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2:52:39

포스파티딜콜린

레시틴에서 넘어옴


1. 개요2. 역사3. 구조4. 용도
4.1. 효능과 과장

1. 개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은 세포막의 주요 구성 성분인 인지질의 하나로, 글리세롤에 인산과 콜린, 지방산 2기가 붙어 있는 구조이다. 사람의 체내에선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과 함께 세포막의 60% 정도를 차지하며, 쓸개즙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는 레시틴(lecithin)이라고 불린다.

2. 역사

레시틴 물질군의 대표격쯤 되는 성분으로, 1846년 프랑스 생화학자인 테오도르 고블리가 달걀에서 난황 레시틴을 분리하여, 그 이름을 포스파티딜콜린이라 명명하였다.

3. 구조

파일:Phosphatidyl_Choline00.svg
동일한 골격(backbone)에 기초하는 포스파티딜콜린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1]
전형적인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의 분자식은 C44H88NO8P이고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0의 분자식은 C37H74NO8P이다. [2][3]
이들 둘다 [math( C_{n}H_{2n}NO_{8}P )]이며 대부분의 이러한 유사한 분자식을 취한다.

4. 용도

일반적으로는 제빵제과용이나 마요네즈를 만들 때 활용되는 편이다. 계란이나 콩에 함유된 포스파티딜콜린이 일종의 계면활성제이기 때문에 기름과 물과 섞이기 쉽도록 도와준다.

현대에 의약품 및 보조용제로 쓸 때에는 대개 에서 뽑아내어 사용한다(대두 레시틴). 원래는 간경변에 의한 간성뇌증 보조제이지만, 지방세포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지방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하여 지방 분해 주사의 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의사들 말로는 아예 지방이 많은 사람이 시술하기도 수월하고[4], 시술받는 입장에서도 지방이 많을수록 통증이 덜하다 한다. 지방세포 결합 자체를 파괴해 버리는 방법으로 기존의 지방축소술 주사 같이 시술 후 관리실패 시 요요가 적은 편이다. 물론 주사 맞고 쳐묵쳐묵하면 뭔 방법이든 소용없다. 다른 시술도 그렇지만 이 주사로 극적인 변화는 없지만, 죽어도 안 빠지던 부분살 교정에는 꽤나 효과가 있다고 한다. 맞은 직후 혹은 늦으면 그 다음날 자고 일어나면 엄청나게 부은 몸을 확인할 수 있다. 많이 부은 것이 효과가 좋은 것은 아니고 이건 개인의 체질 차이이다.

그러나, 정해진 용도대로 쓰이지도 않는데다가, 제약회사가 효능/효과 재심사 시기까지 관련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 결국 의약품 허가가 취소되었다.

최근에는 그냥 경구 복용 보충제로 난황, 대두, 해바라기로 만들어서 유통되고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난황 레시틴이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가장 높긴 하지만 극히 일부 제품만이 생산될 뿐이다. 다른 두 가지에 비해 만들기 어렵기 때문.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대두, 그리고 일부 해바라기로 만든 레시틴이 쓰이고 있다.

4.1. 효능과 과장

시중에 판매되는 영양제 성분에 포스파티딜콜린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주로 표기되는 효과는 지방의 분해 및 배설, 부교감신경계의 활성화, 세포막을 안정시켜 피부 및 혈관세포를 튼튼하게 해 줌, 인지능력 개선, 과민증 개선, 수면장애 개선, 남성의 발기 및 정액 생산 능력 개선, 혈행 개선, 치매 예방, 통풍 예방, 면역력 증강, 요실금 치료, 항산화 작용, 간세포 보호 등이 그 예다. 때문에 다이어트 보조제, 부스터 등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에 따라 온갖 효능이 다 있는 것으로 과장되어 광고가 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포스파티딜콜린은 만병통치약이나 신비의 영약이 아니다. 다른 식이요법 보조제가 그렇듯 제한적인 결과만이 보고되어 있다. 식약처에 의해 확실하게 효능이 입증된 것은 콜레스테롤 분해 및 배설 정도이며, 항산화 기능이나 두뇌 영양공급 효능은 없는 것으로 실험 결과가 나왔다.

계란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지만 레시틴이 흡수를 방해해 오히려 안전한것으로 알려져있다.


[1] 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또는 1,2-dihexadeca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또는 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 445468(pubchem CID)[2] \[pubchem\]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3] \[pubchem\] 2-ammonioethyl (2R)-2,3-bis(palmitoyloxy)propyl phosphate #[4] 이게 근육은 피하면서 정확하게 지방조직에 주사를 놓아야 하지 엉뚱한데 주사 놓으면 큰일난다고,그래서 지방이 적은 사람이나 근육질이 오면 힘들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