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6:32:03

레온(유희왕)


유희왕 러시 듀얼테마 일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갤럭티카(유희왕)|
파일:갤럭티카 오블리비언 일러스트.png
갤럭티카]]
[[괴의|
파일:天堂始終の面妖姫.png
괴의]]
[[기아스(유희왕)|
파일:환영 드라기아스 일러스트.png
기아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낙오자(유희왕)|
파일:낙오자 모임마 일러스트.jpg
낙오자]]
[[네오 스페이시언(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N・アクア・ドルフィン(RD).png
네오 스페이시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ㄷ]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다이스(유희왕)|
파일:다이스마이트걸 치로리 일러스트.png
다이스]]
[[다이안 켓|
파일:역옥의 신 다이안 켓 일러스트.jpg
다이안 켓]]
[[다크니스(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다크니스 제로로그 일러스트.png
다크니스]]
[[다크매터(유희왕)|
파일:다크매터 엠페러 드래곤 일러스트.png
다크매터]]
[[더☆|
파일:F2migbMa4AA7bFJ_waifu2x_photo_noise3_scale.png
더☆]]
[[데몬(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ArchfiendsIncarnation-DBR-JP-VG-artwork.png
데몬]]
[[드래고닉(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드래고닉 슬레이어 일러스트.png
드래고닉]]
[[드래곤즈|
파일:드래곤즈 킥베이스 마스터 일러스트.jpg
드래곤즈]]
[[등번호(유희왕)|
파일:C등번호39 구아황 홈플레이트 썸네일.jpg
등번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ㄹ]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라브(유희왕)|
파일:라브 엔젤 일러스트.png
라브]]
[[라이스테라스|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라이스테라스]]
[[라이트닝(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F6ipsbja4AAueBq.png
라이트닝]]
[[레온(유희왕)|
파일:역린화참 일러스트.png
레온]]
[[로드 매직|
파일:로드 매직-익스플로전 일러스트.jpg
로드 매직]]
[[로드(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세븐즈로드 매지션 일러스트.png
로드]]
[[로얄데먼즈|
파일:로얄데먼즈 헤비메탈 일러스트.jpg
로얄데먼즈]]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ㅁ]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마그넷 워리어(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자석의 날개 마그넷 발키리온.png
마그넷 워리어]]
[[마장(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마장 야메룰러 일러스트.jpg
마장]]
[[매그넘 오버로드|
파일:초마기신 매그넘 오버로드.jpg
매그넘 오버로드]]
[[메타리온|
파일:메타리온 브리트라스타 일러스트.jpg
메타리온]]
[[메테오(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메테오 블랙 마르스드래곤 일러스트.png
메테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ㅂ]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밴드그룹|
파일:기프트타리스트 일러스트.png
밴드그룹]]
[[버블리|
파일:올나잇피버 일러스트.png
버블리]]
[[베리프레쉬|
파일:ベリーフレッシュハピネスハーベスト.png
베리프레쉬]]
[[보이드베르그|
파일:보이드베르그 레퀴엠 일러스트.png
보이드베르그]]
[[붉은 눈(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흑룡의 노호 일러스트.jpg
붉은 눈]]
[[블랙 매지션(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흑마도향탄 일러스트.jpg
블랙 매지션]]
[[비밀수사관(유희왕)|
파일:F0rWqcqacAIcox6_waifu2x_photo_noise3_scale.png
비밀수사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ㅅ]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사견(유희왕)|
파일:사견무투신 시바 일러스트.png
사견]]
[[사영 다크 루커(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사영 다크 루커 일러스트.png
사영 다크 루커]]
[[사이버(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사이버 러시 드래곤 일러스트.jpg
사이버]]
[[사이버스파이스|
파일:사이버스파이스 퀸시나몬 일러스트.png
사이버스파이스]]
[[사이킥비트|
파일:채광의 프리마기타나 일러스트.png
사이킥비트]]
[[샤먼 밴디트|
파일: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 일러스트.png
샤먼 밴디트]]
[[샤인(유희왕)|
파일:칠흑 샤인왕G 아크토크 일러스트.png
샤인]]
[[성전기|
파일:악성의 인도 일러스트.jpg
성전기]]
[[세븐즈로드|
파일:마스터 오브 세븐즈로드 일러스트.jpg
세븐즈로드]]
[[셀레브로즈|
파일:셀레브로즈 럭셔리 매지션즈.png
셀레브로즈]]
[[소서러(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다크 소서러 일러스트.jpg
소서러]]
[[수기계|
파일:수기계의 왕 캐터펄트 데빌콩 일러스트.png
수기계]]
[[스타즈핸드|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스타즈핸드]]
[[스타캣|
파일:FkBAaBqVEAAXOx7_waifu2x_photo_noise3_scale.png
스타캣]]
[[스페이스(유희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스페이스]]
[[썬더비트|
파일:썬더비트 게인 일러스트.png
