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00:45:35

해남군

땅끝마을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cd00>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00b1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d00b11>
파일:해남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해남읍
계곡면 마산면 문내면 북일면
북평면 산이면 삼산면 송지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옥천면 현산면 화산면 화원면 황산면 }}}
}}}}}}}}} ||
전라남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haenam_symbol.png
해남군
海南郡
Haenam County
}}}
<colbgcolor=#d00b11><colcolor=#fff> 군청 소재지 해남읍 군청길 4 (성내리)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3
면적 1,043.84㎢[1]
인구 63,394명[2]
인구밀도 60.73명/㎢[3]
군수
파일:zsdkl3gasdg.svg
명현관 (재선)
군의회
파일:zsdkl3gasdg.svg
10석[4]

1석[5]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2석[6]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박지원
상징 <colbgcolor=#d00b11><colcolor=#fff> 군화 동백꽃
군목 동백나무
군조 산비둘기
지역번호 061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해남군기.jpg
파일:haenam_symbol.png
해남군기
상징마크
파일:haenamcharacter.jpg
마스코트 땅끝이, 희망이
파일:해남군 캐릭터.png
SNS 캐릭터 희망이, 땅끝이
1. 개요2. 역사3. 지리4. 교통5. 경제
5.1. 산업5.2. 지방채5.3. 금융
6. 관광
6.1. 관광지
7. 교육8. 정치9. 군사10. 하위 행정구역11. 여담12. 출신 인물13. 자매결연도시

[clearfix]

1. 개요

파일:해남군청 전경.jpg
해남군청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군청길 4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 전라도에서 가장 넓은 기초자치단체로[7] 산맥으로 인한 무주지가 많아 애초부터 행정구역이 넓직할 수 밖에 없는 강원특별자치도경상북도를 제외한 호남 지방에서 유일하게 네 자리수 면적을 가진 지역이다. 게다가 간척지도 넓게 조성되어 있어서 전국에서 경지 면적이 가장 넓다. 그래서 농업 종사자가 많고, 배추고구마로 유명하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해남 겨울배추, 고구마, , 전복이 등록되어 있다.

북쪽으로 목포시, 영암군, 남쪽으로 완도군, 진도군, 동쪽으로 강진군, 서쪽으로 바다건너 신안군과 접해있으며, 섬을 제외한 한반도 본토에서 최남단에 위치해 있다.

생활권은 목포시로 분류되지만 이는 해남 서부에 위치한 문내면, 화원면, 산이면, 황산면 4개 지역만 해당되며, 나머지 지역들은 대부분 광주광역시로 진출하기가 편하다.

그 유명한 땅끝마을이 있는 군이다. 땅끝마을은 부속도서를 제외한 한반도의 최남단에 있는 마을이다.[8]

2. 역사

원삼국시대에는 마한 거수국들 중 신미국으로 유력한 세력이 지금의 해남군 송지면 군곡리에 소재했었다. 이 신미국은 상당히 부강하고 유력한 거수국으로서 3세기 후반경 자신을 중심으로 한 소국연합체인 침미다례를 형성하고 중국 통일왕조였던 서진에 독자적인 외교 사절도 보내 자신들이 마한을 대표한다는 취지의 서신을 전달했을 정도로 융성했었으나 그 이후 지속적으로 쇠퇴하면서 4세기 초반에는 해남군 북일면 신월리에 소재한 세력 및 전남 영암 시종면 세력에게 주도권을 내주게 된다.

이후 삼국시대에 들어 해남군 북일면 신월리에 소재한 세력이 4세기 후반 백제 근초고왕의 침미다례 정벌 때 혹독하게 당해 세력 자체가 해체되어 크게 퇴락하지만 이 일대가 원삼국 시기부터 워낙 교역의 중심지였던지라 그걸로 주민이 거주하는 공동체가 사라진 건 아니었다.이후 무령왕 때 백제의 영향력 아래 있는 모든 지역을 직접 지배 지역으로 편제하는 방향에 맞추어 538년, 지금의 해남 땅에 새금현(塞琴縣), 고서이현(古西伊縣), 황술현(黃述縣)이 설치되었다.

