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17:28:46

라스트 배틀!

라스트 배틀(유희왕)에서 넘어옴
유희왕 OCG의 1 ~ 3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강철의 습격자 마법의 지배자
푸른 눈의 백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 새크리파이스
파라오의 사도 악몽의 미궁 어둠의 유산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제물봉인 가면 라스트 배틀!
왕가의 수호자 매지션의 힘 암흑의 위협
지옥시인 헬포에머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엑조디아 네크로스
혼돈의 지배 천공의 성역
혼돈의 흑마술사 대천사 제라토
4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 →

유희왕 OCG의 특수 승리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0px -10px; word-break: keep-all"
<rowcolor=#b13> 분류 목록 비고
룰 승리 덱 파괴
효과/몬스터
봉인된 엑조디아
지속 함정
위저 보드
효과/몬스터
궁극봉인신 엑조디오스
효과/몬스터
독사신 베노미너거
일반 마법
종언의 카운트 다운
효과/몬스터
빛의 창조신 호르아크티
효과/엑시즈
고스트릭의 타천사
효과/엑시즈
효과/엑시즈
일반 마법
잭팟 7
일반 함정
영혼의 릴레이 A
일반 함정
환황룡의 천와
지속 마법
F.A. 위너즈
효과/몬스터
비행코끼리
효과/몬스터
수호신 엑조디아
효과/몬스터
진 엑조디아 A
효과/엑시즈
효과/엑시즈
자리뺏기-육쌍환
지속 함정
방학숙제 끝!
<nopad> 사용 불가능한 카드
일반 함정
라스트 배틀! X
효과/몬스터
기적의 창조자 #
효과/몬스터
빅토리 드래곤 M,X
효과/몬스터
매치킬 몬스터 M,#
A: 카드의 컨트롤러의 상대가 승리하는 효과
M: 매치에서 승리하는 효과
#: 공식 듀얼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카드
X: 리미트 레귤레이션 금지 카드
}}}}}}}}}

1. 개요2. 설명3. 제네시스 룰에서4. 수록 팩 일람

1. 개요

파일:attachment/라스트 배틀/card10000441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라스트 배틀!, 일어판명칭=ラストバトル!, 영어판명칭=Last Turn,
효과1=①: 상대 턴에\, 자신의 LP가 1000 이하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몬스터 이외의 서로의 패 / 필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발동 후\, 상대는 덱에서 몬스터 1장을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하고\, 자신이 고른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서로에게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어느 한쪽 플레이어만이 몬스터를 컨트롤하고 있을 경우\, 그 컨트롤러는 듀얼에서 승리한다. 그 이외일 경우에는 무승부가 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제네시스=75)]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일러스트는 화지가구토야마타 드래곤이 싸우는 모습으로, 아마 스사노오[1]야마타노오로치와 대결하는 걸 묘사한 듯하다. 문제는 둘 다 특수 소환할 수 없는 스피릿 몬스터라 일러스트 재현이 불가능하다.

일본판에서는 '소생 혼'이라는 부스터 팩의, TCG권과 한국에서는 어둠의 유산의 커버 카드였으며 현재까지 몬스터 카드가 아닌 카드가 부스터 팩의 커버를 독차지한 단 둘 뿐인 사례로 남아있다.[2]

2. 설명

자신의 몬스터 1장을 제외한 필드 / 패를 묘지로 보내고, 상대가 덱에서 고른 몬스터 1장과 자신이 남긴 몬스터로 전투시키는 효과와, 엔드 페이즈의 필드 상황에 따라 몬스터가 남은 플레이어를 특수 승리시키는 효과를 가진 카드.

꽤 특수한 처리 재정이 있는 카드로,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12기 텍스트로 정리된 지금도 텍스트만으로는 알 수 없는 효과 처리들이 있다. 그 요점을 열거하자면 다음과 같다.
또한, 금지 카드가 되기 이전에는 특이 재정이 하나 더 있었는데, 발동 시 일단 발동한 플레이어가 먼저 몬스터를 1장 남겨두고 상대에게 특수 소환의 권리를 넘겨주는 효과이기 때문에, 이때 내 필드에 승령술사 조겐같이 특수 소환을 막는 효과를 지닌 몬스터를 남겨두었을 경우 상대는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현대 유희왕에서 특소 락 카드가 있으면 특소 효과가 포함된 이 카드는 발동할 수 없었겠지만, 당시 룰로는 발동 후 다른 카드를 모두 묘지로 보내는 것과 상대가 특수 소환하는 것이 별개의 효과 처리라 특소 락 카드가 있어도 발동이 가능했으며 특수 소환도 막을 수 있었다.

