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e2027><tablebgcolor=#de2027> | Nongshim RedForce 역대 시즌 | }}} | ||
| {{{#!wiki style="color: #de2027;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eam OGS | 2023 | |||
| Shadow Corporation | |||||
| Sin Prisa Gaming | 2024 ★★ | ||||
| Nongshim RedForce | 2025 ★ | ||||
| Nongshim RedForce 역대 시즌 | ||||
| Sin Prisa Gaming 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2026 시즌 |
1. VCT Pacific 스토브리그/2024
스토브리그가 시작되고 소성민 코치, 제리와의 계약을 종료하였고 2부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올라온 SPG의 로스터가 1부에서 통할지가 팬들과 퍼시픽팀 모두의 관심사가 되었다. 하지만 구단의 규모상 어쩔 수 없이 선수 유출을 걱정하는 상황이 많았으며 담비를 중심으로 스토브의 뜨거운 감자가 될 것처럼 보였으나, 최종적으로 별다른 소식 없이 기존 로스터 유지에 성공하였다.SPG의 1부승격과 동시에 관심사는 선수 유출 걱정도 있지만 큰 구단에 인수되는 것에 대한 기대치가 많았으며 팬들이 각종 구단을 언급하며 SPG가 어느 이름으로 바뀔 것인가, 아니면 이름이 유지될 것인가로 많은 이슈가 되었지만 별다른 소식이 없었고 기존 챌린저스 구단들도 전부 10월말부터 열리는 챌린저스 스테이지 3 참가를 확정짓는 로스터를 공개하였기 때문에 구단 인수 관심사가 사그라들었다. 하지만 SPG 선수들이 X에 계약을 암시하는 글을 게시하였고 얼마지나지 않은 11월 21일, 그동안 VCT 로스터를 유출했던 썰쟁이 '탄메이'가 SPG가 현재 챌린저스에 참가중인 농심 레드포스에게 인수되어 2025 시즌부터 농심 레드포스로 퍼시픽 리그에 참여할거라는 소식을 전하였다. #
이후 11월 26일, 라이엇의 공식 성명문을 통해 농심 레드포스가 SPG를 인수하기로 결정하며 오피셜이 되었다. #
2. 2025 VCT Pacific Kickoff
| <colbgcolor=#01d2d7> | |||||
| 라운드 | 상위 1R | 상위 2R | 하위 1R | 하위 2R | 하위 3R |
| 팀 | | | | | |
| 승 | 2 | 1 | 2 | 2 | 1 |
| 패 | 0 | 2 | 1 | 1 | 2 |
| 결과 | <colbgcolor=#87cefa,#365264> 승 | <colbgcolor=#ffaaaa> 패 | <colbgcolor=#87cefa,#365264> 승 | <colbgcolor=#87cefa,#365264> 승 | <colbgcolor=#ffaaaa> 패 |
첫 경기 제타 디비전을 상대로 화끈한 경기력을 선보이면서 2대0 완승을 거두며 임팩트 있는 퍼시픽 데뷔전을 가졌다.
2라운드 DRX전에선 확실히 퍼시픽의 기대주라 평가받는 이유를 보여줬으나 노련함에서 밀리면서 DRX에게 패하고 하위조에 진출했다.
하위조 1라운드에선 어센션 결승에서 맞붙었던 붐과 리매치를 가졌고, 그 때와 마찬가지로 치열한 승부 끝에 2대1로 신승을 거두었다. RRQ와의 경기에선 2세트 무려 42라운드라는 퍼시픽 역사상 최장 라운드 기록을 세우고 22대20로 기어이 승리를 따내고 기세를 이어 3세트 펄에서도 승리를 거두며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탈론과의 맞대결에선 그간 경기들로 인해 프로스트의 분석력에 힘입은 탈론이 농심의 택틱을 파훼하면서 2대1로 석패했다.
3. 2025 VCT Pacific Stage 1
4. 2025 VCT Pacific Stage 2
시즌 시작 전 TEC로부터 Rb를 영입하였고, T1 아카데미 감독이자 이전 신 프리사 게이밍 시절 코치였던 성민 코치를 재영입했다.
이에 따라 마가렛이 스테이지 2 기간 동안 비활성화되었다.
