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의 수상 이력 | ||||||||||||||||||||||||||||||||||||||||||||||||||||||||||||||||||||||||||||||||||||||||||||||||||||||||||||||||||||||||||||||||||||||||||||||||||||||||||||||||||||||||||||||||||||||||||||||
|
| |
<colbgcolor=#094117><colcolor=#fff> 파나티나이코스 BC No. 13 | |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Dimitris Diamantidis | Δημήτρης Διαμαντίδης | |
본명 | 디미트리어스 디아만티디스 Dimitrios Diamantidis Δημήτριος Διαμαντίδης |
출생 | 1980년 5월 6일 ([age(1980-05-06)]세) |
그리스 카스토리아 | |
국적 |
|
신장 | 196cm (6' 5") |
체중 | 88kg (195 lbs) |
포지션 | 스몰 포워드 / 슈팅 가드 |
소속 구단 |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 (1999~2004) 파나티나이코스 BC (2004~2016) |
1. 개요
그리스의 前 농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몰 포워드. 유로 리그에서 많은 족적을 남겼으며 국제 무대에서도 성공적인 커리어를 보낸 전설적인 선수.유로리그 2000-2010 올디케이드 팀과 유로리그 2010-2020 올디케이드 팀에 모두 선정된 유일한 그리스 선수.
2. 선수 경력
2.1. 클럽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는 1980년 5월 6일 그리스 카스토리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지역 클럽 AS 카스토리아 유소년팀에서 농구를 시작했다. 클럽은 후에 그의 이름을 따서 홈 경기장의 이름을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실내 홀(Dimitris Diamantidis Indoor Hall)로 지었다.1999년 여름, 19세의 디아만티디스는 그리스 바스켓 리그 클럽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와 계약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첫 프로 시즌인 1999-00 그리스 리그에서 그는 경기당 평균 1.5점, 1.6리바운드, 0.8어시스트, 0.8스틸, 0.3블록을 기록했다. 이 시즌 그는 유럽 2부 리그인 FIBA 사포르타 컵에서도 뛰며 경기당 평균 1.8점, 1.2리바운드, 0.4어시스트, 1.2스틸을 기록했다.
두 번째 시즌인 2000-01 그리스 리그에서 그는 경기당 평균 3.4점, 2.8리바운드, 1.7어시스트, 0.8스틸, 0.3블록을 기록했다. 또한 그는 당시 유럽의 주요 클럽 대회 중 하나였던 FIBA 수프로리그에서 경기당 평균 2.2점, 1.8리바운드, 1.2어시스트, 1.4스틸, 0.6블록을 기록했다.
세 번째 시즌인 2001-02 그리스 리그에서 그는 경기당 평균 6.2점, 4.7리바운드, 2.8어시스트, 1.5스틸, 0.4블록을 기록했다. 이 시즌 그는 처음으로 그리스 리그 올스타전에 선정되었다. 같은 시즌 사포르타 컵에서는 경기당 평균 7.1점, 5.2리바운드, 2.8어시스트, 1.7스틸, 0.8블록을 기록했다.
네 번째 시즌인 2002-03 그리스 리그에서 그는 경기당 평균 11.5점, 5.6리바운드, 5.0어시스트, 리그 최고 기록인 2.5스틸, 0.9블록을 기록하며 꾸준히 성장했다. 그는 다시 그리스 리그 올스타전에 선정되었다.
이라클리스에서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시즌인 2003-04 그리스 리그에서 그는 경기당 평균 14.8점, 6.3리바운드, 4.2어시스트, 리그 선두의 2.5스틸, 0.7블록을 기록하며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그는 다시 올스타전에 선정되었고 시즌 종료 후 그리스 리그 시즌 MVP로 선정되었다. 디아만티디스는 이라클리스에서 보낸 다섯 시즌 동안 클럽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고 그리스 무대에서 다시 두각을 나타내는 데 기여했다.
