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6-09-09 06:18:02

레인저(던전 앤 파이터)/스킬/특성


1. 잭스파이크/마릴린 로즈 강화2. 라이징샷 강화3. 윈드밀/탑스핀 강화4. 퍼니셔/스프리건 강화5. 마하킥/니들 소배트 강화6. 건가드 강화7. 헤드샷 강화8. 리벤저 강화9. 에어레이드/소닉 스파이크 강화10. 이동사격 강화11. 난사/권총의 춤 강화12. 멀티 헤드샷 강화13. 트리플 탭 강화14. 더블 건호크 강화

1. 잭스파이크/마릴린 로즈 강화

파일:MHGyNWg.png
파일:EVDHXUY.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45 + 5n 선행 스킬 (남) 잭스파이크 Lv10 / (여) 마릴린 로즈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1
TP 스킬 효과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8%

2. 라이징샷 강화

파일:p2rvsyT.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45 + 5n 선행 스킬 라이징샷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1
TP 스킬 효과
1레벨당 후 딜레이 감소율 6%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8%

3. 윈드밀/탑스핀 강화

파일:dHc8OTQ.png
파일:HhzUbkC.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45 + 5n 선행 스킬 (남) 윈드밀 Lv10 / (여) 탑스핀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1
TP 스킬 효과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8%
1레벨당 발동속도 증가치의 증가율 5%
태권 트리, 특히 킥 앤 데드 3셋이라도 있다면 고려해볼만하다. 참고로 발동속도 증가는 합연산이 아니라 복리 적용이니 수치가 크다고 낚이지 말자.

4. 퍼니셔/스프리건 강화

파일:ZiWsN0E.png
파일:TACwhXM.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50 선행 스킬 (남) 퍼니셔 Lv10 / (여) 스프리건 Lv10
마스터 레벨 1 최대 레벨 3
시전 시간 - TP소모 (남) 3 / (여) 2
TP 스킬 효과
1레벨당 발사수 증가량 2회
1레벨당 공격력 감소량 15%
1레벨당 충격파 공격력 감소량 15%
퍼니셔/스프리건은 보기와 달리 마스터 + 특성스킬 마스터시 총 퍼센트 공격력이 2700%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1]

5. 마하킥/니들 소배트 강화

파일:WE6LFTd.png
파일:pOKwLdV.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45 + 5n 선행 스킬 (남) 마하킥 Lv10 / (여) 니들 소배트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1
TP 스킬 효과
1레벨당 넉백거리 증가량 8%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8%
마하킥/니들 소배트를 마스터했다면 찍어볼 만하다. 전부 다 투자해 준다면 괜찮은 딜을 뽑긴 하지만 다른 스킬에 투자하는 게 훨씬 강하다는 걸 잊지 말자.

6. 건가드 강화

파일:yXdT6ER.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45 + 5n 선행 스킬 건가드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2
TP 스킬 효과
1레벨당 완전 방어 확률 증가량 10%
가드시 일정 확률로 피해를 0으로 줄인다. 상태 이상은 안 막아준다. 건가드를 마스터 했을 시 이미 상당히 많은 피해를 줄여주기 때문에 일정 확률로 0피해를 입는다는 것만으로 TP를 투자하기엔 TP가 너무 아깝다.

7. 헤드샷 강화

파일:WWIzpqB.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55 + 5n 선행 스킬 건가드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2
TP 스킬 효과
1레벨당 공격력 증가량 10%
1레벨당 관통력 증가량 3%
예전에는 선호도가 높았으나 뉴 밸런스 패치 이후 무큐 스킬들이 상향되면서 마스터해도 헤드샷 총합 대미지가 4000% 가량이어서 약하다고 안 찍는 사람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밸런스 패치를 통해서 트리플 클러치의 막타를 헤드샷으로 대체가 가능해 짐에 따라 웨스턴 파이어와 함께 증폭된 헤드샷을 계속 쏠 수 있다고 찍는 이들이 증가했으며, 남성 레인저의 2차 각성이 추가되면서 헤드샷 스킬 자체의 대미지가 증가한데다 헤드샷 강화가 추가되며 마스터하는 이들이 증가했다.