남북국시대에 들어서는 통일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 전국 지명 한화정책에 따라 침명현(浸溟縣, 현산면), 고안현(固安縣, 마산면), 황원현(黃原縣, 황산면)으로 개칭하고 인근 양무군(지금의 강진군 지역)의 영현으로 삼았다.

이후 후삼국시대에는 나주 공방전을 통해 태봉의 영역으로 들어갔다가 아주 잠깐 후백제의 점령기를 거친 후, 다시 고려의 영역으로 넘어오게 된다.

고려 시대940년 해남현으로 고쳐 영암군에 속하였다.

조선 시대1409년(태종 9)에 진도현과 합하여 해진군이라고 하였다. 1437년(세종 19)에는 현감을 두고 해남현이 되고, 또 수군전라우수영을 두어 남쪽 해상 방비의 요지로 삼았다. 1895년(고종 32)에 현이 폐지되고 해남군이라 하였다. 1896년 다시 전라남도 해남군으로 개편하면서 부근 섬 지역을 완도군으로 이속시켰다.

일제강점기1914년 강진군 백도면 일부 및 완도군 노화면 삼마도가 해남군 화산면에 병합되었다. 1921년 완도군 군외면 어불도가 송지면에 병합되었다.

파일:해남군 군기(1977-2017).svg
1977년부터 2017년까지 사용한 군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55년 해남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73년 송지면 월송리가 현산면에, 마산면 복평리가 해남읍으로 편입되었다. 1983년 북평면이 북평면과 북일면으로 나뉘고 마산면 맹진리 일부가 계곡면 덕정리로 편입되었다. 1990년 옥천면 봉황리가 강진군 도암면으로 편입되었다.

3. 지리

군 대부분이 해남반도와 화원반도에 속한 반도 지형이다. 군계의 3/4 이상이 바다와 접하기 때문에 특히 화원반도를 중심으로 굉장히 넓게 갯벌이 발달해 있었으나 간척으로 많이 줄어들었다. 덕분에 평지가 굉장히 많으나, 간척으로 생긴 평지다보니 군 중앙에는 산도 많아서 강진군에서 넘어온 산줄기가 두륜산을 거쳐 땅끝에서 끝난다. 해남읍내도 읍내 바로 북쪽에 500m에 육박하는 산이 있다. 그래서 해남군은 평지도 많고, 산지도 적지 않은 지형이다. 한편으로는 특히 산이면이 동서로 설치된 영산방조제•금호방조제 덕분에 면적이 꽤 늘어났다.

한반도에서 최남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후는 꽤 좋다. 역대 최저온도는 2021년에 기록한 -17.1도이고, 최고온도는 2017년 8월의 37.2도이다. 평균 최저온도는 0도. 겨울에 보통 기온은 -1에서 -3도 사이를 유지한다. 가끔 많이 추운 날은 -6도까지 떨어지기는하나 흔하지 않다.(생각보다 춥다 .) 산지가 없어 거의 눈도 오지 않으며, 눈이 와도 쌓이지 않는다.(낮에 눈이 오면 쌓이지 않고 녹는다. 쌓인 눈들은 밤에 왔던 눈들) 1박 2일 해남편에서는 몇십년마다 눈이 온다고 언급되었으나,(그 때가 역대로 운이 좋게? 가장 눈이 많이 왔던 해이긴 하다.) 그 정도까지는 아니며 평균 5 ~ 6년에 한 두번 정도 오는 수준이다. 다만 최근에 서남해안 폭설같은 경우에는 엄청난 양의 눈이 쌓이기도 했다. 이로 인해 2021년 1월에는 호남 지역에 폭설이 내린 다름 곧바로 한파가 들이닥쳐 반사율로 기온이 매우 크게 떨어져 1월 8일 아침 대부분 지역에서 역대 기록들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17.1도의 기록도 2위와 압도적인 차이가 난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의 특성상, 해풍이 굉장히 많이 부는 편이며 기온에 비해 체감온도가 매우 낮아지는 때가 있다.