썬더비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ㅇ]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아츠엔젤|
파일:아츠엔젤 메탈포지션 일러스트.png
아츠엔젤]]
[[악희|
파일:악희의 배급풍 일러스트.png
악희]]
[[액셀원더|
파일:High Magic - Double Acceleration.png
액셀원더]]
[[양계(유희왕)|
파일:마법양녀 메에~구양 일러스트.png
양계]]
[[어비스(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심연룡신 어비스 포세이도라 일러스트.png
어비스]]
[[어시스턴트(유희왕)|
파일:HP 어시스턴트 아치 일러스트.png
어시스턴트]]
[[엑스큐티|
파일:엑스큐티 스크램블! 일러스트.png
엑스큐티]]
[[엘리멘틀 히어로(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E・HERO シャイニング・フレア・ウィングマン(RD).png
엘리멘틀 히어로]]
[[염 마(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염 마의 귀환 일러스트.png
염 마]]
[[용기사 가이아(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백전의 패자 가이아 일러스트.png
용기사 가이아]]
[[음양(유희왕)|
파일:음양극사 쿠즈하 일러스트.jpg
음양]]
[[이매지너리 아크|
파일:이매지너리 아크 터뷸런스 일러스트.png
이매지너리 아크]]
[[인조인간(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사이코 쇼커 앰플리파이드 일러스트.png
인조인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ㅈ]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저지(유희왕)|
파일:카오스 솔저지 -건조- 일러스트.png
저지]]
[[제왕(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엠페러 렐름 일러스트.png
제왕]]
[[조인테크|
파일:조인테크 렉스 일러스트.png
조인테크]]
[[주사위(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주사위의 대천사 일러스트.png
주사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ㅊ]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창구|
파일:창구의조람.jpg
창구]]
[[천상(유희왕)|
파일:천상루나 키메테라스 일러스트.png
천상]]
[[체어(유희왕)|
파일:쓰론 오브 다크니스 일러스트.png
체어]]
[[초밥천사|
파일:극상초밥천사 아가리브엘 일러스트.jpg
초밥천사]]
[[최강(유희왕)|
파일:최강전기 터프스트라이커 일러스트.png
최강]]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ㅋ]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캇파(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캇파대제 리버스라이더 일러스트.png
캇파]]
[[케미스트(유희왕)|
파일:케미컬라이즈 샐러맨더 일러스트.png
케미스트]]
[[케미스펫|
파일:케미스펫 잉코 일러스트.png
케미스펫]]
[[케미칼큐어|
파일:케미칼큐어 퍼플 일러스트.png
케미칼큐어]]
[[킹스|
파일:킹스 라이트 일러스트.png
킹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타마(유희왕)|
파일:타마봇 일러스트.png
타마]]
[[투환향|
파일:투환향의 험준 일러스트.png
투환향]]
[[트랜잠(유희왕)|
파일:트랜잠 라이나크-워 투 젠! 일러스트.jpg
트랜잠]]
[[트론(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펨트론 일러스트.png
트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ㅍ]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랑도(유희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랑도]]
[[퍼포머(유희왕)|
파일:어뮤지 어노이언스 일러스트 3.png
퍼포머]]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F3fnQQ_agAAcnR5.jpg
푸른 눈]]
[[프라임(유희왕)|
파일:트랜잠 프라임 풀아머노바 일러스트.png
프라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ㅎ]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하늘의(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하늘의 가호 일러스트.png
하늘의]]
[[하이브리드라이브|
파일:하이브리드라이브 스크류드라이버 일러스트.png
하이브리드라이브]]
[[하이테크드래곤|
파일: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 일러스트.png
하이테크드래곤]]
[[해피(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해피 레이디 PM 일러스트.png
해피]]
[[핸디레이디(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핸디레이디 일러스트.png
핸디레이디]]
[[헤드헌터즈(유희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헤드헌터즈]]
[[화면(유희왕)|
파일:화면특인 고기만을 고크부트 일러스트.jpg
화면]]
[[화아(유희왕)|
파일:화아현란 메이카 에트랑제 일러스트.jpg
화아]]
[[환괴|
파일:Fv5_2nnaMAA3dB__waifu2x_photo_noise3_scale.png
환괴]]
[[환인(유희왕)|
파일:환인룡 빌드 드래곤 일러스트.png
환인]]
}}}}}}}}}}}}
[A~Z, 특수문자]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CAN:D(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CAN-Re:D 일러스트.png
CAN:D]]
||
||
[ 각주 ]
● 기준은 러시 듀얼 카드 테마 분류에 포함되는 테마 중 공통 효과 시리즈 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테마입니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입니다.

