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31:29

대만어/음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만어
1. 개요2. 천주어, 장주어3. 성모4. 운모5. 성조6. 관련

1. 개요

민남어(閩南語)의 일파인 대만어의 음운에 대해 서술하며, 대만어의 로마자 표기는 별도 표시가 없는 한 "대만어 로마자 병음"[1]으로 한다.

2. 천주어, 장주어

중국 명, 청 시대에 푸젠성의 천주부(泉州府)[2], 장주부(漳州府)[3]에서 각각 대만으로 이주하여 대만 인구의 44.8%, 35.2%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들이 사용하던 민남어 계통 방언들이 대만으로 가 대만어를 이루게 된다. 천주와 장주에서 쓰이는 언어(천주어, 장주어) 모두 민남어의 일파인 복건어(福建話)의 일부이지만, 두 지역에 방언차가 존재해 이것들이 유입되어 형성된 대만어 내부에서도 지역에 따른 발음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대만 내에서 발생한 인구 이동, 교류 등으로 인해 각 방언들이 섞이면서, 천주어와 장주어가 섞인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의 발음차가 나타나게 된다. 아래 그림은 천주어 - 혼합형 - 장주어 세 단계의 대략적인 분포를 보여주는 것이다. 붉은 색에 가까운 것이 천주어, 파란 색이 장주어, 분홍색이 혼합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28px-Taiwanese_Hokkien_Map.svg.png
실제로 좀 더 세분화해서 구분할 때는 아래와 같이 한다. 위로 갈수록 천주어에 가깝고 아래로 갈수록 장주어에 가깝다.
이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억양은 타이난(臺南), 가오슝(高雄), 타이둥(臺東) 통용 억양[5]이며 그 다음은 타이베이(臺北), 신주(新竹) 억양이다. 중화민국 교육부에서 만든 대만어 사전#에서는 가오슝 억양을 기준으로 한 발음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가오슝 억양을 기준으로 한 대만어의 음운을 보여주도록 한다.

진먼현의 민남어 방언인 진먼화(金門話)도 대만어의 일부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는데,[6] 진먼화는 대만어 중에서는 루강 억양과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성모

표준 중국어와 같이 음절의 처음에 오는 자음을 성모라고 하며, 21개[7]의 성모가 존재한다.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양순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청음 탁음 청음 탁음 청음 탁음 청음 탁음 청음
비음 m
[m]
n
[n]
ng
[ŋ]
파열음 무기음 p
[p]
b
[b]
t
[t]
k
[k]
g
[g]
([ʔ])
유기음 ph
[pʰ]
th
[tʰ]
kh
[kʰ]
파찰음 무기음 ts
[ts]
j
[dz][b]
tsi
[tɕ]
ji
[dʑ][b]
유기음 tsh
[tsʰ]
tshi
[tɕʰ]
마찰음 s
[s]
si
[ɕ]
h
[h]
설측음 l
[l][a]

