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22:21:34

아마미어

도쿠노시마어에서 넘어옴
'''[[일본어족|일본어족
Japonic Languages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본어파 일본어 · 하치조어
류큐어 북류큐
어군
아마미어 북아마미오시마어 · 남아마미오시마어 · 토쿠노시마어 · 키카이어
쿠니가미어 오키노에라부어 · 요론어
오키나와어 중앙 오키나와어
남류큐
어군
미야코어 · 야에야마어 · 요나구니어 }}}}}}}}}

아마미어
[ruby(島口, ruby=シマユムタ)]
Amami languages
<colcolor=#373a3c><colbgcolor=#ffc0cb,#8b0000> 유형 교착어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우종서 (오른쪽부터 세로쓰기)
문자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한자 (신자체)
점자 일본 점자
주요 사용 지역 일본 아마미 군도
원어민 약 12,000명[1]
계통 일본어족
류큐어
북류큐어군
아마미어
언어
코드
<colcolor=#373a3c><colbgcolor=#ffc0cb,#8b0000> ISO 639-1 -
ISO 639-2 -
ISO 639-3 ryn(북아마미오시마어)
ams(남아마미오시마어)
tkn(도쿠노시마어)
kzg(기카이어)
글로톨로그 nort2935(북아마미오시마어)
sout2945(남아마미오시마어)
toku1246(도쿠노시마어)
kika1239(기카이어)

1. 개요2. 분류3. 음운4. 들어보기

[clearfix]

1. 개요

아마미어(奄美語, Amami language)는 일본 가고시마현 남부 아마미 군도에서 쓰이는 류큐어의 일파이다. 아미미 군도에서 가장 큰 섬인 아마미오섬(奄美大島)과 그 일대에서 쓰인다. 아마미어로는 시마유무타(島口, シマユムタ)라고 한다.

다른 류큐어 계열 언어들과 함께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소멸 위기 언어이다.

2. 분류

아마미오시마 기준으로 북부[2]에서 쓰이는 아마미오시마 북부 방언과, 섬 남부 세토우치 정(瀬戸内町)[3]에서 쓰이는 아마미오시마 남부 방언으로 분류된다. 남부 방언쪽이 오키나와어와 닮은 부분들이 많다고 한다.

아마미 군도 남쪽 섬들 가운데 도쿠노섬(徳之島)과 기카이섬(喜界島)의 방언은 아마미어 또는 아마미 방언으로 묶일 수 있다. 하지만 그보나 남쪽인 오키노에라부섬(沖永良部)과 요론섬(与論島)의 말은 아마미어와는 구분되는 방언으로 분류되며[4], 오키나와섬 북부의 언어와 묶어 쿠니가미어[5] 또는 일본어류큐어의 오키노에라부-요론-오키나와북부 제방언(沖永良部与論沖縄北部諸方言)으로 정의된다.

유네스코의 분류와 에스놀로그(Ethnologue)·ISO의 언어 분류가 일치하지 않는데, 이 문서에서 다루고 있는 아마미어는 유네스코의 분류와 일치한다. 에스놀로그와 ISO의 분류에서는 세분화되어 북아마미오시마어(北奄美大島語, Northern Amami-Oshima language), 남아마미오시마어(南奄美大島語, Southern Amami-Oshima), 도쿠노시마어(徳之島語, Toku-No-Shima language), 기카이어(喜界島語, Kikai language)의 네 언어로 나뉘어 있다.