레온
<colbgcolor=#3D393D> 한국판 명칭 레온
일본판 명칭 レオン
영어판 명칭 le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다양 파충류족 효과

1. 개요2. 설명3. 성능4. 카드 목록
4.1. 일반 몬스터
4.1.1. 메카레온4.1.2. 히메레온
4.2. 효과 몬스터
4.2.1. 하급 몬스터
4.2.1.1. 카마레온4.2.1.2. 츠메레온
4.2.2. 상급 몬스터
4.2.2.1. 메탈 메가레온4.2.2.2. 핫 카엔레온
4.2.3. 최상급 몬스터
4.2.3.1. 프레데터 건레온4.2.3.2. 엑디시스 칼리굴레온4.2.3.3. 언논 플라이레온
4.3. 마법 카드
4.3.1. 격린해방4.3.2. 역린화참
4.4. 함정 카드
4.4.1. 경고린광
5. 미발매 카드
5.1. 마법 카드
5.1.1. 인향해방5.1.2. 의태의 미채검
5.2. 함정 카드
5.2.1. 역린장5.2.2. 강람인분5.2.3. 인회유전

[clearfix]

1. 개요

유희왕 러시 듀얼의 테마.

2. 설명

유희왕 SEVENS고하 유가가 봉인된 인격이 풀려나고 난 뒤에 사용한 다속성 파충류족 테마. 이후 창조의 마스터로드!!에서 카드화되며 정식으로 데뷔하였다.

디자인적으론 전체적으로 카멜레온이 모티브이며, 엑디시스 칼리굴레온을 제외하면 테마 내 메인 몬스터들이 특촬물의 괴수 슈트를 입은 듯한 디자인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고하 형제들과 달리 사용자가 여섯 속성 중 어둠 속성을 상징함에도 에이스 몬스터만 어둠 속성이며, 나머지는 다속성 테마란 차이점이 있는데, 아마도 동명이인인 오도 유가와의 공통점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작중 내에서도 죽은 자의 소생으로 유가의 에이스인 세븐즈로드 매지션을 소환하여 공격력을 최대치인 3900까지 끌어올렸을 정도로 매지션과의 상성도 좋다.