==# 인구 #==
파일:haenam_symbol.png 전라남도 해남군 인구 추이
(1957년~현재)
1957년 175,768명
1958년 183,721명
1959년 189,024명
1960년 204,115명
1961년 205,219명
1962년 213,844명
1963년 220,536명
1964년 225,225명
1965년 229,940명
1966년 229,638명
1967년 233,094명
1968년 233,803명(정점)
1969년 226,140명
1970년 214,459명
1971년 211,781명
1972년 216,478명
1973년 215,513명
1974년 212,584명
1975년 199,030명
1976년 197,412명
1977년 197,136명
1978년 191,887명
1979년 186,800명
1980년 168,546명
1981년 167,635명
1982년 169,347명
1983년 163,426명
1984년 159,510명
1985년 150,788명
1986년 151,249명
1987년 151,877명
1988년 151,552명
1989년 151,161명
1990년 8월 1일 해남군 옥천면 봉황리 → 강진군 도암면 편입
1990년 134,295명
1991년 121,411명
1992년 115,314명
1993년 111,776명
1994년 107,961명
1995년 104,660명
1996년 101,625명
1997년 99,392명
1998년 101,825명
1999년 100,867명
2000년 99,398명
2001년 96,590명
2002년 92,459명
2003년 90,197명
2004년 87,956명
2005년 86,488명
2006년 84,720명
2007년 83,020명
2008년 81,651명
2009년 81,823명
2010년 80,394명
2011년 78,346명
2012년 78,150명
2013년 78,643명
2014년 78,184명
2015년 77,517명
2016년 76,509명
2017년 74,969명
2018년 73,286명
2019년 71,806명
2020년 70,218명
2021년 68,745명
2022년 67,410명
2023년 64,575명
2024년 10월 63,39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해남읍 23,531명
송지면 5,573명
황산면 4,266명
문내면 3,620명
산이면 3,390명
화원면 3,232명
화산면 2,931명
옥천면 2,808명
삼산면 2,725명
현산면 2,620명
북평면 2,525명
마산면 2,242명
계곡면 2,044명
북일면 1,887명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해남군의 인구는 광복 이후 한국전쟁기에 전국적으로 피난민이 대량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줄어는 것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증가해왔다. 이후 1966~67년 사이에 잠깐 줄어든 것을 제외하면 계속 늘어 1968년 233,803명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이후 조금씩 줄어들다가 1974~75년, 1979~80년에 급감한 것을 제외하면 살짝씩 줄어 1980년대까지만 해도 15만 명을 넘겼다.[9] 그러다 1990년부터 귀신같이 줄어들며 2000년을 전후로 하여 10만명 선이 깨졌고, 2004년 9만명 선, 2011년 8만명 선이 무너졌다. 이후 2021년 연말을 기준으로 68,745명을 기록하며 7만명 선마저 무너지면서 일부 연도에는 증가하긴 하였으나 그동안의 감소폭을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결과적으로는 정점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고 말았다.[10] 한때 전라남도 중에서는 인구 1위를 차지하던 때도 있었으나 2013년 9월부로 남악신도시를 끼고 있는 무안군이 추월하여 현재는 2위이다.

