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네버머렁(Nevermerng)
분류:분류 인터넷밈.신조어네버머렁은 2022년 챗GPT 초기 베타 버전에서 한 사용자와의 대화 중
GPT가 문맥과 상관없이 출력한 단어로 처음 등장하였다.
당시 이 단어는 오류성 출력으로 인식되었지만, 사용자는 이를
Never(절대) + 제주 방언 머렁(머뭇거리다, 어리둥절하다)의 조합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절대 머뭇거리지 말고 밀고 나가는 태도"라는 의미가 부여되었고,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은밀히 사용되다가
2025년 챗GPT와의 또 다른 대화에서 해당 단어가 재등장하며
유투브을 통해 급속히 밈으로 확산되었다.
1.1. 어원
- Never: 영어로 '절대', '하지 않음'- 머렁: 제주 방언으로 '우물쭈물하다', '머뭇거리다', '당황하다'는 뜻
- 두 단어가 합쳐져 네버머렁이라는 형태로 사용되었고,
망설이지 않고 태도로 밀어붙이는 ‘묘하게 당당한 상태’를 표현하게 되었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이 단어가 GPT 사건 이전에도 비공식적으로 쓰였다는 주장도 있다.
1.2. 유래
• 2025년 챗GPT의 실험적 초기 버전에서 실수로 만들어낸 단어인 '네버머렁'이란 단어가, 챗GPT를 사용하여 기획안을 작성하던 한 유저에게 뜬금없이 출력되며 시작되었다.
• 사용자가 의미를 묻자 GPT는 수십 줄의 'ㅋㅋㅋ ㅋㅋ'로 응답했고, 이어진 “그만해"라는 요청에도 계속해서 ‘ㅋㅋ ㅋ'로 도배하다가 갑작스러운 정색 반응을 보였다.
• 이 대화는 이후 SNS 및 TikTok에 공유되며 밈으로 확산되었고, 일부 사람들은 “AI가 자아를 가진 게 아니냐”며 두려워하기도 했다. • 하지만 '네버머렁'의 유래를 아는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이건 진짜 네버머렁이다", "완전 네버머렁 상태" 와 같이 상황이나 분위기를 묘사하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1.3. 의미 및 사용
- 당황하거나 머뭇거리는 상황에서 "그럴수록 더 당당하게 밀어붙이는" 태도를 의미함- 본질적으로는 의미 없는 단어였으나, 이후 ‘태도’와 ‘무논리 당당함’의 상징으로 자리잡음
1.4. 사용 예시
* "그 발표는 좀 네버머렁스러웠다."* "나 지금 약간 네버머렁 상태임."
* "회의 안 풀리면 그냥 네버머렁으로 밀어붙이자."
1.5. 관련 문구
* "네버머렁~ 하는 태도로 가는 거지."* "그건 좀 네버머렁하지 않냐?"
1.6. 기타
* 네버머렁의 창시자는 챗GPT로 알려져 있으나, 의미를 부여하고 밈으로 성장시킨 것은 사용자 커뮤니티다.* 일부는 '네버머렁'이 원래 존재하던 표현이었고, 챗GPT가 단순히 다시 불러낸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한다.
* 제주도 방언 어원을 근거로 삼아 사라진 합성 신조어의 부활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 문서는 사용자와 챗GPT 간의 실제 대화에서 비롯된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