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22:46:24

데미지 메이지


1. 개요2. 설명3. 수록 팩 일람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509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데미지 메이지,
일어판 명칭=ダメージ・メイジ,
영어판 명칭=Damage Mage,
레벨=3,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600, 수비력=1200,
효과1=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받은 데미지의 수치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효과 데미지 메타인데 데미지를 받은 후 회복하기 때문에 데미지를 받고 라이프가 0이 되면 아무것도 못 하는데다, 체인 2 이후에 발생한 효과 데미지는 타이밍을 놓쳐 막을 수 없다.

그래서 주 사용법은 자신이 자신에게 효과 데미지를 주고 특수 소환하여 라이프도 회복하면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것. 아예 라이프를 회복하는 레인보우 라이프도 있지만, 이 카드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점이나, 드로우하고 바로 쓸 수 있는 등 이 카드만의 장점도 많다. 또 어쨌든 대미지를 받긴 받아야 하는 호적수의 기억을 쓰면서 확실하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하다.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가진 카드로 가드 펭귄이, 전투 데미지 버전으로는 BK 베일이 있다.

유희왕 ZEXAL에서는 츠쿠모 유마텐조 카이토와 함께한 IV & III와의 듀얼 중 사용. No.15 기믹 퍼핏-자이언트 킬러의 효과로 받은 데미지를 회복하여 원턴킬을 막았다. 그 후 다들 잊어버린 듯 방치되어 있었다가 마지막에 유토피아 레이와 함께 포톤 카이저의 소재로 릴리스되어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소환하는데 공헌했다.

츠쿠모 유마가 사용한 카드답게 카드 이름은 대미지(Damage)와 메이지(Mage)의 말장난이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2-04-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JP002 | リターン・オブ・ザ・デュエリスト [ RETURN OF THE DUELIST ]
2012-07-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KR002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2012-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EN002 | RETURN OF THE DUELIST

4. 관련 카드

4.1. 가드 펭귄

4.2. 숲의 성령 에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