대만어에서 눈에 띄는 성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4. 운모

표준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운두(韻頭), 운복(韻腹), 운미(韻尾)의 세 요소로 나뉘며, 각 순서대로 결합해 하나의 운모를 완성한다. 운복의 경우 특이하게 비모음인 비음운복, 성절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자음운복도 존재한다.
운미가 없거나 모음일 경우 음성운(陰聲韻), 비음 계열 운미가 붙을 경우 양성운(陽聲韻), 입성 계열 운미가 붙을 경우 입성운(入聲韻)이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결합 가능한 운모 조합을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음성운 양성운 입성운
-m -n -ng -p -t -k -h
a
[a]
ann
[ã]
am
[am]
an
[an]
ang
[aŋ]
ap
[ap̚]
at
[at̚]
ak
[ak̚]
ah
[aʔ]
annh
[ãʔ]
ai
[ai̯]
ainn
[ãĩ̯]
aih
[ai̯ʔ]
ainnh
[ãĩ̯ʔ]
au
[au̯]
auh
[au̯ʔ]
e
[e]
enn
[ẽ]
eh
[eʔ]
ennh
[ẽʔ]
i
[i]
inn
[ĩ]
im
[im]
in
[in]
ing
[iə̯ŋ]
ip
[ip̚]
it
[it̚]
ik
[iə̯k̚]
ih
[iʔ]
innh
[ĩʔ]
ia
[i̯a]
iann
[ĩ̯ã]
iam
[i̯am]
ian
[i̯ɛn]
iang
[i̯aŋ]
iap
[i̯ap̚]
iat
[i̯ɛt̚]
iak
[i̯ak̚]
iah
[i̯aʔ]
iannh
[ĩ̯ãʔ]
iau
[i̯au̯]
iaunn
[ĩ̯ãũ̯]
iauh
[i̯au̯ʔ]
io
[i̯ə]
ioh
[i̯əʔ]
iong
[i̯ɔŋ]
iok
[i̯ɔk̚]
iu
[i̯u]
iunn
[ĩ̯ũ]
iuh
[iuʔ]
iunnh
[ĩ̯ũʔ]
o
[ə]
oh
[əʔ]
oo
[ɔ]
onn
[ɔ̃]
om
[ɔm]
ong
[ɔŋ]
op
[ɔp̚]
ok
[ɔk̚]
ooh
[ɔʔ]
onnh
[ɔ̃ʔ]
u
[u]
un
[un]
ut
[ut̚]
uh
[uʔ]
ua
[u̯a]
uann
[ũ̯ã]
uan
[u̯an]
uat
[u̯at̚]
uah
[u̯aʔ]
uai
[u̯ai̯]
uainn
[ũ̯ãĩ̯]
ue
[u̯e]
ueh
[u̯eʔ]
ui
[u̯i]
m
[m̩]
mh
[m̩ʔ]
ng
[ŋ̍]
ngh
[ŋ̍ʔ]
일부 운모는 운미가 결합할 때 운복의 음이 달라지기도 한다. ian과 iat은 각각 [i̯ɛn]과 [i̯ɛt̚]으로 발음되며 ing과 ik은 각각 [iə̯ŋ]과 [iə̯k̚]으로 발음된다.

5. 성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aiwanese_tones.png
대만어는 성조가 8개로, 대만 북부와 남부에서 성조의 발음이 미묘하게 다르지만 큰 차이는 없다.

그런데 6성(양상)은 천주어 등 일부 지역의 방언을 제외하고는 2성(음상)으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성조가 7개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실제로 로마자로 표기할 때도 6성을 표기하는 기호가 따로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수 성조인 9성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일어난다.
표준 중국어처럼 성조의 변화가 있는데, 표준 중국어보다 훨씬 복잡하고 광범위하게 일어난다.

기본 규칙: 글자 하나하나를 단독으로 읽는 경우, 뒤에 주격보어나 목적어가 오지 않는 동사의 끝음절, 대명사[17], 장소나 시간 표현의 끝음절, 의문사의 마지막 음절, 的(ê) 바로 앞 음절, 경성[18] 바로 앞 음절 등에선 성조가 바뀌지 않는다. 성조가 변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도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2 h
4
↑↓ ptk
7 3
h
8

(남부)
5
(북부)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a -> ā
á ->a
à -> á
ah -> á
a(pkt) -> a'(pkt)
â -> à(북부) / ā(남부)
ā -> à
a'h -> à
a'(pkt) -> a(pkt)

그러나 咧teh, 欲beh, 較khah, 閣koh는 각각 te, be, kha, ko로 변한다.

접미어 仔(á) 앞에 오는 성조는 기본 규칙과는 다르게 변화한다.
도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2, 3 1 h
4
↑↓ ptk
5 7
h
8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시는 기존과 달라진 규칙이다.

a -> ā
á -> a
à -> a *
ah -> a *
a(pkt) -> a'(pkt)
â -> ā
ā -> ā *
a'h -> ā *
a'(pkt) -> a(pkt)

예시:[22][23]
我的襪仔是殕色。(내 양말은 회색이다.)
기본 성조: Góa ê boe'h-á sī phú-sik
실제 발음: Góa ē bōe-á sì phu-sik

我欲食菜頭粿。(나는 채소떡을 먹고 싶다.)
기본 성조: Góa beh chia'h chhài-thâu-kóe
실제 발음: Goa be chià chhái-thāu-kóe

伊誠會使講臺語。(그는 대만어를 정말 잘한다.)
기본 성조: i chiâⁿ ē-sái kóng tâi-gí
실제 발음: ī chiāⁿ è-sai kong tāi-gí

彼牛肉麵鹹鹹鹹。(저 우육면은 짜디짜다.)
기본 성조: he gû-bah-mī kiâm-kiâm-kiâm
실제 발음: hē gū-bá-mī kiäm-kiām-kiâm

6. 관련

대만민어(와 영어 자막으)로 설명하는 유튜브 채널#이 있다.