===# 읍면별 인구[11] #===
파일:해남군 CI.svg 해남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3,455명
1970년 24,288명
1973년 7월 1일 마산면 복평리 → 해남읍 편입
1975년 26,783명
1980년 26,077명
1985년 30,568명
1990년 28,345명
1995년 25,558명
2000년 27,338명
2005년 26,095명
2010년 25,081명
2015년 25,186명
2020년 24,912명
2024년 10월 23,5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삼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950명
1970년 10,310명
1975년 9,559명
1980년 7,834명
1985년 7,247명
1990년 5,881명
1995년 4,786명
2000년 4,259명
2005년 3,730명
2010년 3,531명
2015년 3,302명
2020년 2,915명
2024년 10월 2,72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화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116명
1970년 14,493명
1975년 13,317명
1980년 10,781명
1985년 9,291명
1990년 8,856명
1995년 6,245명
2000년 5,684명
2005년 4,523명
2010년 4,040명
2015년 3,761명
2020년 3,244명
2024년 10월 2,9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현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453명
1970년 12,549명
1973년 7월 1일 송지면 월송리 → 현산면 편입
1975년 13,495명
1980년 10,866명
1985년 9,783명
1990년 9,359명
1995년 5,733명
2000년 4,990명
2005년 4,118명
2010년 3,670명
2015년 3,383명
2020년 2,835명
2024년 10월 2,6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송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4,044명
1970년 22,400명
1973년 7월 1일 송지면 월송리 → 현산면 편입
1975년 19,630명
1980년 17,206명
1985년 15,562명
1990년 13,299명
1995년 10,678명
2000년 9,735명
2005년 8,225명
2010년 7,291명
2015년 6,910명
2020년 6,154명
2024년 10월 5,57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북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3,362명
1970년 22,101명
1975년 20,604명
1980년 17,392명
1983년 2월 15일 북평면 일부[북일면분리지역] → 북일면 승격 분리
1985년 8,472명
1990년 7,083명
1995년 5,177명
2000년 4,580명
2005년 3,931명
2010년 3,454명
2015년 3,195명
2020년 2,823명
2024년 10월 2,52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북일면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2월 15일 북평면 일부[북일면분리지역]북일면 승격 분리
1985년 5,717명
1990년 5,000명
1995년 3,769명
2000년 3,332명
2005년 2,731명
2010년 2,465명
2015년 2,299명
2020년 2,016명
2024년 10월 1,8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파일:해남군 CI.svg 옥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825명
1970년 13,388명
1975년 12,089명
1980년 9,739명
1985년 7,346명
1990년 8월 1일 해남군 옥천면 봉황리 → 강진군 도암면 편입
1990년 6,146명
1995년 5,029명
2000년 4,531명
2005년 3,856명
2010년 3,613명
2015년 3,466명
2020년 3,019명
2024년 10월 2,8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계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567명
1970년 12,068명
1975년 10,664명
1980년 8,246명
1983년 2월 15일 마산면 맹진리 일부 → 계곡면 덕정리 편입
1985년 6,925명
1990년 5,720명
1995년 4,113명
2000년 3,622명
2005년 2,907명
2010년 2,612명
2015년 2,527명
2020년 2,160명
2024년 10월 2,0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마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135명
1970년 12,672명
1973년 7월 1일 마산면 복평리 → 해남읍 편입
1975년 9,996명
1980년 8,285명
1983년 2월 15일 마산면 맹진리 일부 → 계곡면 덕정리 편입
1985년 6,331명
1990년 5,436명
1995년 4,193명
2000년 3,638명
2005년 3,117명
2010년 2,999명
2015년 2,790명
2020년 2,406명
2024년 10월 2,2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황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1,341명
1970년 20,123명
1975년 18,979명
1980년 16,193명
1985년 14,274명
1990년 13,051명
1995년 9,593명
2000년 9,082명
2005년 7,065명
2010년 6,296명
2015년 5,857명
2020년 4,856명
2024년 10월 4,26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산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494명
1970년 13,352명
1975년 13,193명
1980년 10,651명
1985년 8,972명
1990년 8,341명
1995년 6,619명
2000년 6,313명
2005년 5,813명
2010년 5,188명
2015년 4,567명
2020년 3,795명
2024년 10월 3,3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문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595명
1970년 16,224명
1975년 15,110명
1980년 13,060명
1985년 10,348명
1990년 9,333명
1995년 7,144명
2000년 6,577명
2005년 5,427명
2010년 4,837명
2015년 4,642명
2020년 4,046명
2024년 10월 3,6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해남군 CI.svg 화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9,367명
1970년 16,355명
1975년 15,447명
1980년 12,359명
1985년 9,958명
1990년 8,429명
1995년 5,987명
2000년 5,549명
2005년 4,700명
2010년 4,502명
2015년 4,309명
2020년 3,625명
2024년 10월 3,23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3.1. 출산율