8. 리벤저 강화

파일:7wBoSSj.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55 + 5n 선행 스킬 건가드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2
TP 스킬 효과
습득 시 즉시 적용 효과 스킬 키 홀드 시 무적화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10%
1레벨당 최대 무적화 가능 시간 0.3초

9. 에어레이드/소닉 스파이크 강화

파일:FTAJtHK.png
파일:sKsbSPT.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45 + 5n 선행 스킬 (남) 에어레이드 Lv10 / (여) 소닉 스파이크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2
TP 스킬 효과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10%
1레벨당 X축 초당 이동속도 증가율 5%
1레벨당 Y축 초당 이동속도 증가율 5%
이 스킬을 찍으면 윈드밀/탑스핀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해진다. 다만 TP가 부족하고 호불호가 갈리는 스킬이라 찍기는 애매한 편.

10. 이동사격 강화

파일:akwehhI.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45 + 5n 선행 스킬 이동사격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2
성별에 따른 차이 남성 여성
1레벨당 공격/이동속도 증가율 6%
1레벨당 발사수 증가율 10% 6%
마스터시 발사수는 리볼버 기준 45발. 추가로 공격,이동속도 증가율이 붙었으며,이제 이동사격은 공격키를 누른채로 유지만해도 속사가 가능해서 남,여할거 없이 나쁘지 않게 됐다.이전 프리사이스 파이어와 비교가 차이가 미묘한 수준이기 때문,주의할 점은 이 스킬을 배우는건 레벨 50부터라고 적혀있지만 선행 조건인 이동사격의 레벨 10을 달성하는건 레벨 53이다. 따라서 달인의 계약을 맺지 않는 이상 최초 습득은 레벨 53이다.

11. 난사/권총의 춤 강화

파일:KdyZbCa.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60 + 5n 선행 스킬 (남) 난사 Lv10 / (여) 권총의 춤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2
TP 스킬 효과
(남성 한정) 1레벨당 타격횟수 증가량 2회
(남성 한정) 1레벨당 난사 속도 증가치 10%
(여성 한정)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10%
(여성 한정) 1레벨당 출혈 레벨 증가치 2레벨
남 : 난사 발사수를 증가시킨다. 대미지 약화가 없는 강화스킬이기 때문에 반드시 찍어야 할 필수 스킬.[2]

여 : 레벨당 권총의 춤 공격력과 출혈 레벨이 올라간다. 난사와는 달리 찍을지 말지는 선택사항

시간의 문 패치 전에는 TP 4를 소모해서 난사 및 권총의 춤 발사수를 최소 3회 최대 5회 증가시켰다. 단일 레벨이었다. 이전에 여 레인저는 하향당했다는 투의 글이 쓰여있었지만 최대 연타시의 대미지 증가량은 남자나 여자나 레벨당 똑같이 10%다. 난사/권총의 춤이 기를 쓰고 발사 수를 올리려고 하는 스킬이긴 하지만 여 레인저의 TP는 좋게 보면 순간 딜링에 중점을 두었다고도 볼 수 있다. 여담이지만 뉴 밸런스 패치 때 건호크 TP의 차별화를 두게 한 시초로 보인다.

난사와 권총의 춤은 스킬 아이콘이 미묘하게 차이가 있는데 정작 특성 스킬의 아이콘은 남/여 관계 없이 난사의 아이콘을 사용하고 있다.

12. 멀티 헤드샷 강화

파일:qoRpwaV.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60 + 5n 선행 스킬 멀티 헤드샷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2
TP 스킬 효과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10%
1레벨당 공격 범위 증가율 10%
버스트 디보티 3세트 + 멀티 헤드샷 강화 M 상태라면 공격 범위가 엄청나게 증가해 거의 한 화면의 끝까지 공격이 가능하다. 버스트 디보티나 스탠다드 프로시저 같은 멀티 헤드샷 특화 세팅을 한 상태라면 무조건 마스터.