3. 성능

가장 큰 테마 내 컨셉의 특징은 사이킥 테마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LP와 덱을 대량으로 지불하고, 대량으로 덤핑하여 에이스 카드인 프레데터 건레온과 엑디시스 칼리굴레온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사용해 타점을 대폭상승 시키는 것. 이 때문에 최상급 몬스터들을 제외한 메인 덱 몬스터들이 전부 덱 위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덤핑 효과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 더해 각각 회수, 리쿠르트, 관통 부여 등등의 서포트 효과까지 겸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간혹 덱사를 걱정하게 될 것 같기도 하지만, 막상 게임을 해보면 장기전으로 가지 않는 이상 덱사할 경우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오히려 그만큼 덱을 묘지로 덤핑했으면 엑디시스 칼리굴레온의 대폭 상승된 타점으로 게임을 빠르게 끝낼 수 있기 때문. 원작의 사용자인 고하 유가는 이 점을 케어하기 위해 덱을 60장으로 구축했지만, 정작 현실에선 60장만으론 원하는 카드를 패에 잡기가 힘들어져 평범하게 40장으로 구축하는 편이다.

카드풀이 좁았던 유희왕 SEVENS 시절에 데뷔한 최초의 파충류족 테마이지만, 정작 2023년 이후에 유희왕 고 러시!!가 방영하며 등장한 새로운 파충류족 테마, 비밀수사관이 압도적으로 상향된 성능을 가지고 데뷔하여 2023년 4분기~2024년 2분기까지 티어권에서 활약하게 되며, 본 테마는 완전히 비밀수사관의 하위호환 격인 테마가 되어버렸다. 그나마 엑디시스 칼리굴레온이 타점 돌파 용도 위주로 1~2장 정도 투입되긴 했으나, 이마저도 칠보신프라임 드워프를 사용하기 위한 다른 빛 속성 몬스터들에게 밀려버렸다.

4. 카드 목록

4.1. 일반 몬스터

4.1.1. 메카레온

4.1.2. 히메레온

파일:ヒメレオ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히메레온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ヒメレオン,
영어판명칭=Princessle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600, 종족=파충류족,
효과외=귀여운 것을 엄청 좋아하는 카멜레온. 마음에 드는것을 발견하고 질릴 때까지 입에 넣고 함께 지낸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고하 유가가 사용.

모티브는 공주(姫) + 카멜레온.
수록 시리즈
2023-01-01 |
[[일본|]][[틀:국기|]][[틀:국기|]] RD/B224-JP007 | バトルパック2022 Vol.4

4.2. 효과 몬스터

4.2.1. 하급 몬스터

4.2.1.1. 카마레온
파일:カマレオ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카마레온,
일어판명칭=カマレオン,
영어판명칭=Mantisle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레벨=3, 종족=파충류족, 공격력=1000, 수비력=600,
조건=3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중에 일반 몬스터(파충류족)가 있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파충류족)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이 효과를 발동한 턴에\, 자신은 몬스터(파충류족 이외)로 공격할 수 없다.)]

파충류족 전용 로맨스 픽

원본 로맨스 픽과 동일하게 초창기 시절엔 상당히 강력하였던 카드. 로맨스 픽과 다르게 자신의 라이프가 낮을 필요가 없는대신 회수 조건이 일반 파충류족으로 한정되었으며 공격 제한도 붙었다.

그러나 이후 방영된 유희왕 고 러시!!의 테마 비밀수사관에서 이 카드의 상위호환인 비밀수사관 미스캐스트가 나오고, 이후 일반 몬스터의 입지도 자연스럽게 줄어들며 이 카드의 입지 또한 현저히 떨어지게 되었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고하 유가가 사용.

모티브는 (鎌) + 카멜레온.
수록 시리즈
2022-01-29 |
[[일본|]][[틀:국기|]][[틀:국기|]] RD/KP08-JP017 | デッキ改造パック 創造のマスターロード!!
2022-04-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KP08-KR017 | 덱 개조 팩 -창조의 마스터로드!!-
4.2.1.2. 츠메레온
파일:ツメレオ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츠메레온,
일어판명칭=ツメレオン,
영어판명칭=Clawle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땅, 레벨=4, 종족=파충류족, 공격력=1400, 수비력=0,
조건=상대 필드에 뒷면 표시 몬스터가 있을 경우\,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레벨 7 이상 / 파충류족) 1장을 고른다. 이 턴에\, 그 몬스터의 공격은 관통한다(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자신의 최상급 파충류족에게 관통을 부여하는 하급.