한때 출산율이 국내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7년 동안 전국에서 출산율 1위를 기록했다. 2015년 기준 2.43명으로 전국 출산율인 1.24의 두배와 비슷한 수치로 1980년대 초의 전국 출산율과 비슷한 수치였다. 입소문을 타서 뉴욕 타임즈, 아사히 신문, 싱가포르[14] 등에서도 취재를 오기도 했다.

그러나 여기에는 함정이 하나 있는데 높은 출산율의 비결은 '다른 지역보다 더 높은 출산장려금'이라는 것 밖에 없었다는 것. 이 때문에 출산율을 높이는 데는 성공했지만, 정작 인구는 출산율 1위를 찍고 있었을 때도 계속 감소하고 있었다. 출산만 해남에서 하고 바로 타 지역으로 가 버리는 먹튀 출산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지역들도 해남을 따라하여 앞다퉈 출산지원금 경쟁을 하기 시작하면서 2019년부로 영광군이 해남을 제치고 출산율 1위를 차지했다.# 게다가 대도시인 광주까지 출산율 쟁탈전에 나서면서 전남 전체의 출산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안타깝지만 해남의 역량으로는 다른 지자체와의 경쟁에서 상대가 안 되기 때문에[15] 예전과 같은 출산율을 기대하기는 어려워졌다. 2022년에는 결국 1.04명으로 합계출산율이 감소하여 심지어 광양 같은 시 지역에도 밀리는 경우가 생겼다. # 결과적으로 인구는 계속 감소세이며 귀촌 했던 11남매 가족이 4개월 만에 떠나는 등 상황은 더욱 악화되어 가는 중. #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남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철도고속도로는 아직 없다.

5. 경제

5.1. 산업

파일:전남지역별GRDP.png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으로, 산이면, 황산면, 마산면 일대로는 간척으로 조성된 농지가 넓게 펼쳐져 있다. 서부 해안에서는 양식업이 활발한데, 진도군과 전국 최대 규모의 김 양식 어장인 마로해역의 어업권을 둘러싸고 갈등이 있다. 2020년 9월 10일에는 양측 어민들이 어선을 이끌고 해상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 이후 법원의 판결에 따르기로 합의했고, # 1심에서는 진도군이 승소했다. # 그리고 2심에서도 진도군이 승소했다. # 대법원에서도 승소했다. 2021다297086_판결문_검수완료.pdf

황산면에는 남한 금 생산량의 50% 이상을 혼자서 감당하는 '금은광산'이 있다. 또한 옥천면일대 옥천농공단지와 화원면 일대 대한조선이 입지한 화원조선산단과 인근의 화원농공단지 덕에 조선업도 어느정도 발달한 곳이다. 최근 신안 해상풍력단지의 배후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신도시로 해남군 산이면 일대에 솔라시도 스마트시티를 계획하고 있으며''' ‘2021년 지역거점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었다. 영암·해남기업도시 문서 참조.

5.2. 지방채

지방채 조기상환으로 ‘부채 없는 해남군’을 만들었다. 2009년 지방교부세 감액에 따른 세입보전을 위해 기획재정부로부터 이율 4.85%로 고정금리 5년 거치 10년 상환으로 차입한 지방채 140억 4,500만원을 2013년 12월 24일 전액 조기상환했다. 이와 함께 2005년 상수도사업을 위해 차입한 지방채 90억원 중 36억을 상환하고 남은 채무액 54억도 함께 상환했다.

