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07 21:18:39

더 스파이크(모바일 게임)/스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더 스파이크(모바일 게임)
1. 개요2. 스킨
2.1. 스폐셜 니시카와
2.1.1. 블랙 썬더 니시카와
2.2. 레드아이즈
2.2.1. 하이스쿨 니시카와2.2.2. 트레이닝 남재현2.2.3. 웨딩드레스 이사벨
2.3. 청룡제
2.3.1. 대제자 류현2.3.2. 파티시에 한라2.3.3. 아연슈타인

1. 개요

2025년 2월 24일, 리턴 : 니시카와 업데이트로 첫 출시한 스킨 시스템을 다루는 문서이다.

2. 스킨

2.1. 스폐셜 니시카와[1]

2.1.1. 블랙 썬더 니시카와

일반 모습 각성 모습
파일:흑시카와0.png 파일:각성흑시0.png
콜로세움에서 등장한 모습 ???[2]

2024년 니시카와 복각과 함께 등장한 스킨. 당시에는 별도 선수인 니시카와?로 출시되었다.
스킨 시스템 출시 이전까지는 니시카와와 다른 별도의 캐릭터로 분류되었다[3][4].

스킨 시스템 업데이트 이후로 블랙 썬더라는 이름과 함께 니시카와의 스킨 중 하나로 변경되었다[5].

재출시 예정은 없다고 한다.[6]

2.2. 레드아이즈[7]

하이스쿨 니시카와, 트레이닝 남재현, 웨딩드레스 이사벨 스킨이 출시되었던 이벤트이다.[8]

스킨의 출시와 함께 주연을 맡은 니시카와, 이사벨, 남재현의 눈이 모두 적안(Red Eyes)이라는 점에서 이벤트의 이름이 레드 아이즈로 정해졌다.

니시카와의 두 번째 복각과 함께 판매되었던 스킨들로, 모든 모집은 V Points로 진행되었다.[9]

스토리는 크게 없으나 니시카와가 메인인 만큼 처음으로 서명고 팀과 붙게 되면 야마데라의 짧은 이야기가 들어 있다.

야마데라는 고교 시절 니시카와가 재학 중이던 고교인 서명고의 라이벌 학교에 다녔다고 한다. 하지만 그 때 당시 니시카와는 그렇게 대회를 휩쓸고 다니는 타입이 아니였다는 이야기를 한다. 현재의 니시카와가 그 때보다 모든 면에서 훨씬 발전했지만 고등학생 시절의 니시카와는 괴물같은 파괴력으로 코트를 압도했다고 한다.[10]

하지만 과한 어깨 사용으로 부상당하게 되고, NN을 만나게 되며 많은 것이 바뀌게 되었다고. [11][12]

니시카와가 당시 마을 코트에서 배구하던 영상을 보여주냐 물어보고 경기가 시작된다.

2.2.1. 하이스쿨 니시카와

파일:급시카와0.png
레드 아이즈
"...공놀이 따위 할 생각 없어."

레드 아이즈의 메인 선수이자, 니시카와의 두 번째 복각과 함께 등장한 스킨이다.

고유 궤적은 주황색 번개효과가 나타난다.[13]

천둥 스파이크[14] 발동 중 타격 타이밍이 정타로 맞아 떨어질 경우, 슬로우 모션 연출이 재생되며, 또 50% 확률로 흑백 화면 연출이 재생된다.[15] 그러나 이런 연출이 오히려 논란을 불러 일으켰는데, 일반 니시카와의 서브 에이스 득점율과, 하이스쿨 니시카와의 득점율을 비교하면 이상하게 하이스쿨 니시카와 쪽이 더 낮다는 논란이 터지게 되었다.