이렇게 양쪽 플레이어는 필드의 카드와 패를 전부 묘지로 보낸 상태라 상대는 더 이상 몬스터를 소환할 수 없으며, 이렇게 되면 남은 건 조겐 1장뿐. 그리고 이대로 엔드 페이즈가 오면 발동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콤보가 완성된다. 과거부터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승리의 콤보로, 시작하자마자 빛의 봉인벽으로 LP 7000 째고 바로 발동해 원턴킬도 가능했다. 빛의 봉인벽이 제한을 먹었던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3]

결국 특소 락 카드와의 궁합 문제로 2005년 9월에 준제한, 2006년 3월에 금지 카드가 되었다.

사실 현대 기준으로는 재정이 정립되었기에 조겐 같은 특소 락 몬스터가 있으면 발동 자체가 불가능하다.[4] 옛날 콤보가 성립하려면 뒤의 특소 효과 텍스트가 '한다'라는 강제가 아닌, '할 수 있다'라는 선택이었어야 했다. 아직 룰이 덜 성립된 시기다보니 성립되는 콤보이기도 했던 것. 혹은 현대 기준의 재정으로도 발동 시에 체인하여 특소 락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를 발동하면 된다.[5]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고르는 게 대상이 아니라 비대상이라서 가능한 꼼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폭 스위치가 TCG에서 금지를 먹은 사례를 생각하면 매치에서 선승한 후 무승부로 뻐기는 등의 악용이 가능하므로 이 카드가 금지에서 풀리길 기대하긴 힘들다. 다양한 엑스트라 덱에서의 소환법이 출시된 지금 시점에서 보면, 굳이 조겐 같은 특수 소환 메타 카드가 아니더라도 이 카드를 사용한 쪽은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를 선택할 수 있는 데 반해 상대는 무조건 메인 덱에서밖에 몬스터를 꺼낼 수 없으므로 적당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 하나 세워두고 이 카드를 발동하면 대다수의 덱은 엑스트라 덱 몬스터와 메인 덱 몬스터의 파워 차이 때문에 사실상 이길 수가 없다. 환경의 변화로 에이스 몬스터가 메인 덱에서 엑스트라 덱으로 옮겨감에 따라 생겨난 또다른 사기성이다.

실제로 과거의 금지 카드도 사용할 수 있는 TCG 전용 포맷인 제네시스 룰에서 라스트 배틀이 75점이라 사용할 수 있는데, 다이놀피어가 자신의 기믹으로 LP를 모조리 갈아버린 뒤 라스트 배틀로 켄트레기나를 남겨놓는 승리 플랜이 제시되었다. 발동 조건 상 켄트레기나의 공격력은 무조건 3000 이상이 되므로 어지간하면 전투 승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특소 락과의 궁합은 부차적인 문제고, 이전까지의 플레이를 다 무시하고 이 카드 한장만으로 승패가 결정되는 불합리함이 근본적인 문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116화에서 카이바 세토카이바 노아와의 듀얼 중 발동했다. 세토는 푸른 눈의 백룡을, 노아는 덱 마스터기적의 방주를 선택해 전투를 실행했다. 하지만 백룡에 의해 파괴된 기적의 방주가 천계왕 시나토가 되어버리는 바람에 재개된 배틀에서 그대로 백룡이 파괴되고 세토는 패배했다. 이전에 세토의 필드엔 트와이라이트존 드래곤이 있었기에 이 카드를 선택해 무승부로 만들 수도 있었지만, 카이바 모쿠바를 제정신으로 돌리기 위해 트와이라이트존 드래곤을 제물로 삼아 푸른 눈의 백룡을 특수 소환했던 것이 패인이 됐다. 특수한 패배라 라이프가 변동되진 않아서, 어둠의 유우기는 세토의 덱과 당시 LP 400을 그대로 이어받아 노아에게 듀얼을 재도전했다.

영어판에서는 "Last Battle"이 아닌 "Last Turn"으로 되어 있으며, 느낌표도 뗐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어째서인지 일단 카드 자체는 UR 등급으로 구 텍스트가 담긴 채로 수록이 되어 있으며, 덱 편집에서 '언리미티드' 모드로 설정하면 카드가 뜨긴 한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된 해결되지 않는 복잡한 룰과 난해한 특수 재정으로 인해 CP를 써서 생성은 불가능하다. 금지 카드가 사용 가능한 트라이아웃 듀얼 '언리미티드' 이벤트 때조차 덱 편집 시에 생성을 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구가 나온다. "다음 이유로 인해 카드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 (이유) 카드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6]

3. 제네시스 룰에서

25년 9월 신규 출범한 제네시스 룰에서는 100점이 아니라 75점을 받게 되었다.