[1] 대만 민남어 로마자 병음 방안, 臺灣閩南語羅馬字拼音方案. 민남어 백화자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표기법으로 현재 대만 교육부의 공식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에서 사용되는 확장 라틴 문자는 위의 복사용 문자들을 볼 것.[2] 지금의 취안저우 시.[3] 지금의 장저우 시.[4] 지금의 장화 현 일대.[5] 천주어와 장주어가 섞였지만 장주어에 조금 더 가까운 형태[6] 진먼화는 원래 샤먼시의 민남어 방언인 사먼화의 한 갈래다. 샤먼 관내에서 쓰이는 샤먼화도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진먼화는 퉁안구의 방언인 퉁안화와 가장 가깝다.[7] 또는 영성모 [ʔ\]까지 합해서 22개[a] 학자에 따라 [ɾ\]로 보기도 한다.[b] [dz\]나 [dʑ\]는 가오슝에서 [z\]나 [ʑ\]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10] ts, tsh, s, j가 i 앞에 오면 치경구개음으로, 그 외에는 치경음으로 발음한다는 뜻이다. 참고로 일부 억양에서는 아예 l과 합쳐져서 j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대만어 성모가 j인 한자는 l로도 발음할 수 있다.[b] [b] [a] [14] 입성(음입과 양입) 표기에 보이는 h(/ʔ/)는 입성 운미들 중 대표로 나타낸 것이다. 음입과 양입의 운미로는 h 외에 p, t, k도 올 수 있다. 이 네 자음 중 하나로 끝나면 무조건 음입 아니면 양입이다. 음절이 자음으로 안 끝나거나 h, p, t, k 외 다른 자음으로 끝날 경우 입성이 아닌 다른 성조 중 하나다.[15] 자세한 사항은 대만어/문법 참조[16] 중간 음절은 아래의 규칙에 따라 1성에서 7성으로 변했다.[17] 단 주어/겸어로 쓰이거나 ê 바로 앞에 올 땐 성조가 변한다.[18] 대만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대부분 경성 앞에 --를 붙여서 구분한다.[19] 중국 본토의 민남어의 경우, 천주화에서는 3성으로, 장주화에서는 7성으로 변한다. 진먼화가 속한 샤먼화에서는 7성으로 변한다.[20] 중국 본토에서 사용되는 천주화에서는 5성으로 변한다. 장주화나 진먼화에서는 대만어와 똑같이 변한다.[21] 이하 운미가 h인 음절의 성조들은 모두 입성이 아닌 성조로 변화하면서 h 운미 발음이 없어진다.[22] 실제 발음대로 성조를 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 기본 성조대로 표기하고 읽는 사람이 알아서 규칙에 따라 읽어야 하며 여기서는 예시로 보여주기 위해 실제 발음대로 성조를 표기한 것이다.[23] 팁을 주자면,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이 익숙하지 않다면 白話字(Pe̍h-ōe-jī)로 쓰든 臺羅(Tâi-lô)로 쓰든 성조 표시는 부호 대신 숫자로 써서 외우는 것을 추천한다. 표준 중국어의 한어병음과 달리 성조 부호가 성조의 소리값과 연관이 별로 없어(예를 들면 á가 내려가는 발음이고 â가 올라가는 발음인 것) 부호로 표시하나 숫자로 표시하나 불편한 건 그게 그거이고 오히려 성조 변화 규칙은 성조를 숫자로 쓸 때 적용하기 더 편하다. 아래 예시처럼 쓰는 것 보단 Gua2 e5 boeh8-a2 si7 phu2-sik4 → Gua1 e7 boeh8-a2 si3 phu2-sik4 이렇게 쓰는 게 성조 변화를 볼 때 직관적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