파충류족의 강력한 죽창인 프레데터 건레온이나 엑디시스 칼리굴레온에게 관통을 부여하여 상대 표시 형식 관계없이 큰 데미지를 노려볼수있게 도와준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고하 유가가 사용.

모티브는 발톱(ツメ) + 카멜레온.
수록 시리즈
2022-01-29 |
[[일본|]][[틀:국기|]][[틀:국기|]] RD/KP08-JP018 | デッキ改造パック 創造のマスターロード!!
2022-04-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KP08-KR018 | 덱 개조 팩 -창조의 마스터로드!!-

4.2.2. 상급 몬스터

4.2.2.1. 메탈 메가레온
파일:メタル・メガレオ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메탈 메가레온,
일어판명칭=メタル・メガレオン,
영어판명칭=Metal Megale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땅, 레벨=6, 종족=파충류족, 공격력=1700, 수비력=1000,
조건=자신의 LP가 상대보다 적을 경우\, 600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낸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600 올린다.)]

LP가 상대보다 적은 것이 조건이므로 LP 코스트를 요구하는 카드와 같이 써주면 좋다. 이 카드에도 LP 코스트가 존재하니, 1번 발동할 수 있다면 다음 2장째 이후 같은 카드의 효과 발동도 도와준다.

자신의 효과로 공격력이 2300이 되면 상급 몬스터치고는 파격적인 공격력이 되니 나름 우수한 어태커로 기능한다. 다만 다음 턴엔 다시 원래 공격력으로 돌아가므로 필드 유지에 집착하기 보다는 일회용 어태커 겸 묘지 비축 요원으로 인식해 두는 편이 좋겠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고하 유가가 사용. 작중에서는 구루구루의 모습으로 고하 유오와의 듀얼 중 사용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2장을 어드밴스 소환으로 불러냈으나 메타리온 킹코브라스타의 효과로 2장 다 약화된 뒤 전투로 파괴, 첫번째의 경우에는 난세의 엘레지의 발동으로 연계되었다.

이후 오도 유가와의 듀얼에서도 사용되었으며, 효과로 카마레온을 포함하는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내 묘지를 비축했다. 이후 다음 턴에는 세븐즈로드 위치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2-01-29 |
[[일본|]][[틀:국기|]][[틀:국기|]] RD/KP08-JP020 | デッキ改造パック 創造のマスターロード!!
2022-04-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KP08-KR020 | 덱 개조 팩 -창조의 마스터로드!!-
4.2.2.2. 핫 카엔레온
파일:ホット・カエンレオ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핫 카엔레온,
일어판명칭=ホット・カエンレオン,
영어판명칭=Fiery Infernle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화염, 레벨=6, 종족=파충류족, 공격력=1600, 수비력=1000,
조건=자신의 LP가 상대보다 적을 경우\, 600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중에 몬스터(파충류족)가 있었을 경우\, 추가로 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레벨 6 이하 / 파충류족)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LP가 상대보다 적은 것이 조건이므로 LP 코스트를 요구하는 카드와 같이 써주면 좋다. 이 카드에도 LP 코스트가 존재하니, 1번 발동할 수 있다면 다음 2장째 이후 같은 카드의 효과 발동도 도와준다.