이에 따라 194여 억원의 지방채에 대한 향후 10년간 내야 할 이자 50억여원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두게 되었고 채무총액 230억 원 중 84.5%에 해당되는 194억 4,500만원을 모두 상환했다. 남은 채무액 35억 원도 하수종말처리장 사업 등으로 환경부에서 원금과 이자에 대해 전액 국비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해남군의 실질 채무액은 없는 셈이다.

5.3. 금융

해남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해남우체국 (14)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광주은행 (2)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해남농협 (5) 해남진도축협 (3) 계곡농협 (2) 옥천농협 (3)
현산농협 (2) 산이농협 (1) 북평농협 (1) 화산농협 (1)
황산농협 (1) 화원농협 (1) 땅끝농협 (1) 문내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해남군수협 (6)
새마을금고
해남새마을금고 (1) 문내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해남신용협동조합 (1) 해남우리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해남군산림조합 (1)

국민은행 해남지점이 2023년 1월 폐점되었다 국민은행 해남지점 폐점 안내

6. 관광

파일:external/www.pension114.co.kr/1569-ddangend_01.jpg
해남의 유명한 관광지인 땅끝마을 전망대.

해남 땅끝마을, 두륜산, 대흥사, 우수영 관광지, 미황사, 주작산 등의 관광지가 있다. 또 북한의 명산 중 하나인 금강산과 한자까지 똑같은 이름을 가진 금강산도 있다. 해발 488m.

경상남도 고성군, 경기도 화성시에 더불어 3대 공룡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대구광역시 군위군에서 더 큰 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기 전까지 세계 최대 크기의 익룡 발자국 화석이 존재했고, 세계에서 유일하게 공룡익룡, 새발자국 화석이 한 층준에서 발견된 해남 우항리 공룡화석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이 화석지들도 포함하여 함께 2007년 해남 공룡박물관도 개관했다. 박물관 참고 사진 1 박물관 참고 사진 2

6.1. 관광지

7. 교육

파일:해남군 CI_White.svg 전라남도 해남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계곡초등학교 마산초등학교 마산초등학교용전분교장 북일초등학교
북평초등학교 산이서초등학교 산이초등학교 삼산초등학교
서정초등학교 송지초등학교 송호초등학교 어란진초등학교
어란진초등학교어불분교장 옥천초등학교 우수영초등학교 해남동초등학교
해남서초등학교 현산남초등학교 현산초등학교 화산초등학교
화원초등학교 황산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해남군 CI_White.svg 전라남도 해남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두륜중학교 북평중학교 산이중학교 송지중학교
우수영중학교 해남제일중학교 해남중학교 현산중학교
화산중학교 화원중학교 황산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해남군 CI_White.svg 전라남도 해남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송지고등학교 해남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 화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고등학교의 경우 해남고등학교(일반계)와 해남공업고등학교(특성화)가 거점고등학교로 지정되었다. 송지고등학교는 학생 수가 77명에 불과해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며 화원고등학교도 학생 수가 130명을 넘지 못한다고 한다.

2023년 해남군 내에 있는 모든 고등학교가 신입생 정원을 다 채우지 못했다.

구성지구가 완공될 경우 구성지구에 고등학교를 설립할 가능성이 있는데 만약에 설립될 경우 학교 총량제로 인해 송지고등학교와 화원고등학교가 폐교당할 수도 있다.[18] 그러나 (가칭)구성고등학교의 학급 수는 12개 학급 규모[19]일 가능성이 높아서 과밀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8. 정치

9. 군사

해남읍 백야리에 예비군 부대가 있다. 대한민국 해군목포해역방어사령부(목방사)를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목포항에서 해남군 산이면으로 해군기지를 이전할 계획이 있었으나 취소되었다.

