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cue Dawn
1. 개요
베르너 헤어조크 감독의 2007년 영화. 배급은 MGM.2. 특징
베트남 전쟁 동안 베트남/라오스에서 포로로 잡힌 미군 전투조종사 중 최초로 탈출에 성공했던 해군 대위 디터 뎅글러(1938~2001)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바로 이 디터 뎅글러를 연기한게 크리스찬 베일. 전쟁포로의 깡마른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 무려 20Kg을 감량했다. 참고로 이 영화 전후로 찍은게 배트맨 비긴즈와 다크 나이트다. 근육 - 말라깽이 - 근육을 반복했단 소리.줄거리는 미 해군 소속 전투조종사 디터 뎅글러가 라오스에서 격추당해 포로가 되고, 열악한 수용소 생활을 하다가 탈출하여 베트남의 정글에서 살아남는 모습을 담은 이야기. 구더기를 먹는 장면도 나온다. 사실 그런 내용은 크게 중요하지 않고, 헤어조크 팬들 사이에선 그냥 감독이 베트남의 정글을 담고 싶어서 찍었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한다.
헤어조크 감독은 이미 1997년에 디터 뎅글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디터는 날아야 한다(Little Dieter Needs To Fly)를 찍은적이 있다. 꼭 10년만에 같은 소재로 이번에는 극 영화를 만든 셈. 이 영화중 대사이기도 하다. 다른 포로들에게 자신이 어떻게 조종사가 되었는지 알려주는 장면이 있다. 디터가 어린 시절 독일에 살았을 때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이라 연합군 폭격기와 전투기들이 독일 영공을 휘젓고 다녔는데, 그때 저공 비행을 하던 연합군 조종사와 눈이 마주쳤고, 그때 그 조종사의 모습에 반해 조종사가 되기로 다짐했다며 "little Dieter needs to fly."(꼬마 디터는 날고 싶었지)라고 말한다. 참고로 크리스찬 베일 아역 시절에 출연한 영화(태양의 제국)에서 똑같은 장면이 나온다는걸 생각하면 어떤면으로 보면 배우 개그다.
영화 속에서는 디터 뎅글러를 위주로 극을 구성하다보니 포로들이 디터를 포함해 7명인 것을 6명으로 줄였다거나 여러가지로 사실과 다른 사항들이 많이 있는데[1], 그 과정에서 유진 드브루인(1933~1968 ? 생몰연도 불명이라 추정.)이 실제에 비해 심히 찌질하게 그려졌다. 유진의 경우는 영화 속에서 모든 걸 체념한 채 찌질거리는 모습만 보여주는데, 디터와 다른 계획으로 이리저리 충돌했다고는 하지만 탈출에 관해서는 매우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동료 태국 출신 포로들에게도 영어를 가르치는 등 친절했던 인물이며, 오히려 디터가 독일 억양(디터는 2차대전 시기 독일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온 이민자다) 때문에 포로들과 친해지기가 힘들었다고. 실제 디터와 함께 수감되었다가 탈출에 성공한 태국 출신 포로 피시디 인드라닷의 증언에 기초하여 여러가지 사실과 다른 점을 지적한 웹페이지가 있을 정도.[2] 감독은 영화를 만들 당시에는 유진의 영웅적인 행적에 대해 미처 몰랐기 때문에 영화를 이렇게 찍었다고 한다. 사실관계의 왜곡 때문에 크게 분노한 유족과 달리 팬들 입장에서는 티모시 E. 업햄을 연상시키는 제레미 데이비스의 연기는 인상적이였다.
마지막에 검은 양복 입은 사람들이 왜 등장하나 의아하게 생각할 수 있는데, 극중 등장하는 포로들 중 대부분이 에어 아메리카를 탔다가 떨어진 이들이다. 그런데 에어 아메리카는 바로 항공사로 위장하여 활동했던 CIA의 비밀 항공작전 담당조직이다. 즉, 동료 포로들은 넓은 의미에서 CIA 관계자였던 셈. 디터에게서 베트콩이나 파테트라오에 대한 정보를 캐내고 CIA의 정보가 새어나갔는지도 알아봐야 했기 때문에 CIA가 와서 병석에 누운 디터에게 질문 공세를 펼친다. 그런데 항공모함에서 헬기 타고 날아온 동료들이 그런 CIA에게 엿을 먹이고 디터를 납치해서 항공모함으로 데려간다,[3] 마지막에 갑판 엘리베이터를 내려온 헬리콥터에서 내리자 제독 이하로 항공모함 내의 전 승조원이 모여서 디터를 환영해주는 엔딩이 인상적.
3.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
평은 좋았으나 실존인물에 대한 왜곡으로 비난을 받기도 해서인지 1000만 달러로 만든 저예산 영화임에도 상업적 흥행은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