묘지로 보낸 카드 중 파충류족 몬스터가 포함되어 있다면 레벨 6 이하의 파충류족 일반 몬스터도 소생시킬 수 있다. 수륙의 제왕이나 아머 리저드 같은 어태커를 되살리면 전력이 보강되고, 추가로 상급 이상의 어드밴스 소환도 서포트할 수 있다. 최상급인 프레데터 건레온이나 엑디시스 칼리굴레온은 어드밴스 소환을 서포트해줄 뿐만 아니라 효과 면에서도 시너지가 있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고하 유가오도 유가와의 듀얼 중 사용. 메탈 메가레온과 함께 어드밴스 소환되어 효과로 메탈 메가레온, 렛카메테오, 히메레온을 묘지로 보내고 히메레온을 소생시켰다. 다음 턴 세븐즈로드 매지션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2-01-29 |
[[일본|]][[틀:국기|]][[틀:국기|]] RD/KP08-JP019 | デッキ改造パック 創造のマスターロード!!
2022-04-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KP08-KR019 | 덱 개조 팩 -창조의 마스터로드!!-

4.2.3. 최상급 몬스터

4.2.3.1. 프레데터 건레온
파일:プレデター・ガンレオ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건레온,
일어판명칭=プレデター・ガンレオン,
영어판명칭=Predator Gunle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7, 종족=파충류족, 공격력=2500, 수비력=600,
조건=자신의 LP가 1000 이하일 경우\, 덱 위에서 카드 5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서로의 LP의 차]만큼 올린다.)]
"형태 없이, 소리도 없이,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오너라! 절대적인 포식자여! 프레데터 건레온!"
고하 유가, 유희왕 SEVENS

위기 상황에서만 발동할 수 있는 강화 효과를 지닌 몬스터. 같은 라이프 조건을 요구하는 쇄광의 에스파레이드와 마찬가지로 평소엔 바닐라처럼 쓰다가 조건이 만족되는 타이밍에 잡히면 역전할 수 있는 몬스터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고하 유가의 에이스격 몬스터로 등장. 고하 유가의 듀얼에서는 매번 등장했으며, 초반부터 LP를 스스로 깎아 높은 공격력을 얻었다. 고하 유가의 몬스터들은 전반적으로 특촬의 괴수 슈트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 카드는 목 부분에 눈 구멍까지 새겨져 있다.

공격명은 '사일런트 다크니스 어쌔시네이션(サイレント·ダークネス·アサシネーション)'.
수록 시리즈
2022-01-29 |
[[일본|]][[틀:국기|]][[틀:국기|]] RD/KP08-JP021 | デッキ改造パック 創造のマスターロード!!
2022-04-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KP08-KR021 | 덱 개조 팩 -창조의 마스터로드!!-
4.2.3.2. 엑디시스 칼리굴레온
4.2.3.3. 언논 플라이레온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00> 파일:최강점프 로고.svg유희왕 러시 듀얼
최강점프 동봉 카드(2022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陰陽極士ドウマ.jpg
파일:ハンズレイ・デストライオ.jpg
파일:アンノウン・フライレオン(B232).jpg
파일:星戦騎ペリュオン.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SJMP-JP011
음양극사 도우마
SJMP-JP012
핸즈레이 디스트라이오
SJMP-JP013
언노운 플라이레온
SJMP-JP014
성전기 펠리온
파일:ダイレクトダイブ・ドラゴン.jpg
파일:ライステラス・セキュア.jpg
파일:尖頭狩猟ジャグール.jpg
6월호 7월호 8월호
SJMP-JP015
다이렉트다이브 드래곤
SJMP-JP016
라이스테라스 시큐어
SJMP-JP017
헤드헌터즈 쟈굴
파일:ヴォイドヴェルグ・トランジ.jpg
파일:ドリリング・トラクタイガー.jpg
파일:燃焼鬼ブンゼル.jpg
파일:ジョインテック・ラプトル(SJMP).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SJMP-JP018
보이드베르그 트랜지
SJMP-JP019
드릴링 트랙타이거
SJMP-JP020
연소귀 분젤
SJMP-JP021
조인테크 랩토르
}}}}}}}}} ||
← 2021년2023년 →

파일:アンノウン・フライレオン(B232).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언논 플라이레온,
일어판명칭=アンノウン・フライレオン,
영어판명칭=Unknown Flyle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바람, 종족=파충류족, 레벨=7, 공격력=2300, 수비력=100,
조건=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앞면 공격 표시로 한다.)]

