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서이초 사건으로 촉발된 대한민국의 교권 침해를 폭로한 사례를 다룬 문서2. 전개
대한민국에서 교권 침해 문제가 대규모 폭로로 이어지기 시작한 것은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 이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이 사건을 통해 이전부터 수면 아래에 존재했던 교권 침해 사례들이 잇달아 폭로되면서 당시 많은 교사들이 직접 거리로 나와 교육 활동 보호를 위한 집회에 참여했고 이 과정에서 악성 민원인의 명단을 수집하는 웹사이트가 개설되는# 등 사회 각 분야에서 교권 보호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다.3. 결과
이 사건을 통해 긍정적인 점은 그나마 많은 국민들이 교사들이 처한 현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사태가 대규모 폭로로 이어지자, 일부 악성 민원이 일시적으로나마 멈췄는지 민원이 뚝 끊어진 사례도 나왔다.하지만 여전히 교육 현장에서는 체감하는 변화가 적다는 교사들의 목소리도 존재하는데 2023년에도 교권 침해 건수가 500건을 넘어서는 등 여전히 교권 침해는 잊을만하면 이슈가 되고 있다.
4. 원인
교권 침해의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업무 절차 및 관련 법규에 대한 민원인의 몰이해'를 꼽을 수 있다. 이는 학부모들이 교사에게 부당한 지시나 요구를 하는 사례나 자녀의 기분이 상했다는 이유만으로 교사를 아동학대로 신고하는 사례는 교사들이 교육 활동 중에도 위협을 느끼게 하는 대표적인 예시라 할수있다. #또한, 2000년대 초중반까지 만연했던 교사의 '지나친 권위'와 '학생 체벌' 문제가 학생 인권 강조와 함께 변화하는 과정에서, 일부에서는 그 균형을 잃고 교사의 권한이 지나치게 약화되었다는 분석도 존재있지만. 자세한 건 대한민국의 교권침해와 공교실 붕괴 실태 문서 참고
5. 그 외
- 어처구니없게도 학생들이 조직적으로 교권 침해를 가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 의외로 '맘카페' 등 학부모 커뮤니티에서도 교사들을 지지하는 여론이 적지 않은데. 이는 학교 교사가 한 명의 학생만이 아닌 다수의 학생을 가르치는 직업적 특성을 어느 정도는 이해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