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d4d0cd><colcolor=#3f3e3d> 래포트로닉 슈퍼캐패시터 (Lapotronic Supercapacitor) | |
| |
해금 시기 | IV |
유형 | 축전기 |
크기 | 5xNx5 |
약칭 | LSC |
모드 | Kekztech |
Wireless Power 지원 (UHV 이상) | |
TTLaser 지원 (유리 티어 UV 이상) |
1. 개요
GTNH의 축전설비.무선 EU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유일한 축전기이다.
2. 구조
두층의 케이싱 위에 붕규산 유리로 캐패시터를 덮어둔 형태이다.붕규산 유리의 등급은 가장 높은 티어의 캐패시터의 등급 - 3이상이어야한다.
전체[1]에서 1%의 전력이 24시간마다 손실된다.
이 손실은 캐패시터마다 한도가 정해져있으며, 메인터넌스 이슈당 손실이 배가된다.
손실을 최소화하려면 메인터넌스 상태를 풀로 맞춰놓는 것이 최선이다.
UHV 이상의 캐패시터를 달면 캐패시터당 고정 손실이 추가로 발생한다. UHV 캐패시터 1개당 고정손실 100만 EU/t으로 시작해서 티어가 올라갈 때마다 손실률이 100배씩 증가한다.
무선 네트워크 작동구조는
- LSC의 축전량이 60,000,000,000,000EU[2] 이하일 경우 네트워크에서 EU를 전송받아 LSC에 저장한다.
- 60,000,000,000,000EU를 초과하게 저장이 되어있을 경우 캐패시터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 전력을 전송한다.
- 해당 리밸런싱은 6000tick(300초) 단위로 이루어진다.
플라즈마 믹서나 조화의 눈처럼 EU를 무선 네트워크에서 직접 받는 멀티블럭은 전송량에 제한이 없다.
2.1. EV~UV
<colbgcolor=#d4d0cd><colcolor=#3f3e3d> 등급 | 축전량 | |
| <colbgcolor=#d4d0cd><colcolor=#3f3e3d> EV | 60,000,000EU |
| IV | 600,000,000EU |
| LuV | 6,000,000,000EU |
파일:Lapo ZPM_.png | ZPM | 60,000,000,000EU |
| UV | 600,000,000,000EU |
2.2. UHV~
<colbgcolor=#d4d0cd><colcolor=#3f3e3d> 등급 | 축전량 | Wireless EU/t | |
| <colbgcolor=#d4d0cd><colcolor=#3f3e3d> UHV | 9,223,372,036,854,775,807EU | 10,000,000,000EU/t |
| UEV | 9,223,372,036,854,775,807EU | 1,000,000,000,000EU/t |
| UIV | 9,223,372,036,854,775,807EU | 100,000,000,000,000EU/t |
| UMV | 85,070,591,730,234,615,847,396,907,784,232,501,249EU | 10,000,000,000,000,000EU/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