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22:43:25

노 맨즈 스카이/생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노 맨즈 스카이
파일:노맨즈스카이로고.png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노 맨즈 스카이의 컨텐츠
자원 종족 엑소슈트 함선
멀티툴 화물선 센티널 패치 내역
}}}}}}}}} ||

1. 개요2. 동물군
2.1. 육상
2.1.1. Anastomus2.1.2. Anomalus2.1.3. Bos2.1.4. Bosoptera2.1.5. Conokinis2.1.6. Felidae2.1.7. Felihex2.1.8. Hexungulatis2.1.9. Lok2.1.10. Mechanoceris2.1.11. Mogara2.1.12. Osteofelidae2.1.13. Prionterrae2.1.14. Procavya2.1.15. Protosphaeridae2.1.16. Prototerrae2.1.17. Rangifae2.1.18. Reococcyx2.1.19. Shaihuluda2.1.20. Spiralis2.1.21. Talpidae2.1.22. Tetraceris2.1.23. Theroma2.1.24. Tyranocae

1. 개요

노 맨즈 스카이에 등장하는 행성 내 토착 생물을 다루는 문서.
노 맨즈 스카이의 주 컨텐츠가 탐험과 발견인 만큼, 노 맨즈 스카이에는 방대한 종류의 생물들이 존재한다.
팬덤 위키에서는 동물군계를 Fauna(동물상)으로 통칭하며, Genus(속)으로 분류한다.

분석 바이저를 이용하면 미확인된 생물을 스캔하여 유닛과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동물군

대기권 내에서 생활하며, 활발한 동작이 가능한 생물. 주로 서식지에 따라 형태가 나뉜다.
플레이어에게 적대적인 생물일 경우 붉은 발자국으로 화면에 표시된다.[1]

2.1. 육상

대지 위에서 생활하며, 플레이어가 가장 자주 마주치게 될 생물. 대부분 길들일 수 있다.

2.1.1. Anastomus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주로 '스트라이더'라고 통칭되는 이족 보행 파충류. 대형종이 많으며, 상당히 희귀하다.
비정상적으로 긴 뒷다리 때문에 매우 큰 보폭을 지녔으며, 효율적으로 대지를 횡단할 수 있다.

2.1.2. Anomalus

길들일 수 있음
탑승 불가능
아노말리 행성에서만 발견되는 동물. 플라즈마 덩어리나 풍선, 부유하는 광물 등 전혀 유기체스럽지 않은 외모를 지녔다.
한 행성에서 하나의 종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2.1.3. Bos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게나 거미를 닮은 대형 절지동물. 땅 위를 기어다니거나 공중에서 부유한 상태로 존재하며, 몸에 집게나 사마귀의 흉부가 솟아 있는 경우도 있다. 주 서식지는 지상이나 지하 동굴이나 물속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이속이 상당히 빠르고 발소리가 거의 나지 않아 적대적일 경우 방어막 체력을 한두어 칸 정도는 내줄 각오를 해야 한다.

2.1.4. Bosoptera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육상/비행생물군 사이에 존재하는 중립적인 생명체. 거대한 딱정벌레 형상으로, 날개를 펼쳐 저고도에서 비행하거나 주위에 위험 요소가 없다면 대지에 안착해 쉬기도 한다. 상당히 희귀한 동물군.
일단 비행 능력을 보유했기 때문에 아무리 험난한 대지라도 손쉽게 가로지를 수 있으며[2] 기본 이속도 매우 빠르기 때문에 이동수단으로서의 입지가 매우 탄탄하다.

2.1.5. Conokinis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앞서 서술한 Bos와 매우 유사하나 몸집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부유종은 일체에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지상에서만 발견된다.
주로 무리를 지어 행동한다.

2.1.6. Felidae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현실의 대형고양이과와 매우 유사한 동물. 비늘이나 뿔 등 파충류적 요소가 추가되어 있으며, 개나 돼지 형태로 존재하기도 한다.
주로 4족보행형으로 발견되나, 매우 불안정한 형태로 2족보행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공격적일 확률이 높다.

2.1.7. Felihex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위의 Felidae와 유사한 형태를 지녔으나, 특이하게도 6족보행을 한다.

2.1.8. Hexungulatis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6족보행 포유동물. 발굽이나 특징적인 머리 등 현실의 소와 유사한 형태를 지녔으며, 파충류적 요소가 추가되어 있기도 하다.

2.1.9. Lok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불가능
주로 '블롭'이라고 불리어지는 생명체. 상당히 희귀하며, 다리가 없는 관계로 젤리마냥 통통 튀면서 이동한다.
팔레트 스왑을 거친 닥트리오나 민달펭이, 식물 등 외형 바리에이션이 많으며, 소형종이 많으나 탑승 가능한 대형종[3]도 일부 존재한다.
인게임에 블롭 관련 상품들이 많은 관계로 인기가 상당히 많은 듯.

2.1.10. Mechanoceris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호라이즌 제로 던을 연상케 하는 사슴형 로봇. 은하계 표준 사료인 생물체 정제 대신 이온 배터리를 섭취하며, 푸른 항성계에서 발견된다.[4]
발광 처리된 기계 부품과 늘씬한 형체가 매력적이라 컴페니언으로서의 입지는 최상위권에 속한다.

