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히가시야마선 | 메이죠선 | |
메이코선 | ||
| | |
츠루마이선 | 사쿠라도리선 | 카미이다선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ruby(名城線, ruby=めいじょうせん)] Meijo Line 메이죠선 | }}} | |
나고야시 교통국 2000형 전동차 | ||||
노선도 | ||||
| ||||
노선 정보 | ||||
분류 | 지하철, 순환선 | |||
기·종점 | 카나야마역 | |||
역 수 | 28 | |||
노선 기호 | M | |||
노선 번호 | 2호선(서반부), 4호선(동반부) | |||
개통일 | 1965년 10월 15일([age(1965-10-15)]주년) | |||
소유자 | 나고야시 교통국 | |||
운영자 | ||||
사용차량 | 나고야시 교통국 2000형 전동차 | |||
차량기지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26.4km | |||
궤간 | 1435mm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600V 제3궤조집전식 | |||
폐색방식 | 속도제어식 | |||
신호방식 | ATC | |||
최고속도 | 65km/h | |||
개통 연혁 | 1965. 10. 15. 사카에 ↔ 시야쿠쇼 1967. 3. 30. 카나야마 ↔ 사카에 1971. 12. 20. 시야쿠쇼 ↔ 오조네 1974. 3. 30. 아라타마바시 ↔ 카나야마 1989. 9. 10. 히사야오도리 2000. 1. 19. 오조네 ↔ 스나다바시 2003. 12. 13. 스나다바시 ↔ 나고야다이가쿠 2004. 10. 6. 나고야다이가쿠 ↔ 아라타마바시 |
|
실측지도 상의 메이죠선 |
사카에 발 우순환(시계순환) 전구간 주행영상 |
1. 개요
나고야시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나고야 시영 지하철의 노선 중 하나이다. 일본 유일의 순환선인 지하철이기도 하다.[4]번호는 2호선과 4호선으로 되어 있는데, 2호선은 오조네-사카에-카나야마 구간이고, 4호선은 오조네-나고야다이가쿠-카나야마 구간이다. 2호선의 나머지 구간은 메이코선이다.
노선 색상은
연보라색(藤色)
이다. 노선색을 정할 때에는 히가시야마선과 메이죠선밖에 없었는데, 히가시야마선이 노란색이기 때문에 노란색의 보색인 보라색을 노선색으로 정했다고 한다. 다만 실제로는 연보라색에 가깝다. 당시 나고야 시영 지하철의 상징은 노란 떡칠이었는데, 메이죠선은 히가시야마선과 구분하기 위해 노란 떡칠에 보라색 띠가 둘러져 있었다.2호선 구간이 먼저 개통되어 2호선으로 안내되었으나, 1969년에 나고야 성(名[5]古屋城)을 지나가는데 착안하여 나고야성의 줄임말인 '메이죠'선 이라는 애칭을 붙였고 이후 정식 노선명으로 변경되었다.
2. 운행 형태
야마노테선, 오사카 순환선이나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는 열차의 행선지를 외선순환/내선순환으로 구별하고 있는데, 메이죠선은 우순환(名城線 右回り/clockwise/시계방향), 좌순환(左回り/counterclockwise/반시계방향)으로 행선지를 안내하고 있다. 외선/내선순환의 표시는 열차가 좌측통행/우측통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기도 하고, 지하로 다니는 노선 특성상 터널에서 열차가 좌측통행인지 우측통행인지 차량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기존의 외선/내선순환의 표기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직관적인 표시법을 채택했다고 한다.[6]순환선이긴 하지만 노선 서부 구간의 이용객이 더 많아 배차 간격도 서부 구간이 짧다. 순환선 열차는 기본적으로 5 - 1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여기에 메이코선의 열차가 나고야항역 - 사카에역 - 오조네역 구간을 반복하며 서부 구간의 배차 간격을 보강하여 도합 2.5분 - 5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평시에도 오조네역이나 나고야돔마에야다역 까지만 운행하는 열차를 매우 자주 볼 수 있다.