이라클리스에서 꾸준히 성장과 성공을 거둔 디아만티디스는 2004년 그리스 농구 리그와 유로리그의 강호인 아테네 파나티나이코스로 이적하며 선수 생활에 큰 전환점을 맞았다. 파나티나이코스에서 뛰는 동안 그는 클럽 팬들로부터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디펜스(Dimitris Diamantidis Defense)’를 의미하는 ‘3-D’라는 별명을 얻었다. 개인과 팀의 큰 성공에 힘입어 당시 파나티나이코스 회장이었던 고(故) 파블로스 지아나코풀로스는 2008년 디아만티디스와 3년 570만 유로의 순수익 계약을 연장했다. 2010년 그는 파나티나이코스와 다시 3년 계약을 체결했으며 총수익은 1,080만 유로, 순수익은 600만 유로였다.
2010년 여름, 바실리스 스파눌리스가 파나티나이코스를 떠나 라이벌 팀인 올림피아코스로 이적. 이 이적은 그리스 리그 역사상 가장 큰 이적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되며,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와의 라이벌리는 유로 리그 역사상 가장 치열한 대결로 이어졌다.
이 당시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vs 바실리스 스파눌리스 시절의 영원한 적들의 더비는, 신들의 대결이라 불리며 유럽 내에서 엄청난 화제가 됐었다.
2013년 2월 21일 디아만티디스는 유로리그 역사상 스틸 부문 1위에 올랐다. 같은 해 7월 4일 그는 파나티나이코스와 연봉 190만 유로로 2년 계약을 갱신했다. 2014년 10월 30일 그는 유로리그 역사상 처음으로 통산 어시스트 1,000개를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 2015년 9월 2일 디아만티디스는 2015-16 그리스 리그 시즌 종료 후 프로 클럽 농구에서 은퇴하겠다고 발표했다. 마지막 시즌 그는 그리스 리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선수로 선정되었다. 그는 유로리그 역사상 어시스트와 성과 지수 평가(PIR) 부문에서 통산 최다 기록을 세우고 은퇴했으며, 이 기록들은 이후에 깨졌다.
파나티나이코스에서 디아만티디스와 젤코 오브라도비치 감독은 유럽 클럽 농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선수-감독 조합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그는 파나티나이코스 소속으로 유로리그 챔피언십 3회(2007, 2009, 2011), 그리스 리그 9회(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3, 2014), 그리스 컵 10회(2005, 2006, 2007, 2008, 2009, 2012, 2013, 2014, 2015, 2016)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7년과 2009년에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디아만티디스는 파나티나이코스에서 다수의 개인 타이틀도 획득했다. 2011년 유로리그 MVP,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 2회(2007, 2011), 유로리그 최우수 수비수 6회(2005, 2006, 2007, 2008, 2009, 2011), 그리스 리그 MVP 5회(2006, 2007, 2008, 2011, 2014), 그리스 리그 파이널 MVP 4회(2006, 2007, 2011, 2014), 그리스 컵 MVP 2회(2009, 2016)를 수상했다. 그는 2007년 미스터 유로파와 그리스 올해의 운동선수로도 선정되었다.
은퇴 후 파나티나이코스는 그의 등번호 13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 2020년 그는 그리스 웹사이트 Gazzetta.gr 독자들에 의해 ‘2010년대 최고의 그리스 프로 농구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2022년에는 그리스 농구 리그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2.2. 국가대표
디아만티디스는 그리스 U-20 주니어 국가대표팀에서 뛰었으며, 2000년 FIBA 유럽 U-20 챔피언십에서 경기당 평균 3.0점, 3.4리바운드, 1.3어시스트, 2.5스틸을 기록했다. 2001년 지중해 게임에서는 그리스 U-26 대표팀 일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그는 그리스 성인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했다. 2006년 FIBA 스탄코비치 월드컵에서 금메달을 차지했고 아크로폴리스 토너먼트에서는 7회 우승했다. 2005년과 2006년 두 차례 대회 MVP에도 선정되었다.
2010년 9월 4일, 그리스가 2010년 FIBA 월드컵 8강전에서 스페인에 80-72로 패한 후 디아만티디스는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했다. 마지막 경기에서 그는 16득점, 4리바운드, 2어시스트, 2스틸, 2블록을 기록했다. 국가대표로 총 124경기에 출전해 760득점, 경기당 평균 6.13점을 기록했다.
