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10:56:43

대진대학교/학부/공공인재대학

파일:대진대학교 시그니처 좌우조합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DUCC 상징
출신 인물 사건 사고 편의 시설 학교 법인
}}}}}}}}}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의 단과대학
대순종학대학 공공인재대학
보건과학대학 AI융합대학 공과대학 상생교양대학



1. 개요2. 사회복지학과3. 공공인재법학과4. 행정정보학과5. 아동학부6.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7. 문헌정보학과8. 폐지된 학과

1. 개요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연혁
1994대진대학교 경제학과, 경영학과, 신문방송학과, 문헌정보학과 신설
대진대학교 법학과 신설
1995대진대학교 경상학부 설립
대진대학교 법정학부 설립
1997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으로 통합, 사회복지학과 설립
2017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으로 분리

2. 사회복지학과

대진대학교 사회복지학과는 1997년 학과개설이후 1074명(25년 8월 졸업생 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유서깊은 4년제 전공학과이다. 교수진의 현장중심의 실무형 인재양성 교육이 특징이며, 졸업과 동시에 사회복지사 2급자격증을 취득하여 사회복지공무원이나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요양기관, 정신건강센터, 학교사회복지, 의료사회복지, 기업복지재단, 국민연금공단, 민간후원단체 등 다양한 분야에 취업이 가능하다. 졸업후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을 거쳐 전문사회복지사로서 취업의 기회가 확대되며 본 학과와 MOU를 맺은 의정부시, 포천시, 양주시, 동두천시, 고양시, 파주시 등 경기북부지역과 노원구, 강북구, 도봉구, 성북구 등 서울북부지역의 사회복지기관, 공무원, 공공기관 등에 많은 졸업생들이 취업하여 활동하고 있다.
학과에서는 학술제, 진로특강, 봉사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현장에 취업한 졸업생들과 학생들간에 활발한 교류를 통해 실무감각을 익히고 진로를 탐색하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학과 홈페이지 URL]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사회복지학과 소속 전임교원'
성명 직위 전공 세부전공 학위 취득대학
이수비 학과장 사회복지 정신건강 중앙대학교 (박사/2021)
김소희 교수 사회복지 노인복지 이화여자대학교 (박사/2005)
안치민 교수 사회학 복지정책 고려대학교 (박사/1992)
김희자 교수 사회학 복지정책 고려대학교 (박사/1996)
채용예정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사회복지학과 소속 비전임교원]
성명 직위 전공 세부전공 학위 취득대학
배종필 겸임교수 사회복지 연세대학교
유미선 초빙교수 사회복지 서강대학교
정명희 강 사 사회복지 이화여자대학교
유인경 강 사 사회복지

대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무엇을 배우나요?
사회복지의 이론–기술–정책–현장을 균형 있게 밟는 커리큘럼입니다.
▶ 기초 이론: 사회복지학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문제론, 사회복지발달사
▶ 실천/기술: 사회복지실천론·실천기술론, 사례관리론, 지역사회복지론
▶ 정책/행정/법: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법제
▶ 연구/데이터·평가: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자료분석론, 프로그램개발과평가
▶ 분야별 심화: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의료·정신건강 등
▶ 현장·진로 준비: 사회복지현장실습 I–II, 캡스톤디자인 I–II, 진로및취업상담 I–IV(학과 커리큘럼 내 편성)
타대학 사회복지학과와의 차별성
차별점 1 | 실무형 트랙이 교과에 ‘내장’
캡스톤·진로과목·현장실습을 전공 흐름 안에 배치 → 수업→프로젝트→취업 준비가 한 번에 이어지도록 설계. (전공교육과정 공지 참조) sw.daejin.ac.kr
차별점 2 | 경기북부 거점의 ‘현장 밀착’형 교육
경기북부 거점 캠퍼스가 경기도 포천시에 있어(경기북부), 지역 복지기관과의 연계·실습 접근성이 높음
차별점 3 | 자격·진로 로드맵이 명확한 맞춤형 교육
재학 중 이수로 사회복지사 2급 요건 충족(법정 과목 기준), 졸업 후 사회복지사 1급은 국가시험(Q-net) 응시·취득. 공무원 및 공공기관·민간 복지기관, 의료·정신건강 분야, 아동·노인, 기업 사회공헌 등으로 진출
차별점 4 | 단과대 융합으로 ‘정책–현장–소통’ 동시 강화
공공인재대학 소속으로 법·행정·아동·미디어 등 인접 전공과 교차학습/협업이 용이 →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에 강함
대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소개영상
[학과 소개영상 URL]
학과 연역
1997년 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02년 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계열 사회복지학과
2003년 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17년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아동학과, 사회복지학과
2021년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사회복지•아동학부 아동학전공, 사회복지전공
2023년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사회복지•아동학부 아동심리교육전공, 사회복지학전공
2025년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사회복지학과 분리, 사회복지학과