상대의 벽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바꿔서 전투로 부숴버리며 전투 데미지를 안길 수 있다. 최상급 치고는 공격력이 낮아서 웬만하면 수비벽으로 버티려는 몬스터에 강한 강약약강 카드라 할 수 있다.

효과 발동시 LP 코스트를 요구하는데, 파충류족은 자신의 LP가 상대보다 낮거나 일정 LP 이하일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많은 덕분에 시너지가 작용한다.
수록 시리즈
2022-02-04 |
[[일본|]][[틀:국기|]][[틀:국기|]] RD/SJMP-JP013 | 最強ジャンプ2022年3月号付録カード
2023-07-01 |
[[일본|]][[틀:국기|]][[틀:국기|]] RD/B232-JP009 | バトルパック2023 Vol.2
2023-10-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EPP1-KR008 | 익스프레스 팩

4.3. 마법 카드

4.3.1. 격린해방

파일:激鱗解放.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격린해방,
일어판명칭=<ruby>激鱗解放<rp>(</rp><rt>げきりんかいほう</rt><rp>)</rp></ruby>,
영어판명칭=Enraged Scale Liberat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있을 경우\,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5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중에 몬스터(파충류족)가 있었을 경우\, 추가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파충류족)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이 효과로 묘지로 보낸 몬스터(파충류족)의 수] × 200 올릴 수 있다.)]

1000 LP 코스트를 대가로 5장의 묘지 덤핑을 실행시켜주며, 이것만 봐도 사이코한 매장의 거의 상위호환급 성능을 자랑한다. 조건이 붙긴 했어도 선공 첫 턴만 아니라면 채우기 쉬울 만큼 간단하다. 따라서 파충류족을 안 쓰는 덱이라도 묘지 덤핑용으로 써먹는 게 가능하다.

다크 레버레이션, 트론 등 묘지에 존재하는 카드에 따라 조건을 채우거나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는 카드를 채용하는 덱에서 써봐도 좋다. 묘지 회수가 가능한 카드를 써주면 소비된 패도 보충해올 수 있다.

마찬가지로 LP 코스트로 묘지를 채워주는 로맨스 픽과 비교하자면, 해당 카드는 LP 코스트로서 해당 카드의 조건을 채워주기 쉬워지니 상성이 좋으며, 다른 사이킥족 몬스터 효과의 간접적인 서포트로도 기능한다. 다만 지불할 LP가 불어나기 쉬우니 LP 관리는 철저히 해주자. 사이킥 덱에서 LP 코스트 부담 역할은 어뮤지 퍼포머로도 가능하지만, 해당 카드는 자신을 릴리스에 쓸 수 있고 코스트 자체도 적은 대신 묘지 덤핑 기능이 없는데다 시에스타홀드 등으로 방해받을 가능성도 있으니 상위호환으로 칠 수 있겠다.

후반 강화효과는 묘지로 보낸 파충류족의 매수에 비례하여 파충류족 몬스터를 강화할 수 있으니 파충류 덱에서는 놓치기 힘든 강력한 효과가 된다. 여기에 엑디시스 칼리굴레온, 프레데터 건레온 같은 최상급 파충류족 몬스터들과의 시너지도 강하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고하 유가가 사용. 작중에서는 고하 유오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파충류족 몬스터 3장을 묘지로 보내고 프레데터 건레온의 공격력을 올려 효과 조건을 충족시켰다.
수록 시리즈
2022-01-29 |
[[일본|]][[틀:국기|]][[틀:국기|]] RD/KP08-JP051 | デッキ改造パック 創造のマスターロード!!
2022-04-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KP08-KR051 | 덱 개조 팩 -창조의 마스터로드!!-

4.3.2. 역린화참

파일:逆鱗火斬.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역린화참,
일어판명칭=<ruby>逆鱗火斬<rp>(</rp><rt>げきりんかざん</rt><rp>)</rp></ruby>,
영어판명칭=Fire Wrat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패의 몬스터(파충류족) 2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효과의 조건으로 묘지로 보낸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 이하의 레벨을 가진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패의 파충류 2장을 묘지로 보내고 보낸 몬스터의 레벨 이하의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 마법 카드.