2003년 유로바스켓에서 그리스를 5위로 이끌었고, 2005년 유로바스켓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프랑스와의 준결승에서 종료 직전 결승 3점슛을 성공시키며 67-66 승리를 이끌었다. 2007년 유로바스켓에서는 평균 7득점, 7리바운드, 4어시스트를 기록했으나 리투아니아에 패해 동메달을 놓쳤다. 2020년 그는 FIBA 유로바스켓 2000-2020 드림팀에 선정되었다.
2006년 일본 FIBA 월드컵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준결승에서는 미국 대표팀을 상대로 12득점, 3리바운드, 5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역사적인 승리를 이끌었다. 마이크 크셰프스키 감독은 이 경기에 대해 “그리스가 우리에게 국제 무대에서 경기하는 법을 가르쳐줬다”고 평가했다. 그는 2010년 FIBA 월드컵에서도 경기당 평균 10.0득점, 3.5리바운드, 3.8어시스트, 1.5스틸을 기록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했다. 그리스는 두 대회 모두 5위를 기록했으며, 두 번 모두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 패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무려 216cm(7피트 1인치)에 달하는 엄청난 윙스팬과 독보적인 위치선정 감각을 바탕으로 유로리그 역사상 최고의 수비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 어마어마한 수비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가 유로리그 최우수 수비수상(DPOY)을 무려 6번이나 수상했다. 2위 기록은 카일 하인스, 에디 타바레스의 3회와 꽤나 큰 차이가 난다. 유로리그 최고의 수비력을 갖춘 선수로 인정받았다.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에서는 주로 스몰 포워드로 뛰었으며, 종종 포인트 포워드 역할을 맡기도 했다. 뛰어난 BQ와 코트 비전을 갖춘 패스 퍼스트 플레이메이커였으며, 스팟업과 드리블 상황 모두에서 우수한 3점 슈터였다. 또한 작은 포인트 가드를 상대로 포스트업 플레이를 즐겼다.
중요한 순간마다 경기의 흐름을 바꾸는 플레이로 증명된 것처럼 디아만티디스는 유럽 농구 역사상 최고의 스코어러이자 클러치 플레이어 중 한 명으로 평가됐다.
4. 위상
라이벌인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와 함께 유로리그 역사상 가장 위대한 유럽 선수 중 한 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유로리그에서 가장 다재다능한 선수로서 시대를 풍미했고, 젊은 유럽 스타 세대 전체에게 영감을 주었다. 디아만티디스는 유로리그 2000-2010 올디케이드 팀과 유로리그 2010-2020 올디케이드 팀에 모두 선정된 유일한 그리스 선수다. 2016년 그는 경력적 성과를 인정받아 유로리그 레전드(EuroLeague Legend)로 지명되며 최고 영예를 얻었다.14세의 나이에 디아만티디스는 고향 팀인 AS 카스토리아 유소년 클럽에서 농구를 시작했다. 1년 후 그는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에서 프로 데뷔를 했고, 이후 2003년에는 그리스 리그에서 올라운드 스타로 떠올랐다. 2004년 여름 파나티나이코스 아테네의 일원이 된 그는 2007년, 2009년, 2011년에 세 차례 유로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마지막 두 번은 팀의 주장으로서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디아만티디스는 유럽 최고의 클럽 대회에서 유로리그 MVP,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 2회, 올 유로리그 퍼스트 팀 4회, 그리고 기록적인 6회 유로리그 최우수 수비수상을 수상했다. 그는 1991-92 시즌 이후 공식 기록이 집계된 이래 유로리그 역사상 스틸 부문 1위에 올라 있다. 2016년 4월 1일 그는 유로리그 농구 레전드 상을 수상했다.