슬로우 모션 연출이 출력되면 노터치 에이스의 발생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고, 에이스는 자주 발생하지만 터치 아웃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많은 유저들이 추측하길 슬로우 모션 연출이 재생될 때 분명 인게임 경기 시간은 멈추나 상대 팀 AI의 시간이 멈추지 않아 공의 낙하지점을 화면이 멈춘 동안 계산하고 이동하기 때문에 공의 터치율이 높은 것이라고 한다. 더 월드[16]

논란에도 불구하고 연출과 일러스트 자체는 매우 훌륭한 편이라 많은 사람들이 애용한다[17]. 서브의 모호함을 제외하면 호불호 없이 멋있는 스킨이라는 평이 대부분이다.

스파이크 모션이 기본 니시카와와 다르다.[18]
시그니처 서브 루틴을 구사한다.[19]
일러스트가 움직인다.[20][21]

2.2.2. 트레이닝 남재현

파일:트재현0.png
레드 아이즈
"Ad Astra Per Aspera"[22]

레드 아이즈 이벤트에서 출시된 스킨 중 가장 인지도가 낮았던 스킨이다. 남재현 유저들은 물론 본 스킨을 뽑아 갔지만 남재현에 큰 애정이 없는 유저들이나 뉴비 유저들은 니시카와에 현혹되거나 이사벨 스킨을 남재현 스킨 대신에 구매하는 등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역시나 연출 자체는 훌륭한 편이다. 남재현 스킬인 의지[23]발동 시 대기 중일 때 한 쪽 무릎을 꿇고 앉아 있고, 항상 몸에서 연기가 난다. 기존의 검은색 궤적과는 달리 진한 남청색 궤적을 보인다.

스파이크 모션이 달라진다.[24]

남재현의 스파이크는 각도가 깊게 꺾이지 않았으나, 크로스 업데이트 이후 꺾이기 시작하더니 트레이닝 남재현으로 스파이크를 하면 궤적이 더 꺾이는 느낌을 유저들이 많이 받는다고 한다.

2.2.3. 웨딩드레스 이사벨

파일:웨사벨0.png
레드 아이즈
"맘에 들었어, 너의 스파이크!"

레드 아이즈 이벤트 중 하이스쿨 니시카와와 인지도 쌍벽을 이룬 레전드 스킨.

이사벨의 설정 중 하나인 '자신을 만족시킬 만한 스파이크를 때릴 수 있는 상대를 만나면 당장 결혼할 예정이다'라는 포인트를 살린 스킨. 긴 웨딩 드레스에 하이힐을 신고 등장한다. 손에 붉은 실을 감고 있는 것이 포인트.[25]

역시나 스킨의 연출은 매우 화려하고 예쁜 편이다. 기존의 딱딱한 패링 칼들의 디자인과 모션을 반짝이고 푸른 빛깔의 아름다운 검들로 바꾸며 눈호강을 시키고, 날카로웠던 사운드 또한 부드럽고 몽환적으로 바뀌었다. 풀 패링 스파이크 시 날카로운 파열음과 함께 스파이크를 때리는데, 이 때 진행 중인 궤적으로 흰 직선 섬광이 작렬한다. 스킨 자체의 연출이 다른 스킨들보다 잘 어울리고 뛰어난 편이라 매우 호평을 받았다.

유저들의 호불호 포인트 없이 모두가 예쁘다며 건져 간 스킨이다. 이사벨을 안 쓰는 사람들도 스킨의 일러스트에 현혹되어 구매한 경우가 많다.[26]

고유 서브 루틴을 가지고 있다.[27]
일러스트가 움직인다.아름답다
당시 유료 패스에서 이 이사벨 스킨과 세트인 부케 공을 얻을 수 있었다. 스파이크를 칠 때마다 꽃잎이 휘날리는 게 포인트.[28]

2.3. 청룡제[29]

대제자 류현, 파티시에 한라, 아연슈타인이 출시한 이벤트이다.

선림고의 축제인 청룡제에 관한 이벤트로, 이벤트 스토리와 함께 등장했다. 전설에 따르면, 어떤 무인이 청룡을 만나 청룡의 움직임을 보고 혹독한 수련을 통해 그 움직임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무술을 전수받는 곳이 선림. 이러한 선림에서 적통 후계자인 류현은 청룡의 무술을 익히고 있다. 그리고 매 년 특별한 청룡의 날마다 선림고는 축제인 청룡제 를 연다고 한다.

