[9] 서번트는 시종이고 슬레이브는 이지를 상실한 괴물 정도로 보면 된다.[10] 한스와 율령자가 정신세계에서 나눈 대화에는 그들의 목적이 '귀환자들의 자유'와 '그들이 주도하는 세상'이며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다고 하지만 이 말이 사실인지는 확실하지 않다.[11] 심연의 언저리에 있었지만 모종의 사건으로 나오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