3. 공공인재법학과

대진대학교의 법학과이다. 파일:대진대학교 UI.svg
1994대진대학교 법학과
1995대진대학교 법정학부 법학과
1997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2002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계열 법학과
2003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2016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공공인재법학과
2017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공공인재법학과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공공인재법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 최종 학위 취득대학
최용전 학과장 공법 단국대학교 (법학 박사/1998)
소성규 교수 법학 한양대학교 (법학 박사/1995)
김도협 교수 헌법 Philipps - Univ. Marburg (법학 박사/2004)
최대호 교수 형사법 중앙대학교 (법학 박사/2010)
이종덕 교수 민법 Univ. Konstanz (법학 박사/2017)
}}}}}} ||

4. 행정정보학과

행정학, 정책학, 데이테베이스등을 배운다. 파일:대진대학교 UI.svg
1995대진대학교 법정학부 행정학과
1997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2002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계열 행정학과
2003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2017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행정학과
2019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행정정보학과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행정정보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 최종 학위 취득대학
김종래 학과장 정책이론 한양대학교 (행정학 박사/1995)
김정완 교수 행정학 전남대학교 (행정학 박사/1994)
허훈 교수 지역발전 건국대학교 (행정학 박사/1993)
김종수 교수 행정학 건국대학교 (행정학 박사/2000)
홍성우 교수 행정학 경희대학교 (행정학 박사/2007)
고대유 교수 행정학 경희대학교 (행정학 박사/2014)
}}}}}} ||

5. 아동학부

대진대학교 아동학부 아동심리교육전공 소개영상
아동학을 공부하는 학과로 과거에는 아동학은 인문과학대학 소속. 파일:대진대학교 UI.svg
1995대진대학교 인문학부 아동학과
1997대진대학교 인문대학 아동학과
1998대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아동학과
1999대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계열 아동학과
2002대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계열 아동학과
2003대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아동학과,
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17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아동학과
2021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사회복지•아동학부 아동학전공, 사회복지전공
2023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사회복지•아동학부 아동심리교육전공, 사회복지학전공
2025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아동학부 아동심리교육학과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아동학부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 최종 학위 취득대학
김영희 교수 아동심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1996)
박영아 교수 아동심리 및 교육 성균관대학교 (박사/2007)
최경 교수 아동학 성균관대학교 (박사/2010)
이혜원 교수 유아교육 덕성여자대학교 (박사/2005)
}}}}}} ||

6.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방송계열 학과로 인기가 많다. 파일:대진대학교 UI.svg
1994대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1995대진대학교 경상학부 신문방송학과
1997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2002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계열 신문방송학과
2003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2016대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017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 최종 학위 취득대학
조재현 학과장 광고홍보 중앙대학교 (박사/1996)
박은희 교수 신문방송학 서강대학교 (박사/1995)
이용준 교수 출판, 저널리즘 중앙대학교 (박사/1995)
조수선 교수 커뮤니케이션 이론 및 방법론 University of Alabama (박사/1996)
이정훈 교수 커뮤니케이션 Florida State University (박사/2006)
김태양 교수 HCI 성균관대학교 (박사/2013)
}}}}}} ||

7. 문헌정보학과

문헌학, 도서학등을 배울수 있다. 과거에는 인문과학대학 소속이었다. 파일:대진대학교 UI.svg
1994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1995대진대학교 경상학부 문헌정보학과
1997대진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1998대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2002대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인문과학계열 문헌정보학과
2003대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2017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문헌정보학과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문헌정보학과 소속 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 직위 전공 최종 학위 취득대학
장인호 학과장 정보학 성균관대학교 (문학 박사/1996)
박은희 교수 서지학 중앙대학교 (문학 박사/1995)
}}}}}} ||


8. 폐지된 학과

2017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공공서비스관리학과
2021대진대학교 공공인재대학 공공서비스관리학과(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