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25 23:12:03

노래가락 차차차


1. 개요2. 가사

1. 개요

가수 황정자가 1962년 발표한 노래. 김영일[1] 작사, 김성근 작곡.

제목은 몰라도 노세노세 젊어서 노세~ 늙어지면 못노나니~는 다 들어봤을 것이다.

언뜻 가사 내용만 보면 탱자탱자 놀기나 하자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노래가 발표된 시기가 1962년도인 것에서 보듯 저 노랫말에 투영된 시대는 전쟁이 막 끝난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이다. 한창 전후복구니 재건이니 뭐니 하던 시대상이라 마음대로 놀고 싶어도 놀 수 없었던 시대의 애환이 담겨있는 가사인 것.[2]

지금도 어딘가의 야유회에서는 이 노래가 불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황정자 '노래가락 차차차'
주현미 '노래가락 차차차'

의과대학, 치과대학, 한의과대학, 수의과대학에서는 예과생들이 이 노래의 가사를 '노세 노세 예과 때 노세, 본과 가면 못 노나니'로 바꿔 부르기도 한다.

2. 가사

1절
노세노세 젊어서 노세[3] 늙어지며는 못노나니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
얼시구절시구 차차차(차차차)
지화자 좋구나 차차차(차차차)
화란춘성 만화방창 아니노지는 못하리라
차차차(차차차)차차차(차차차)

2절
가세가세 산천경개로 늙기나 전에 구경가세
인생은 일장의 춘몽 둥글둥글 살아나가자
얼시구절시구 차차차(차차차)
지화자 좋구나 차차차(차차차)
춘풍화류 호시절에 아니노지는 못하리라
차차차(차차차) 차차차(차차차)

[1] 金榮一, 1915~? 필명: 불로초. 일제시대 때 김두한과 종로에서 조선상인들을 보호해 주는 역할도 수행. 불효자는 웁니다(1940, 진방남), 찔레꽃(1942, 백난아), 댄서의 순정(1960, 박신자), 노랫가락 차차차(1962, 황정자), 쌍고동 우는 항구(1965, 은방울 자매)등 작사.[2] 시사영어사 영어 교과서에 "Koreans are diligent"(한국인은 근면하다)는 내용을 민영빈 사장이 굳이 집어넣은 것도 저런 시대상의 반영이다. 1970년대까지 한국은 새벽 5시면 일과가 시작해서 밤 10시에 끝나던 노동의 시기였기 때문.[3] 여담으로 발표 당시 최초 가사는 원래 놀아였다. 그런데 나중에 운율이 훨씬 더 잘 어울린다는 이유로 나중에 노세로 변경되었다. 이후 다른 가수들의 리메이크 버전에서도 다 노세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