류현, 아연, 한라를 주축으로 스토리가 진행되며, 그게 맞게 세 명의 캐릭터가 스킨과 함께 출시했다.[30]

2.3.1. 대제자 류현

파일:대제자류현1.png
청룡제

청룡제의 메인 스킨. 류현의 첫 번째 복각과 함께 출시된 스킨이다.

역대 이벤트 스킨 중 가장 화려한 연출을 자랑하는 스킨 중 하나.
원래부터 류현의 이펙트는 수준급이였으나 거기에다가 풀차징 노터치 득점 시 공이 찌그러지는 연출[31]과 함께 붓으로 그려진 산수화와 꽃들이 나타나는 연출이 재생된다.

중차징 시 류현의 손 근처에 흑룡이 생기고 풀차징 시 태극무늬가 넓게 퍼지는 연출 등 디테일함이 묻어나는 연출을 다수 가지고 있다.

이번에 이벤트 스토리 중 공개된 선림의 전설이 류현에게 적용된다면? 이라는 컨셉으로 '대제자'라는 스킨 명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인지 이펙트가 전체적으로 '청룡'이라는 컨셉에 맞춰져 있다.[32][33]

2.3.2. 파티시에 한라

파일:파티시에한라1.png
청룡제

청룡제 한라 스킨이다.