3. 음운

분류 양순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아마미오시마어 [N], m [N], n
북키카이어[8] m n ŋ
남키카이어[9]
도쿠노시마어 mˀ, m nˀ, n
파열음 아미마오시마어 [S], p˭[N], b tʰ, t˭, d kʰ, k˭, ɡ ʔ
북키카이어 pʰ, (p˭), b
남키카이어 (p˭), b
도쿠노시마어 pʰ, b ʔ
파찰음 아마미오시마어 t͡ʃʰ, t͡ʃ˭
북키카이어 t͡sʰ
남키카이어 t͡ɕʰ, (ʑ)
도쿠노시마어 t͡ʃʰ, t͡ʃ˭, dz
마찰음 아마미오시마어 s, (z) h
북키카이어 s, z
남키카이어
도쿠노시마어 s
접근음 아마미오시마어 j w
북키카이어
남키카이어
도쿠노시마어
탄음 아마미오시마어 ɾ
북키카이어
남키카이어
도쿠노시마어 r
분류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고모음 아마미오시마어 i ɨ u
북키카이어
남키카이어
도쿠노시마어 ɨ
중모음 아마미오시마어 e ɘ o
북키카이어
남키카이어
도쿠노시마어 ɘ
저모음 아마미오시마어 a
북키카이어
남키카이어
도쿠노시마어


아마미오시마어, 도쿠노시마어에서 i, ï, u, e, ë, o, a의 7모음 체계, 또는 이 중 ë가 없는 6모음 체계를 가진다. 일본어의 o가 u로 변해 원래의 u 발음을 통합하고 있다. 또한 일본어의 e는 중설 모음 ï로 변하고, i와 구별된다. ë는 개인이나 지역에 따라 e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기카이섬 북부에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기카이섬 북부에서 발음되는 중설 모음 ï 이 남부에서는 i로 발음되며, i, u, e, o, a 5 모음 체계이다. 이 5모음 체계는 오키나와 북부 여러 방언과 같다.

아마미오섬 남부(세토우치)는 어중 · 어미의 고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이 있다. ex)[ʔikuts](いくつ), [ʃipsa](渋い)

카행 자음은 아마미오시마어 · 도쿠노시마어에서는 k 또는 k ʔ 이며, 키(キ) → 치(チ)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일본어의 카, 케, 코에 대응하는 소리가 유기음의 k, 키, 쿠에 대응하는 소리가 후두음의 k ʔ 이 된다. 한편, 아마미오섬 북부 및 기카이섬에서는 표제어 카, 케, 코에 대응하는 자음은 h로 발음되고, 또한 기카이섬 남부에서의 키는 tʃi 또는 tʃ ʔ i로 발음된다. 북류큐 중에서의 키 → 치의 변화는 오키나와 중남부 방언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한편 어중에서의 카, 케, 코 자음은 아마미 방언 전체 h 또는 x (무성 연구개 마찰음)에 변화하거나 탈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행의 자음은 아마미오시마어 · 도쿠노시마어에서 대부분이 h 또는 ɸ (F)이다. 아마미오시마어의 일부는 p로 변한다. 기카이어에서는 북부는 p, 남부는 h 또는 ɸ로 발음된다.

요론어 및 아마미오시마어 북부 방언에서는 ま행 음이 변해서 w(비음화한 w) 또는 비모음으로 된다.

4. 들어보기


아마미어로 된 아마미 군도의 민요 <行きゅんにゃ加那>(이큔냐카나). '사랑(加那)아 가지 마라(行きゅんにゃ)'라는 뜻이다.


카와세 나오미소년, 소녀 그리고 바다 중 일부. 일본인도 못 알아듣기에 자막이 달려 있다.

[1] 2004년 에스놀로그 추정치. 아마미 군도 북부 1만여 명, 아마미 군도 남부(세토우치) 1,800여 명[2] 아마미 시, 다쓰고 정, 야마토 촌, 우켄 촌.[3] 가케로마 섬, 請島, 요론섬 포함.[4] 언어학적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은 이들도 '아마미 방언'으로 뭉뚱그려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가 필요하다.[5] 쿠니가미어는 정의에 따라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가 있는데(해당 문서를 참고할 것) 여기서 말하는 쿠니가미어는 넓은 의미로 쓰인 것이다. 쿠니가미어를 좁은 의미(오키나와섬 북부와 인근 도서의 언어/방언군)로 설정할 경우 도쿠노시마어, 기카이어를 별개 언어로 설정하는데 이 둘이 아마미 군도 남부에서 쓰이는 언어/방언들이다.[N] 북부 나제 방언.[N] [8] 오노츠 방언[9] 키미카테츠 방언[S] 남부 코니야 방언.[N]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