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5 03:30:28

동취

고사성어
구리 냄새

1. 개요2. 유래3. 사례

1. 개요

동전의 악취, 돈냄새, 돈으로 관직을 산 사람에 대해 비하하는 말인 고사성어

2. 유래

후한 말기에 지방에서는 각지에 태평도황건적의 난을 일으키고 중앙 정부에서는 환관들이 권력을 전횡해 자기 욕심을 채웠으며, 국고가 모자라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직을 파는 행위까지 했다.

관직에 따라 가격이 지방 장관은 2천만, 그 이하의 관직은 5백만이라 했는데, 당시 최열이라는 사람은 기주의 명사일 정도로 명성이 높았지만 황태자의 유모인 정부인(程夫人)이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고 정부인의 연줄을 이용하기 위해 5백만의 돈을 정부인에게 바쳐 사도라는 관직을 샀다. 최열을 임명할 때 영제(靈帝)는 아깝다면서 잘만 했으면 1천만은 받을 수 있었을 것이라면서 정부인에게 빈정거렸는데, 정부인은 최열은 돈으로 관직을 사는 그런 사람이 아니고 단지 자신을 통한 것 뿐인 훌륭한 사람이라 했다.

결국 최열이 뇌물을 바쳤다는 소문이 퍼져 평판이 떨어졌고 최열은 아들 최균에게 자신이 관직을 얻은 것에 대해 묻자 최균은 아버지께서 젊어서 명성을 얻고 요직을 역임하면서 그 무렵에 아버지께서 장래에 훌륭한 삼공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지만 사도가 된 지금은 천하 사람들이 실망한다고 했으며, 최열이 어째서 그러냐고 묻자 최균은 아버지께서 잘 알고 있지 않냐면서 돈냄새가 코를 찌르기 때문이고 분별이 있는 사람은 돈냄새를 싫어한다고 했다.

최열이 최균을 지팡이로 때리려 하면 최균이 도망다녔는데, 최열이 아버지가 때리는데 도망다니는 것이 효자가 할 짓이냐고 하자 순 임금도 아버지가 작은 지팡이를 들면 맞고 큰 지팡이를 들면 달아났다고 하지만 불효한 것은 아니라고 해서 최열을 부끄럽게 만들었다.

3. 사례

수나라 말기에 상인 무사확이 태원 근방의 호족인 이연에게 거금을 주어 이주도독이 되었으며, 돈을 뿌려 초고속으로 고관이 되었다. 무사확은 조용히 있으면 문벌귀족들이 제자리를 찾는 날이 오기에 그 때를 기다리기로 했고 일부에서는 그를 돈벌레라고 했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이 무사확의 과거의 신분을 깔보는 말이었다.

무사확은 이 오명을 씻어내기로 하면서 몰락한 귀족과 인연을 맺어 출세하기로 했는데, 무사확은 조강지처를 버리고 광무제의 후손인 양씨를 후처로 맞아들였다. 당나라가 정식으로 건국되자 그의 딸이 궁으로 들어갔고 당고종 때 무씨의 손을 들어간다는 이순풍의 예언에 따라 무사확의 딸인 무조는 처음에 당태종을 모시다가 당고종을 섬겼으며, 자식을 낳고 황비에 올랐다가 측천무후가 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