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27 14:16:47

대한민국 임시정부/군사



1. 1921년2. 1940년3. 1944년

1. 1921년

大韓民國臨時政府公報 第28號

朴熙成으로 陸軍飛行兵 參尉를 任함         七月 十八日
李用根으로 陸軍飛行兵 參尉를 任함         七月 十八日

2. 1940년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었다.

3. 1944년

大韓民國臨時政府公報 第83號에서 광복군 총사령부의 편제 등을 정하였다. 총사령으로는 정장(正將)을 두는데, 대한제국군의 정부참을 따라가면서 장성급까지 대장이 아닌 정장으로 표시한 게 특징이다. 부사관 역시 정교-부교-참교 대신에 정사-부사-참사로 바꾸었다.

지대 밑에는 하위 편제인 구대와 분대가 있다. 편제의 인원 내역을 살펴 보면 거의 전군 간부화처럼 간부 위주의 군대로 구성되어 있다.
[1] 지대본부에는 참장급인 지대장, 정령급인 부지대장이 있고 당시 중국의 영향을 받아 정치지도자를 참장으로 1인 두도록 되어 있다. 당시 중국은 좌우를 막론하고 정치장교나 이와 유사한 제도를 운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