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인터넷 밈 중 하나. "니 말이 맞음."을 줄여서 니말맞으로도 불린다.[1] 반대로 반박시 니말이 틀림도 있다.2. 상세
짤방에서 "영원한 행복의 비결"을 묻는 질문자에게 노인은 "바보들과 논쟁하지 않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에 "전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고 답하자 노인은 질문자와 논쟁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네. 당신 말이 옳습니다."라고 답한다. 연로한 구루가 초연한 모습으로 자신이 한 말을 바로 구체적으로 실행해서 질문자를 바보로 만드는 게 재미있으면서도 은근 뼈가 있어서 해당 짤방은 인기를 얻었다.
다만 원 짤방이 의미하는 바와 실제 용례는 크게 차이가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상술하였듯 '질문자로 바보로 만드는 게 재미있다' 는 것이 이유로 밈이 퍼졌는데, 이로 인해 정신적인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자 상대와의 토론을 피한다는 원래 의도가 상실되었다. 달리 말하자면 상대와의 논쟁에서 이기고 싶지만 논쟁이 끝없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상대를 비난하고자 하는 의도로 사용된다 고 볼 수 있다. 인신공격이 밈의 형태를 빌리고 있는 셈.
그나마 밈이 유행한 초기에는 '어그로를 피한다' 는 식의 합리화가 인정되는 듯한 분위기였지만, 차츰 내가 옳다는 식으로 되려 어그로들이 즐겨쓰는 모순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사실상 논쟁의 패배 선언 정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른바 쿨찐 들이 즐겨쓰는 자기합리화성 멘트로 정착된 셈. 사실 조금만 생각해보면 당연한 것이, 밈의 원래 의도대로 스트레스를 피하고자 하면 논쟁을 그만두고 인터넷 브라우저를 닫는 편이 낫다. 굳이 이겨먹자고 밈의 위력을 빌리는 시점에서 본인이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자백하는 꼴.
3. 여담
- "그래, 니 잘났다"라고 하는 문장이 어감이 좋지 않고 싸움을 유발하기 때문에 돌려서 말한 것이 바로 "당신 말이 옳습니다."이다.
- 비슷한 느낌의 일화는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오래 전부터 있었다. 유명한 한국의 사례로는 황희에게 전해지는 야사가 있다.[4]황희 정승이 공무에 잠깐 짬을 내어 집에 있을 때, 여종 둘이 서로 시끄럽게 싸우다가 잠시 뒤 한 여종이 와서 "아무개가 저와 다투다가 이러이러한 못된 짓을 하였으니 아주 간악한 년입니다"라고 일러바쳤다. 그러자 황희는 "네 말이 옳다"고 하였다. 또 다른 여종이 와서 꼭 같은 말을 하니 황희는 또 "네 말이 옳다"고 하였다. 마침 황희의 조카(또는 아내)가 옆에 있다가 답답해서 "아무개는 이러하고 다른 아무개는 저러하니 이 아무개가 옳고 저 아무개가 그릅니다. 대체 어디가 맞는 것이옵니까?" 하며 나서자 황희는 다시 또 "당신 말도 옳다"고 하며 독서를 계속하였다.
- 논쟁이 잦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늘상 있는 일이기도 하다. 물론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상 "당신 말이 옳습니다" 같은 존댓말은 안 쓰고 반박 시 니 말이 맞음 같은 말로 바뀌어서 쓰인다.
- 기출변형으로 대사를 바꾼 버전도 있다.
- 가끔 싸움을 피하지 않는 용자들은 "반박시 내 말이 맞음."이라고 하면서 정면승부를 거는 경우도 있다(…). 당연히 이런 경우는 보는 상대의 분노는 몇 배로 커지기 때문에 개싸움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박시 니 말이 틀림."이라는 버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