운행 형태 변경이 꽤 컸다. 메이죠선은 계획 당시부터 순환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서부 구간(카나야마 - 사카에 - 오조네)이 메이코선과 함께 1970년에 완성된 것과 달리 동부 구간(오조네 - 나고야다이가쿠 - 카나야마)은 1974년에 카나야마 - 아라타마바시 구간이 개통된 걸 빼면 모두 2000년에서 2004년 사이에 개통하였다. 2004년 이전에는 현재의 메이코선도 메이죠선의 일부로 취급되어서, 1974년에 카나야마 - 아라타마바시 구간이 완성된 후부터 현 메이코선과 엮어 나고야항 - 카나야마 - 오조네 구간 운행계통과 아라타마바시 - 카나야마 - 오조네 구간 운행계통을 1:1로 운행했다. 이 중 후자가 동부 구간의 개통에 따라 운행계통이 연장되었고, 2004년 동부 구간의 완전 개통과 함께 이 운행계통이 순환 계통으로 바뀌었다.
나고야 돔에 경기나 이벤트가 있을 때에는 오조네행 열차를 임시로 나고야돔마에야다역까지 연장 운행하기도 한다.
3. 역 목록
나고야시 교통국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죠선 | ||||
번호 | 역명 | km | 환승노선 | 소재지 |
↑ | 일부열차 | |||
M01 | 카나야마 金山 | 0.0 | ¶나고야 시영 지하철 ¶JR 도카이 ¶나고야 철도 | 나카구 |
M02 | 히가시베츠인 東別院 | 0.7 | ||
M03 | 카미마에즈 上前津 | 1.6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
M04 | 야바쵸 矢場町 | 2.3 | ||
M05 | 사카에 栄 | 3.0 | ¶나고야 시영 지하철 ¶사카에마치역 : 나고야 철도 | |
M06 | 히사야오도리 久屋大通 | 3.4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
M07 | 나고야조 (시청 / 현청) 名古屋城 (市役所 / 県庁) | 4.3 | ||
M08 | 메이죠코엔 名城公園 | 5.4 | 키타구 | |
M09 | 쿠로카와 黒川 | 6.4 | ||
M10 | 시가혼도리 志賀本通 | 7.4 | ||
M11 | 헤이안도리 平安通 | 8.2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
M12 | 오조네 大曽根 | 8.9 | ¶JR 도카이 ¶나고야 철도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메이코선 직통열차 종착) | |
M13 | 나고야돔마에야다 ナゴヤドーム前矢田 | 9.7 |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 히가시구 |
M14 | 스나다바시 砂田橋 | 10.6 |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 |
M15 | 차야가사카 茶屋ヶ坂 | 11.5 | 치쿠사구 | |
M16 | 지유가오카 自由ヶ丘 | 12.7 | ||
M17 | 모토야마 本山 | 14.1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
M18 | 나고야다이가쿠 名古屋大学 | 15.1 | ||
M19 | 야고토닛세키 八事日赤 | 16.2 | 쇼와구 | |
M20 | 야고토 八事 | 17.2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
M21 | 소고리하비리센터 総合リハビリセンター | 18.5 | 미즈호구 | |
M22 | 미즈호운도죠히가시 瑞穂運動場東 | 19.5 | ||
M23 | 아라타마바시 新瑞橋 | 20.7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
M24 | 묘온도리 妙音通 | 21.4 | ||
M25 | 호리타 堀田 | 22.2 | ||
M26 | 아츠타진구텐마쵸 熱田神宮伝馬町 | 23.4 | 아츠타구 | |
M27 | 아츠타진구니시 熱田神宮西 | 24.4 | ||
M28 | 니시타카쿠라 西高蔵 | 25.3 | ||
M01 | 카나야마 金山 | 26.4 | (상기동일) | 나카구 |
[1] 메이코 공장으로 기능 이전후 폐지되었다.[2] 나카가와 운하 옆의 지상에 있으며 중, 경검수와 차량 유치를 담당한다.[3] 나고야 돔 지하에 있으며 특이하게 길이가 570m 폭 40m로 길쭉한 형태이고 복층 구조이다. 차량 유치와 경검수만 담당한다.[4] 야마노테선, 오사카 순환선은 전 구간이 지상에 있으며 오에도선의 경우 순환선처럼 보이지만 종점 부근이 끊겨 있기에 엄밀히는 순환선이 아니다.[5] '나고야' 단어에서는 名을 '나'로 읽지만 '메이'로 읽을 수도 있다.[6] 서울 2호선도 지하구간이 많으나 지상구간도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