2.3.3. 아연슈타인

파일:아연슈타인1.png
청룡제

청룡제아연 스킨이다.
[1] 2024년 5월 22일[2] 니시카와 풀 업그레이드 시 로비 및 선수 관리 탭에서 등장하는 움직이는 일러스트. 일반 니시카와를 제외하면 최초로 움직이는 선수 일러스트였다.[3] 스킨 시스템 전까지는 선수 도감에서도 따로 분류되어 있었으며, AI 또한 일반적인 니시카와와 차이가 있었다. 도감은 없어졌지만 AI의 차이점은 여전히 존재한다.[4] 여담으로 아군 또는 적군의 AI 블랙 썬더 니시카와가 서브를 할 경우 전용 일러스트 연출이 출력된다.[5] 특이한 점은 이름이 바뀌지 않았다. 기존 니시카와? 라고 표기되어있던 니시카와를 가지고 있던 유저들은 해당 캐릭터의 이름이 변경 전처럼 물음표가 붙어 있으며, 참고로 물음표는 더 스파이크 닉네임 시스템 상 붙일 수 없는 특수 문자다.[6] 고유 캐릭터였던 니시카와?가 없어진 유저들에게 반발이 있었던 만큼 복각까지 하게 된다면 24년 이벤트의 의미가 사실상 없어지는 꼴이라 괜찮은 대처라고 볼 수 있다.[7] 2025년 2월 24일[8] 메인은 역시 니시카와의 두 번째 복각이다.[9] 공식카페의 공지에 따르면 복각 캐릭터들은 배구공을, 신규 캐릭터는 이벤트 재화를 사용해 모집할 수 있도록 만들 예정이라고.[10] 인상이 날카롭고 무서워서 친구가 없었다고 한다. NN을 만나고 '그 안경'을 받게 된 뒤 많이 바뀐 듯.[11] 이벤트 티저 영상에서 NN의 젊었을 적 모습이 등장한다. 이 때 사실 니시카와가 현재 쓰고 다니는 안경이 당시 NN이 선물해 준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래놓고 나중에 콜로세움에서 만났을 때는 그 바보같은 안경을 아직도 쓰고 다니냐며 뭐라 한다.[12] 뜬금없이 본인이 난입해서 천진난만한 긍정에너지를 쏟아내는 게 킬포.[13] 과거 PC버전의 니시카와와 비슷한 궤적이라고 많은 유저들이 반긴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고 보면 클래식 니시카와의 궤적 색은 불투명한 노란색이라고.[14] 타점 4.0m 이상 시 발동, 스파이크 위력 증가.[15] 화면의 상 하부가 시네마틱 영상처럼 비율을 줄여주고 공과 니시카와만 보이고 나머지 화면은 모두 흰색으로 멈춘 것처럼 연출된다.[16] 공식카페 내에서 여러 번 진상 규명을 요청하는 내용이 올라왔으나 아직까지 선시안의 공식적인 입장은 나오지 않았다.[17] 서브 뽕맛이 필요 없고 간지가 필요한 고인물 유저들의 픽률이 높은 듯 하다.[18] 스토리 고증에 맞춘 듯 하다. 고등학교 때의 니시카와는 현재보다 더욱 강렬한 스파이크를 구사했으며, 어깨 힘을 극한까지 사용하다가 부상을 당했다고 한다. 하이스쿨 니사카와는 일반 니시카와보다 다리와 허리를 통한 반동을 주는 모션이 짧은 대신 어깨를 뽑아 공을 짓누르는 스파이크 모션을 가지고 있다.[19] 한 손으로 공을 바닥에 두 번 튕기고 잡아 상대 쪽으로 들어 보인다. 하이큐!!의 오이카와 토오루 루틴과 비슷한 모습.[20] 일러스트의 디테일이 상당한 수준. 가방 안에는 현재의 니시카와와 같은 번호인 25번 유니폼이 들어있고, 오른손 손가락에는 테이핑이 실제 선수들과 같은 손가락 보호식 테이핑을 잘 고증해 두었다. 머리카락이 휘날리고 몸의 주변에 전기가 번쩍거리는 기본적인 연출 또한 충실히 구현해 두었다.[21] 최초로 전신 일러스트가 공개된 선수 중 한 명.[22] 별들을 향하는 길은 가시밭길이다. 남재현의 좌우명.[23] 팀 체력이 30% 미만으로 떨어지면 자신의 스탯을 크게 올린다. 더 스파이크 내에서 스킬 발동 시 가장 높게 점프를 뛰는 캐릭터 중 한 명이 바로 남재현이다.[24] 기존 남재현의 정석적인 스파이크 모션과는 다르게 조금 더 힘을 싣는 듯한 연출이 나온다. 하이스쿨 니시카와와 비슷하게 어깨를 뽑아 때린다.[25] 단, 남재현 스킨과 마찬가지로 평행 세계의 이사벨인 듯 하다.[26] 그럴 만도 한 것이 원래 캐릭터 자체가 인기가 없는 편도 아닐 뿐더러 하이스쿨 니시카와처럼 서브 등에서 성능 이슈가 있는 것도 아니였기에 거를 이유 하나 없이 사랑받았다. 사실 일러스트 자체가 사기급으로 예쁘게 뽑힌 영향도 있다[27] 공을 한 번 손에서 돌리고 위에서 한 번 쳐서 잡는다. 실제 선수들과 비슷한 루틴 중 하나.[28] 해외에서는 밈과 합성되어 이사벨이 부케를 니시카와에게 전력으로 냅다 던지는 짤이 돌아다닌다...[29] 2025년 6월 20일[30] 조민준도 등장한다. 거의 엑스트라 역할로 등장하기는 하지만 슈퍼스타 챌린지 이후 상현의 고통스러워 하는 듯한 표정을 봤다는 둥 일종의 떡밥을 뿌리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퇴장했다. 어디서 본 것 같다며 아연에게 접근했으나 너무 바보같이 접근해 선림 사람들에게 아연에게 집적대지 말라는 쓴소리까지 들었다.[31] 공의 스킨을 불문하고 납작해지는 연출이 나온다. 부케도 예외는 아니라서 애매하게 찌그러진 모양을 보여준다[32] 사실상 흑룡으로 연출되기는 한다. 또한 태극무늬를 통해 류현의 무술은 한국사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도교의 4방신 중 하나인 청룡과 중국의 태극권을 모티브로 따온 것이 아닐까 싶다.[33] 사실 선림 무술 강자 4인은 모두 도교의 방위신에서 따온 것을 알 수 있다.(류현-청룡, 한라-주작, 홍시-백호, 무영-현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