따로 특정 카드와의 연계가 필요했던 카드도 아니라서, 금지 카드라는 게 아예 없는 제네시스 룰에서 100점이어도 특이하게 쓰이긴 했겠지만, 아예 100점을 채우지도 않고 환경에 풀려버렸다. 특소 불가 시의 재정 처리도 깔끔하게 해결된 13기 환경에 갑자기 이 카드가 TCG권에 출몰하게 된 것. 물론 포맷 자체가 다르고, 조겐 같은 특소 락 몬스터가 죄다 100점이라 그쪽과의 연계가 막히긴 했지만 어쨌든 이 카드로 할 수 있는 일은 무수히 많이 있다.

당장 다이놀피어와의 연계로 LP를 3번 지불해서 스스로의 LP를 1000 이하로 내리고, 이 카드 발동으로 켄트레기나를 찍어주면 공격력 3000 초과인 켄트레기나를 메인 덱 몬스터 하나로 상대해야 하는 불합리한 빌드가 완성된다. 심지어 켄트레기나를 어떻게든 파괴하더라도 묘지에서 테리지아디플로스가 흡사 마요괴를 연상케하는 마트료시카 본새로 계속 출몰하여 필드를 이어가기 때문에, 엔드 페이즈 처리 시에 이 카드를 맞은 쪽이 역승리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최소한 무승부라도 노리고 싶어 몬스터를 묘지에서 어떻게든 꺼내어 유지해도 켄트레기나가 브루트를 복사하면 그것 또한 쉽지 않다.

문제는 이 카드를 100점으로 늘려도 상황은 변하지 않을 거라는 것. 한다면 켄트레기나에 1점을 추가로 부여한다거나 할 수 있겠지만 애초에 켄트레기나가 문제인 게 아니라 이 카드가 문제인 거라서 온갖 다양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에 다 1점을 매겨놓을 게 아니라면 이 카드를 넣은 덱 특유의 4드론 날빌 콤보는 제네시스 룰에서 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 카드와의 연계성으로 가장 먼저 주목받은 다이놀피어는 정작 렉스텀이 91점이라 서치도 안 되는 이 카드 대신 더 안정적으로 뽑을 수 있는 그쪽을 써서 락을 거느라 다른 방향에서 주목받고 있다.(...)

4.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어둠의 유산 LOD-KR099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비기너즈 팩 Vol.2 BP2-KR206 레어 한국
蘇りし魂 MA-51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DUELIST LEGACY Volume 5 DL5-090 레어 일본
BEGINNER'S EDITION 2(4기) BE2-JP206 레어 일본 절판
BEGINNER'S EDITION 2(7기) BE02-JP167 노멀 일본
Legacy of Darkness LOD-099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Tournament Pack 6 TP6-EN015 노멀 미국
Dark Beginning 2 DB2-EN206 레어 미국

[1] 같은 팩에서 스사노오를 모티브로 한 뇌제신이 등장했지만, 하급 몬스터라 야마타 드래곤의 능력치에 못 미친다.[2] 범위를 넓히자면 영원한 화염에서 네프티스의 봉황신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가 공동으로 커버를 담당한 사례도 있으며 이쪽은 커버 카드가 둘인 마지막 사례로도 남아있다.[3] 다만 이 콤보엔 주의할 점이 있었는데, 바로 상대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쓰면 안 된다는 점. 스탠바이 페이즈에 쓰면 라스트 배틀!의 효과로 이뤄진 전투가 끝나고 다시 스탠바이 페이즈로 돌아오는데, 그때 킬러 스네이크의 효과로 패에 다시 킬러 스네이크를 넣고 소환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킬러 스네이크의 공격력은 300, 조겐은 200이므로 이러면 다 이겨놓고 킬러 스네이크한테 파괴돼 지는 어이 없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4] 예시로 방해받은 파괴수의 잠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그 후, 덱에서 파괴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란 효과인데, 특소 락 몬스터가 있으면 발동할 수 없다는 재정이 있다. 정작 필드에 파괴수 몬스터가 있으면 발동할 수 있다는 괴상한 특수 재정도 함께 있다. 파괴수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파괴수가 이미 자신 필드에 있는 상태에서는 파괴수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하는 효과는 쓸 수 없기 때문에 원래는 특소 락과 동일한 처리여야 한다.[5] 예를 들어 조겐을 미리 묘지에 묻어놓은 다음 라스트 배틀!을 발동하고, 라스트 배틀! 발동에 체인하여 전선복귀를 발동하여 묘지의 조겐을 소환하는 식.[6] 안 그래도 이 카드 자체의 룰이 모순 투성이인데, 마스터 듀얼에서 이 카드를 생성할 수 없는 이유조차도 모순에 부딪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