파나티나이코스 BC와 올림피아코스 피레아스 간의 ‘영원한 원수의 더비’에서 디아만티디스는 12시즌 연속으로 올림피아코스와 맞붙었다. 그는 그리스 리그 결승 11회, 그리스 컵 결승 6회, 유로리그 준결승 1회에 출전했고, 그리스 리그 우승 9회, 그리스 컵 우승 10회, 그리스 리그 결승 MVP 4회, 그리스 리그 MVP 6회, 그리스 컵 MVP 2회를 차지했다. 디아만티디스와 올림피아코스의 스타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의 개인적인 우정과 경쟁은 그리스 리그 결승 6회와 그리스 컵 결승 3회에서 늘 화제가 되었다. 그의 겸손한 태도는 2016년 은퇴 당시 두 팀 간의 긴장감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
그리스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서 디아만티디스는 2005년 유로바스켓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경기당 평균 59.7점만 허용하는 철벽 수비를 지휘하며 활약했고, 프랑스와의 준결승에서 경기 종료 직전 결승 3점슛을 성공시켰다. 그는 대회 어시스트 부문 1위를 기록했으며 올 유로바스켓 팀에도 선정되었다. 2006년 FIBA 월드컵에서는 은메달 획득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으며, 준결승에서 미국을 상대로 역사적인 승리를 거두는 데 기여했고 대회 스틸 부문 1위를 차지했다.
디아만티디스는 2004년과 2008년 두 차례 올림픽에도 출전해 모두 5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그리스의 역대 최고 성적과 같다. 수많은 업적을 바탕으로 그는 2007년 이탈리아 스포츠 잡지 슈퍼바스켓(Superbasket)에 의해 미스터 유로파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고, 같은 해 그리스 올해의 남자 운동선수로 뽑혔다. 2022년 그는 그리스 바스켓 리그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와 함께 유로 리그를 대표하는 선수이자, DPOY를 6번이나 수상한 유로리그 최고의 수비수였기 때문에 디아만티디스가 NBA에 진출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5.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유로리그 MVP ( 2011 )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 2회 수상 ( 2007 , 2011 )
6회 유로리그 최우수 수비수 ( 2005 ~ 2009 , 2011 )
4회 올 유로리그 퍼스트 팀 ( 2007 , 2011 ~ 2013 )
유로리그 어시스트 2회 기록 ( 2011 , 2014 )
유로리그 2000-2010 올 디케이드 팀 (2010)
유로리그 2010-2020 올 디케이드 팀 (2020)
유로리그 25주년 기념 팀 (2025)
유로리그 레전드 (2016)
유럽 농구의 101대 거장 (2018)
트리플 크라운 2회 우승 (2007, 2009)
FIBA 유로스타 (2007)
그리스 리그 우승 9회 ( 2005 – 2011 , 2013 , 2014 )
그리스 리그 명예의 전당 (2022)
그리스 컵 우승 10회 (2005–2009, 2012–2016)
그리스 리그 MVP 6회 수상 ( 2004 , 2006 ~ 2008 , 2011 , 2014 )
그리스 리그 파이널 MVP 4회 수상 (2006, 2007, 2011, 2014)
그리스 리그 최우수 수비수 3회 수상 (2008, 2009, 2011)
11회 올-그리스 리그 팀 (2004–2008, 2010–2014, 2016)
그리스 리그 어시스트 선두 (2007)
그리스 컵 결승전 MVP 2회 수상 (2009, 2016)
그리스 컵 결승전 득점왕 2회 (2009, 2013)
그리스 리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선수 (2016)
미스터 유로파 올해의 선수 (2007)
그리스 올해의 남자 선수 (2007)
유로바스켓 드림팀 (2020)
아크로폴리스 토너먼트 MVP 2회 수상 (2005, 2006)
그리스 리그 명예의 전당 (2022)
그리스 리그 역대 스틸 1위
파나티나이코스 영구 결번 13번 (2016년)
6. 여담
-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와의 라이벌리로 유명하다. 올림피아코스 BC와 파나티나이코스 BC는 전통의 라이벌 관계이기 때문. 두 선수가 맞붙었던 영원한 적들의 더비는 유럽에서 폭발적인 흥행을 기록했다.
- 왼손잡이다.
- 2016년 은퇴를 선언하고 4년 후인 2020년에는 지난 12시즌 동안 선수 생활을 했던 그리스 클럽 파나티나이코스 아테네 의 단장이 되었다. 2년간 팀의 단장으로 재임하며 2020-21 그리스 바스켓볼 리그 시즌 우승, 2020-21 그리스 농구컵 우승, 그리고 2021 그리스 농구 슈퍼컵 우승을 포함하여 세 번의 우승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