2.1.11. Mogara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불가능
주로 '그런트'로 불리어지는 인간형 이족보행 생명체. 흡사 테디 베어 같은 외모를 지녔으며, 희귀종에 속한다.
가끔씩 인게임 외계인 종족 중 하나인 겍과 유사한 형태로 등장해 '프로토겍'이라고 통칭되기도 하며, 뼈로 만든 가면이나 뿔, 심지어는 요정날개를 달고(...) 스폰되기도 한다.
주로 플레이어보다 작은 사이즈로 스폰되나 대형종 역시 존재한다. 기분이 좋으면 춤을 추기도 한다.

2.1.12. Osteofelidae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딱딱한 판으로 전신을 감싸고 있는 거대 생물체. 방추형/구형 몸통과 뼈와 돌로만 이루어진 신체로 알아볼 수 있다.
상당히 빠른 이속을 자랑하나 몸 전체를 격렬하게 흔드는 질주 모션을 지녔기에 1인칭 승차감은 최악이다.

2.1.13. Prionterrae

길들일 수 없음
탑승 불가능
땅을 헤치며 고속으로 질주하는 생명체. 휠구나 가오리, 삽 형태의 유기체 군집 등 다양한 외형을 지녔다.
빠른 이속 때문에 스캔하기가 가장 어려운 종 중 하나이다.

2.1.14. Procavya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파충류 요소를 덧붙인 거대 설치류. 굽은 등과 원추형 머리로 알아볼 수 있다. 개미핥기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기도 한다.
주 서식지는 지하/지상.

2.1.15. Protosphaeridae

길들일 수 있음
탑승 불가능
땅 위를 저속으로 굴러다니는 구형 유기체. 빛나는 축구공 형태부터 방어 자세의 공벌레, 뼈 고리나 눈알 군집(!) 등 다양하면서도 기괴한 외형을 지녔다.

2.1.16. Prototerrae

길들일 수 없음
탑승 불가능
땅에서 튀어나왔다 들어감을 반복하며 이동하는 군집형 괴생명체. 플레이어를 적대시하지 않는다.
외형으로는 거대한 촉수 무리나 가스 분출구, 스크랫 무리(...) 등이 존재한다.

2.1.17. Rangifae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긴 목과 거대한 몸집을 자랑하는 용각류 생명체. 주로 'Diplos'라고 불리어진다.

2.1.18. Reococcyx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현실의 사슴, 말과 유사하나 앞다리가 없어 스트라이더와 유사한 이족보행을 한다. 뿔이나 비늘로 덮여 있는 경우도 있다.

2.1.19. Shaihuluda

길들일 수 없음
탑승 불가능
랜덤으로 스폰되는 초거대 괴생물체. 주로 '샌드웜'이라 불리어진다. 등장 시 굉음과 함께 지반에서 도약하며, 귀가 찢어질 듯한 울음소리를 낸다. 이후 일정 거리를 비행한 뒤, 다시 땅을 뚫고 들어가며 일정 주기를 가지고 다시 도약한다.
인게임에서 가장 커다란 동물 중 하나로, 스캔은 불가능하다.[5]
플레이어에게 적대적이진 않으나, 플레이어 근처에서 스폰하며 몸집과 소음이 굉장히 큰 관계로 점프스케어를 유발할 수 있다.
주 서식지는 벌레 행성.
듄 시리즈를 읽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당연히 샤이 훌루드를 패러디한 생명체이다.

2.1.20. Spiralis

길들일 수 없음
탑승 불가능
항시 이동 상태인 드릴형 생물체. Prionterrae나 Shaihuluda와 비슷한 습성을 지녔다.
평소에는 땅 속에서 이동하며 지표면 위의 먼지밖에 보이지 않지만, 도약 시 착지 전까지 본모습을 일시적으로 드러낸다.

2.1.21. Talpidae

길들일 수 없음
탑승 불가능
저속으로 땅을 헤치며 이동하는 소형 생명체. 땅강아지나 두더지, 거북 형상을 하고 있다.

2.1.22. Tetraceris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4족보행을 하는 사슴형 동물. 매우 흔하다.

2.1.23. Theroma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곡공류형 동물. 코뿔소처럼 비대한 몸집에 높은 확률로 뿔이 돋아 있다.

2.1.24. Tyranocae

길들일 수 있음
탑승 가능
Rangifae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히 큰 몸집을 지닌 수각류형 동물.
높은 확률로 공격적인 성향을 지녔으며, 홀로 생활하거나 새끼들과 함께 행동하기도 한다.



[1] 생물체 정제를 미끼로 놔 주의를 돌릴 수 있으며, 길들일 수 있는 종이라면 이때를 기회로 길들일 수도 있다.[2] 산지 등 험준한 지형에서는 엑소트래프트보다 월등한 험지돌파력을 보여준다.[3]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대형종에는 구형 블롭과 Lesser Medow Crab이라는 Bos 유사종밖에 존재하지 않는다.[4] Mechanoceris가 서식하는 행성은 Anomalus와 유사하게 한 행성에 한두어 종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Mechanoceris 자체가 아노말리 행성에서 스폰하는 경우도 있다.[5] 분석 바이저로 관찰할 시 '불멸의 벌레', '거대 기생충' 등으로 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