마법 카드이기에 레벨 조절만 잘한다면 대부분의 경우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다. 패말림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도 강력.

2장의 몬스터를 소모해 몬스터를 제거한다는 점에서 신풍 블레이드와 비슷하며 구도 또한 닮았다.
수록 시리즈
2022-01-29 |
[[일본|]][[틀:국기|]][[틀:국기|]] RD/KP08-JP052 | デッキ改造パック 創造のマスターロード!!
2022-04-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KP08-KR052 | 덱 개조 팩 -창조의 마스터로드!!-

4.4. 함정 카드

4.4.1. 경고린광

파일:警告鱗光.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경고린광,
일어판명칭=<ruby>警告鱗光<rp>(</rp><rt>けいこくりんこう</rt><rp>)</rp></ruby>,
영어판명칭=Warning Scale Phosphorescenc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파충류족)가 있을 경우\, 상대가 몬스터(레벨 7 이상)를 앞면 표시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턴에\, 상대는 몬스터(공격력 3000 이상)로 공격할 수 없다. 추가로\, 자신 묘지의 몬스터(파충류족)를 5장까지 고르고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고하 유가오도 유가의 뒤를 이은 카미조 타츠히사와의 듀얼 중 사용. 여기서는 공격 봉쇄 효과만 있었으며, 마도 기사-세븐즈 파라딘의 퓨전 소환시 발동하여 세븐즈 파라딘의 첫번째 선택 효과를 통한 강화를 간접적으로 막았다. 이로써 엑디시스 칼리굴레온의 전투 파괴를 막은 듯 보였으나, 결국 엑디시스 칼리굴레온이 약체화되면서 공격력 2900의 세븐즈 파라딘의 공격에 파괴되며 패배하게 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2-01-29 |
[[일본|]][[틀:국기|]][[틀:국기|]] RD/KP08-JP061 | デッキ改造パック 創造のマスターロード!!
2022-04-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KP08-KR061 | 덱 개조 팩 -창조의 마스터로드!!-

5. 미발매 카드

5.1. 마법 카드

5.1.1. 인향해방

파일:ScaleIncenseLiberation-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인향해방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鱗香解放<rp>(</rp><rt>りんこうかいほう</rt><rp>)</rp></ruby>,
영어판명칭=Scale Incense Liberat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파충류족) 10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5.1.2. 의태의 미채검

파일:CamouflageSword-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의태의 미채검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擬態<rp>(</rp><rt>ぎたい</rt><rp>)</rp></ruby>の<ruby>迷彩剣<rp>(</rp><rt>めいさいけん</rt><rp>)</rp></ruby>,
영어판명칭=Camouflage Swor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파충류족)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의 패를 확인하고\, 그 중에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이 효과로 묘지로 보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릴 수 있다.)]

5.2. 함정 카드

5.2.1. 역린장

파일:BurialWrath-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역린장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逆鱗葬<rp>(</rp><rt>げきりんそう</rt><rp>)</rp></ruby>,
영어판명칭=Burial Wrat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파충류족)이 상대의 함정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 덱 위에서 카드 5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서로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그 후\, 이 효과의 조건으로 파괴된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5.2.2. 강람인분

파일:StormingWrath-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강람인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強嵐鱗粉<rp>(</rp><rt>きょうらんりんぷん</rt><rp>)</rp></ruby>,
영어판명칭=Storming Wrat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 / 파충류족)가 있을 경우\, 상대가 몬스터(레벨 7 이상)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른다. 그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5.2.3. 인회유전

파일:CircleofWrath-JP-Anime-SV.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인회유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鱗廻流転<rp>(</rp><rt>りんねるてん</rt><rp>)</rp></ruby>,
영어판명칭=Circle of Wrath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덱 위에서 카드 5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 파충류족) 1장을 고르고 주인의 덱 아래로 되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