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21년 3월 18일 폴란드 제2공화국과 볼셰비키(러시아 SFSR, 우크라이나 SSR) 사이에 체결된 강화조약. 이 조약으로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이 종결되었다. 리가는 지금의 라트비아의 수도인 리가를 말한다.
리가에서는 전 해인 1920년 8월 11일 라트비아와 볼셰비키 사이에 또다른 리가 조약이 체결되었다. 라트비아는 이 조약으로 볼셰비키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았다.
2. 배경
1918년 소비에트 러시아는 독일 제국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체결하여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해 말 독일이 패망하자 볼셰비키는 조약을 파기하고 구 러시아 제국의 영토를 회복하기 위해 동유럽을 전면 침공했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침공을 당했는데, 그 중 벨라루스는 멸망해버렸고 우크라이나도 수도 키예프를 점령당하고 멸망 직전에 내몰렸다.한편 1918년 독립한 폴란드는 구 폴란드-리투아니아를 재건하려 시도하였고, 이것은 러시아 제국의 영토 회복과 나아가 중유럽의 공산화를 꾀하던 러시아의 이해관계와 정면으로 충돌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러시아가 벨라루스를 멸망시키고 발트 3국과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이 나라들과 인접한 폴란드의 공포감은 날이 갈수록 커져만 갔다. 결국 1919년 2월 폴란드가 벨라루스 서쪽까지 진출한 붉은 군대에 먼저 선공을 걸어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을 일으켰다.[1] 처음에는 단순한 국경분쟁이었던 이 전쟁은 1920년 폴란드가 우크라이나의 원조 요청을 받아 키예프로 원정군을 파병하여 전면전으로 격화되었다.
러시아는 키이우와 벨라루스에서 폴란드-우크라이나 동맹군을 격파하고 역공을 걸어 폴란드 영내로 진격했으나, 8월 폴란드는 바르샤바 전투에서 붉은 군대를 격파하여 전세를 다시 유리하게 돌렸다. 붉은 군대는 연패하여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 서부에서 쫓겨났다. 1920년 말 전쟁을 지속할 경제적 능력이 고갈된 폴란드와 러시아는 10월 12일 일단 휴전에 조인했다. 그후 1921년 3월 18일 양측은 라트비아의 수도 리가에서 정식으로 강화조약을 체결했다.
3. 내용
리가 조약의 폴란드어 버전 2쪽. | 조약으로 확정된 폴란드-볼셰비키 국경선 |
조약은 총 26개조로 구성되었다. 1조는 쌍방의 전쟁 상태의 종식을 명시했다. 2조는 쌍방이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인정하고 폴란드와 러시아-우크라이나-벨라루스 사이의 국경선을 형성함을 명시했다. 또한 국경선을 세부적으로 설정했다. 3조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2]가 서부 국경 너머 폴란드 영역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고, 마찬가지로 폴란드도 동부 국경 너머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영역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함을 명시했다. 4조는 쌍방의 주권 존중을 명시했다.
11조는 1772년 1차 폴란드 분할 이래 러시아가 폴란드에서 자국으로 이전한 모든 미술 소장품, 기록물, 장서들을 폴란드로 반환하며, 13조는 폴란드가 러시아에 남은 자산을 포기하는 대가로 3천만 금루블을 지불받음을 명시했다. 24조는 양국이 외교관계를 수립함을 명시했다.
조약은 폴란드 의회에서 1921년 4월 15일에, 그리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소비에트에서 각각 4월 14일과 17일에 비준되었다. 5월 3일 쌍방은 민스크에서 각서를 교환했다. 조약은 1939년 9월 17일 소련이 폴란드를 침공함에 따라 파기되었다.
4. 영향
1921년 3월 18일 강화조약에 조인하는 양측 대표단. |
1918년 독립 이래 폴란드 내에서는 폴란드 민족과 다른 동유럽 제민족 간의 연합을, 그리고 최종적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의 부활을 꾀하는 연방주의파와 폴란드 민족의 민족국가 수립을 주장하는 민족주의파가 대립해왔다. 리가 조약 체결은 폴란드의 대외노선을 둘러싼 내부 논쟁에서 민족주의파가 승리했음을 뜻했다. 폴란드의 지도자이자 연방주의파의 거두 유제프 피우수트스키는 실무협상에 참여하지 못하고 단지 참관인으로만 참여했을 뿐이었다.
피우수트스키는 이 조약을 두고 "비겁한 행동"이라고 부르며 불쾌감을 감추지 못했다. 폴란드가 리가 조약을 체결하여 대 소비에트 전쟁에 참여한 동맹국인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을 내팽개쳤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런 행동은 1920년 폴란드와 우크라이나가 동맹을 체결한 바르샤바 조약도 위반하는 것이었는데, 이 조약에서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을 우크라이나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인정한 바 있으며, 개별적인 강화조약을 체결하지 않는다고 명시했기 때문이다.
패배한 것은 폴란드의 연방주의파뿐만이 아니었다. 겉보기에 폴란드는 동부 국경지대의 영토를 대거 확보했지만, 이 지역은 군사적으로는 방어하기 어려운데다 경제적으로는 크게 낙후된 지역이었다. 벨라루스 내에서 그나마 발전된 민스크 일대는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말기 폴란드가 재점령했지만, 폴란드 국경선 내에 소수민족을 더 늘리면 안된다는 민족주의파의 반발로 결국 이 지역을 포기하고 만다. 그리고 어찌되었든 간에 폴란드는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민족주의 진영을 배반한 것이 되었고, 전간기 내내 폴란드는 결국 두 민족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실패하고 만다.
볼셰비키는 원래 목표했던 러시아 제국 영토 수복과 중유럽 진출, 그리고 세계 혁명 전략을 포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폴란드를 상대로 군사적 패배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의 절반과 우크라이나의 5/6를 차지하는 등 꽤 유리한 조건으로 조약을 체결했고, 나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폴란드의 개입도 끝내 우크라이나가 분리독립을 시도할 가능성을 차단했다.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는 이 전쟁으로 자민족이 거주하는 영역이 폴란드와 러시아에 의해 분할되었다. 결국 이러한 분할은 1939년 나치 독일과 소련이 폴란드를 침공하여 폴란드를 5번째로 분할함으로써 끝났다.
[1] 물론 폴란드는 이렇게 볼셰비키의 중유럽 진출에 맞서 싸우면서도, 동시에 리투아니아의 빌뉴스 일대를 점령하고(붉은 군대가 점령하고 있던 곳을 그대로 차지함)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을 멸망시키는 등 다른 약소국의 영토를 쳐묵쳐묵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2] 여기서는 우크라이나 SSR을 가리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