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9:39:16

만귀고개

1. 개요2. 튜토리얼3. 스토리4. 진행 팁5. 평가

1. 개요

24년 9월 2일에 출시한 로그라이크 게임. #
Itch.io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

2. 튜토리얼

튜토리얼은 나무꾼의 이야기로 마지막까지 도달했을 때 보스에게 당하며 마무리 된다(아무리 때려도 미스가 뜨니 조용히 죽자) 이후에 정식 스토리 진행이 가능하다. 이후에 무사, 견습무당으로 플레이할 수 있으며, 무사, 견습무당을 끝까지 클리어하면 도둑(돌막), 고술사(다물치)로 플레이 가능하다. 다만 고술사는 추후 업데이트 예정

3. 스토리

무사와 견습무당의 스토리는 총 단계는 3개로 나눠진다. 각각 각시놀음, 붉은 상투 잡기, 저승 놀이로 구성된다. 각각의 단계 마지막에 도달하면 최종 보스를 싸워서 이겨야 한다. 스토리 상으로 무사가 먼저 지나간 후 견습무당이 그 발자취를 따라 공략하는 형태로 이야기가 흘러간다.

도둑과 고술사는 별도의 대화나 스토리가 없다. 또한 9/2일자 버전(v0.1.1)으로 고술사로 플레이할 경우 나무꾼으로 진행이 되며, 레벨업해도 따로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없다. 추후 업데이트 될 것으로 보인다.

나무꾼으로 진행할 경우 레벨업(승단) 시에 나오는 하단의 노란색 띠가 귀찮긴하지만 플레이는 가능하다. 장비나 기술만 갖춰진다면 마지막 보스까지도 잡을 수는 있다. 다만 보스를 잡아도 따로 스토리나 대화는 없으므로 엔딩으로 진행은 되지 않는다.(그래도 튜토리얼에서 무조건 죽어야하는 나무꾼 입장에서 복수가 가능하다)

4. 진행 팁

- 지도 관련
. '일몰까지 xxx'는 해당 턴 안에 다음 지도로 넘어가라는 의미이며, 남아 있는 턴이 없을 경우 턴당 -1의 페널티를 받는다
. 적과 보물상자가 1개만 남았을 경우 지도에 표시된다
. 맵에 간혹 등장하는 보부상을 통해서 장비나 기술을 살 수 있다(싼 목록도 가끔 있지만 일반적으로 600냥 수준).
. 보부상도 요괴 중의 하나이며, 두 번 피해를 입히면 보부상과 전투에 돌입한다. 보부상은 기본적으로 강한 편이며 보부상을 쓰러뜨린 이후에 등장하는 다음 보부상부터는 적대적인 상태로 등장하며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그리고 해당 이야기의 마지막인 일곱 번째 고개에는 무조건 보부상이 등장한다. 따라서 진행상황을 봐가며 전투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보부상과 전투에서 승리하면 판매 목록 중에서 하나를 무작위로 얻을 수 있고, 일정 확률로 보부상의 고유 기술을 얻을 수 있다.[1]

- 상자 관련
.일반 상자에서 장비를, 파란 상자에서는 기술을 얻을 수 있다.
- 전투 관련
. 적은 특성에 따라 물리, 주술을 병행하여 취약점을 공략해야 한다.
. 적 중에 적을 소환하는 형태일 경우 소환수는 무시하고 본체를 우선적으로 때리는 것이 좋다
. '저승놀이'에서 차사가 용이 될 경우 동서남북에 용이 생기고 본체가 별도로 있는데, 동서남북 용을 잡을 경우 본체를 약화시킬 수 있다. 시간이 부족할 경우 2-3마리 용만 잡고 본체를 바로 공략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 갑주가 있으면 10%의 데미지를 경감할 수 있고, 이 갑주를 이용하여 공격력을 늘리는 '밀어치기'공격이 상당히 쏠쏠하므로 참고할 것
. 죽을 경우 장비나 기술을 1개 이어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장비가 보물급이거나 희귀 기술이 아니라면 보조기술을 얻는 것이 좋다)
. 체력은 지도에 1-2개가 존재하는 탁주를 통해서 회복할 수 있다(전체 체력의 최대 30%).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도 회복이 된다. 별도의 회복 아이템은 없으나, 정말 드물게 회복 주술을 얻을 수 있다
. 드물게 나오는 회복 기술(치병굿, 140턴 소요) 외에는 별도 회복 수단이 없으므로 액티브/패시브 기술을 통한 회복도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기술 빌드를 선택시 자유로운 선택을 하기 어려워 고민되는 부분
. 무사는 '오른손잡이, 견습무당은 '왼손잡이'로 처음 시작 시에 주어지는 기술 또는 주술을 단 하나만 가지고 있으면 기술 재사용시간 -20% 버프가 있다가 기술이 하나라도 추가되면 버프가 사라진다. 하지만 무사는 주술, 견습무당은 물리 기술을 추가하면 양손잡이가 되어 기술 재사용시간 감소 버프를 다시 얻는다.[2]
. 도둑은 물리 캐릭터이지만 오른손잡이 버프 없이 시작한다. 그러나 도둑은 양손잡이 버프가 무사보다 더 좋다. 작은 양손잡이일 때에는 물리 명중 +2, 주술 명중이 +1 이고, 큰 양손잡이일 때에는 물리 명중이 +3, 주술 명중이 +2가 된다.
. 도둑으로 플레이할 때에는 그림자숨기와 후속 기술로 연계 플레이를 해서 적을 하나씩 암살하듯이 플레이하면 되나 일몰까지의 턴을 잘 생각하고 플레이해야 한다. 그리고 보조 기술인 물리 명중과 무기 손보기를 적절하게 분배해 찍어서 타격이 빗나가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물리 피해를 높게 유지해야 연계기 한 콤보로 적을 처리할 수 있다.

5. 평가

- 대사들이 옛스러운 맛을 잘 살려서 텍스트를 읽는 맛이 쏠쏠하다


[1] 보조 기술인 '호랑이 송곳니'은 대상을 처치하면 25% 확률로 체력이 4만큼 회복한다. 주술 기술인 '호랑이 숨결'은 목표와 주변 모두에게 주술피해를 입히고 공포 상태로 만들며 반드시 명중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보부상 고유 기술이 있다.[2] 5개의 기술 칸에서 물리기술과 주술기술을 같이 가지고 있으면 작은 양손잡이가 돼 기술 재사용시간 -10%, 물리명중 +1, 주술명중 +1이 된다. 5개의 기술 칸에서 물리기술과 주술기술을 절반씩(3:2, 2:3 비율도 가능)을 가지고 있으면 큰 양손잡이가 돼 기술 재사용시간이 -20%로 강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