10. 하위 행정구역

1읍 13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1. 여담

중국에도 같은 이름의 지역이 있고, 한자도 같다. 하이난성 참고.

현재 군청사가 2012년 2월 건물 정밀안전진단 결과 D등급 판정을 받고 나서 해남군에서는 새로운 군청사를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고 2019년 5월부터 공사를 시작해 2021년 하반기 준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아래 사진이 신청사 조감도.
파일:haenamnewoffice.jpg
2021년 12월 기준 신청사로 이전이 완료된 상태이다. 구청사는 철거되어 군민광장으로 바뀌었다

해남군청 앞마당에 있는 소나무는 천연기념물 제430호로 지정되어 있다.

허영만만화 식객주인공성찬고향으로 유명하다.

드라마 라켓소년단의 주 배경이 되는 곳이다.

나홍진 감독의 호프(영화) 배경 장소이다.

12.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해남군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자매결연도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호남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기초자치단체다.[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해남군 가선거구 (해남읍, 마산면, 산이면): 민경매, 민찬혁, 민홍일
해남군 나선거구 (황산면, 문내면, 화원면): 서해근, 이성옥
해남군 다선거구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김석순, 박상정
해남군 라선거구 (삼산면, 화산면, 북일면, 옥천면, 계곡면): 김영환
해남군 비례대표: 이기우, 이상미
[5] 해남군 라선거구 (삼산면, 화산면, 북일면, 옥천면, 계곡면) 박종부 의원 제명으로 인한 공석[6] 해남군 제1선거구 (해남읍, 마산면, 황산면, 산이면, 문내면, 화원면): 김성일 (3선)
해남군 제2선거구 (삼산면,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북평면, 북일면, 옥천면, 계곡면): 박성재 (재선)
[7] 강원특별자치도경상북도의 넓은 지자체는 대부분이 사람이 살지 않는 산지지만 해남은 대부분 평지기 때문에 체감상으로는 상상 이상으로 넓다. 해남종합버스터미널에서 땅끝마을까지 택시 타면 5만원 나온다. 이런 사정을 모르고 차 없이 관광 와서 무턱대고 택시 타면 큰일난다.[8] 북위 34° 17'32''에 위치해 있다.[9] 즉, 이시기에 현행 도농복합시의 설치 법률이 존재하였다면 해남읍[20]을 포함해 이웃한 2개면(황산면[21], 삼산면[22]or 마산면[23] 등)의 합이 5만명(52,089명 또는 51,173명)을 넘겨 도농복합시인 해남시로 승격할 수 있었다.[10] 인구 감소는 자세히 알아보면 1969년 23만 명, 1970년 22만 명, 1975년 21만 명과 20만 명, 1979년 19만 명, 1980년 18만 명과 17만 명, 1984년 16만 명, 1990년 15만 명과 14만 명, 1991년 13만 명, 1992년 12만 명, 1994년 11만 명, 1997년(1차) 10만 명, 2000년 10만 명(2차), 2004년 9만 명, 2011년 8만 명, 2021년 7만 명 선이 붕괴되었다.[11] 위의 해남군 전체 인구 변화와 달리 통계청 인구총조사 및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참조하였기에 총합이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하길 바람.[북일면분리지역] 만수리, 금당리, 신월리, 흥촌리, 운전리, 용일리, 방산리, 내동리[북일면분리지역] [14] 싱가포르의 출산율은 당시 1.2명 정도로 세계에서 최하위 수준이었다.[15] 2020년 기준 해남의 재정자립도는 7.4%로 전국 군 단위 기초지자체 평균(17.3%)보다도 한참 낮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8] 특히 송지고등학교는 너무 적은 학생수로 인해 몇년 후 폐교당할 가능성이 높다.[19] 초, 중, 고 통합학교 형태, 초등학교 18개 학급, 중학교 12개 학급, 고등학교 12개 학급 규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