13. 트리플 탭 강화

파일:qoRpwaV.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50 + 5n 선행 스킬 트리플 탭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2
TP 스킬 효과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10%

14. 더블 건호크 강화

파일:gk5efyP.png 패시브(특성)
습득 레벨 60 + 5n 선행 스킬 더블 건호크 Lv10
마스터 레벨 5 최대 레벨 7
시전 시간 - TP소모 2
TP 스킬 효과
(남성 한정) 1레벨당 회전시간 증가율 15%
(남성 한정)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5%
(여성 한정) 1레벨당 공격력 증가율 10%
뉴밸런스 패치로 인해 남녀 건호크 스킬에 차이가 생겼다. 이는 TP 강화에서도 이어진다.

우선 데페의 경우 건호크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시간을 레벨당 15% 증가시킨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체공시간만 상승하는 게 아니라 회전 수도 증가한다. 따라서 대미지 상승을 노릴 수 있다. 체공시간 상승 덕에 컨트롤도 쉬워지고 남성 레인저의 경우엔 1->2회째나 2->3회째 투척 사이에 멀티 헤드샷을 다 꽂아넣는 게 가능해졌다. 그리고 이제 충격파로 넘어졌을 때 허망하게 뒤로 날아가던 건호크를 지켜보지 않아도 된다. 재빨리 퀵 스탠딩으로 일어나면 다시 잡아 채 던지는 게 가능할 정도.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원거리 공격에 경직을 받지 않는 슈퍼 아머인 적에게는 홀딩을 하지 않는 이상은 풀히트가 더 어려워졌다. 또 타 직업의 tp강화에 보통 붙어있는 단순 공격력 증가 10%정도에 비하면 공격력 증가 비율이 낮다는 점이 있으며, 순간 극딜이 추세인 현 던파상황에 맞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다. 때문에 레이븐들에겐 전혀 쓰이지 않는 잉여이다. 이게 좋은 효과였으면 80제 유니크 리볼버인 대저택이 쓰레기 취급은 받지 않았을 것이다. 대저택의 옵션은 건호크 TP 레벨 2나 다름없는, 유지시간 20% 증가이기 때문. 만일 블디의 공격력 옵션이 나왔다면 TP2 그냥 올려주는 사기 유니크가 나왔을 것이다. 때문에 레이븐 유저들은 로제와 같이 그냥 공격력 증가나 달라고 아우성 중.

2015년 11년 19일 패치 이후로 남성 레인저에게도 공격력 증가가 생겼다. 여성 레인저의 절반 수준이지만 기존 옵션과 합쳐져서 화력이 많이 뛰어오른 덕분에 충분히 찍을만한 TP로 변화한 것.

그리고 블러디아의 경우, 심플하게 레벨당 공격력 10% 증가. 뉴밸런스 패치 이후 건호크가 성별에 따라 특색을 보이게 되며 시너지를 일으켜, 그야말로 미칠듯한 퍼댐을 자랑하게 되었다. TP를 모두 밀어준 블러디아의 건호크는 악즉참 부럽지 않은 퍼댐을 낸다. 게다가 여거너 2차 각성 패치 이후 추가된 버프 스킬인 '체인 파우더'를 사용할 경우, 건블레이드가 장착된 건호크가 자체적인 몹몰이 기능이 생겨 아주 간단하게 풀히트가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7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하지만 발사수가 늘어나는 만큼 시간을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DPS측면에선 떨어지고 적이 죽는 순간 사격을 멈추기 때문에 추가된 발사수를 전부 느끼기엔 불편한 감이 있다. 활용처는 대체로 무큐기의 쿨타임을 벌고 동시에 스타일리쉬 효과를 살리기 위해 잡힌 적이 살아있어야 할 경우나 캐넌을 끼고 공속을 낮춘 후 단일 대상을 무한 홀딩하는 꼼수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2] 기본이 12~20회라 실 대미지 증가량은 10 ~ 16%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