- vs TS 2 : 1 승리
| (2025. 07. 15.) | |||||||
| Nongshim RedForce | 2 | 1 | Team Secret | ||||
| × | ○ | ○ | ○ | × | × | ||
| 1승 | 결과 | 1패 | |||||
- vs DRX 1 : 2 패배
| (2025. 07. 18.) | |||||||
| DRX | 2 | 1 | Nongshim RedForce | ||||
| ○ | × | ○ | × | ○ | × | ||
| 1승 1패 | 결과 | 1승 1패 | |||||
- vs RRQ 1 : 2 패배
| (2025. 07. 26.) | |||||||
| Rex Regum Qeon | 2 | 1 | Nongshim RedForce | ||||
| × | ○ | ○ | ○ | × | × | ||
| 2승 1패 | 결과 | 1승 2패 | |||||
- vs GE 2 : 0 승리
| (2025. 08. 03.) | |||||||
| Nongshim RedForce | 2 | 0 | Global Esports | ||||
| ○ | ○ | - | × | × | - | ||
| 2승 2패 | 결과 | 1승 3패 | |||||
- vs GEN 2 : 0 승리
| (2025. 08. 08.) | |||||||
| <bgcolor=#000,#000> Gen.G | 0 | 2 | Nongshim RedForce | ||||
| × | × | - | ○ | ○ | - | ||
| 3승 2패 | 결과 | 3승 2패 | |||||
| 플레이오프 진출 | |||||||
농심이 엄청난 분석과 심리전 끝에 젠지를 무려 셧아웃 내며 자력으로 플레이오프 진출 확정과 함께 최소 어센션 진출을 확정지었다.
5. 2025 VCT Ascension Pacific
T1에게 패배하며, 5~6위로 마무리, BOOM과 함께 Pacific 게스트로 어센션에 참가하게 되면서 잔류 혹은 다시 챌린저스로 내려가야하는 상황에 놓였다. 자칫하면 올해 1시즌만에 챌린저스부터 어센션에서 이 퍼시픽까지 본선까지 올라왔던 그 미라클런이 한순간에 다시 강등될수도 있는 상황인지라 굉장히 부담스러운 위치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그래도 같은 승격팀인 붐과의 경기력을 비교해 봤을 때 농심의 경기력은 꽤나 훌륭했기에 이번 어센션에서 우승하여 내년에도 잔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받는다.~그리고 어센션을 앞두기 전 9월 4일 margaret 선수가 계약종료를 하였고#1 다음날 9월 5일날 ValAnalysis 코치가 계약종료를 발표하면서 변수가 생겼다. #2
오메가 그룹으로 편입되면 NAOS, FS , RID , VLT와 같은조가 되었다. 최근에 선수의 계약종료와 그리고 코치가 떠나보내면서 어느때보다 그 공백을 메우고 잔류를 걸어야하는 입장이 되었다. 하지만 첫상대에서 NAOS에게 0대2로 완패하며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줬다. 페르시아가 건강 상의 이슈로 엑스로스가 출전했는데 1세트 헤이븐에서 13대7로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더니 이후 2세트에서도 급격한 포지션 변경이라는 메타를 적응하지 못하고 또다시 전맵과 마찬가지로 무기력하게 패배한 모습이었다.
이후 같은 1패를 하고 있던 FS을 만났고 어떻게든 1승을 거두면서 다시한번 만회를 해서 넘어야하고 2패당하면 자칫 하위리그로 다시 강등당해야하는 엄청난 부담감으로 쏠리게 될것이다. 1세트에서 선셋에서 연장까지 끌고가서 선취했고 2세트에서는 어비스에서 풀라운드까지 가는끝에 11대13으로 패배하며 3세트로 향했고 3세트에서도 결국 연장까지 가는끝에 프란시스가 결국 마무리를 하며 결국 매치 진땀승을 하며 1승 1패로 한숨 돌리는데 성공한다.
세번째 매치였던 RID을 만나 1세트 로터스에서 담비의 네온의 맹활약의 힘으로 13대6로 승리를 챙겼고 2세트에서도 프란시스가 흔들리면서 기분이 묘하게 흔들렸지만 레이즈로 맹활약으로 담비가 2세트내내 MVP를 따내면서 2대0 완승을 거두며 상위권을 향한 발걸음을 마련했고 마지막 VLT를 상대로 1세트에서 아이비의 힘으로 이끌어나갔지만 결국 절약왕까지 선전했지만 결국 로터스에서 패배하면서 결국 3위가 확정되었고 이후 2,3세트에서 내리 승리를 거두면서 결국 마무리를 지었다. 3위로 간신히 막차를 탔지만 결과적으로 아쉬운 성적인데다가 NAOS에게 덜미잡힌것이 가장 치명적인데다가 득실 관리까지 아쉬움으로 남았다는 평이다.
본인들을 3위로 만들어버렸고 최근에 오메가 그룹에서 마지막으로 매치를 승리를 거뒀던 VLT를 만나게 되었다. 어떻게든 3번의 매치를 이겨야하는 도장깨기의 숙제가 떨어졌고 패배하면 자동적으로 다시 챌린저스 코리아로 강등이 확정되기 때문에 어느때보다 절박한 매치라도 볼수 있다.
VLT와 MTV를 이김에 따라 하위조 승격전에 진출하게 되었고 결국 SLT에게 0대3으로 완패를 당한 BOOM과 다시 한번 승격과 강등을 놓고 최후의 단두대 매치를 펼치게 되었고, 1세트 패배 이후 내리 3개의 세트를 연달아 승리, 2026 VCT 잔류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