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7:58:44

명효릉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21e1f,#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명현릉
(明顯陵)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명십삼릉
(明十三陵)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명효릉
(明孝陵)
명공신묘(明功臣墓)
상우춘묘·구성묘·오량묘·오정묘·서달묘·이문충묘
청동릉
(清東陵)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청서릉
(清西陵)
영릉
(永陵)
복릉
(福陵)
소릉
(昭陵)
}}}}}}}}}

{{{#!wiki style="margin:-5px -10px -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한국어 명과 청 시대의 황릉
중국어 明清皇家陵寝
영어 Imperial Tomb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프랑스어 Tombes impériales des dynasties Ming et Qing
국가·위치
[[중국|]][[틀:국기|]][[틀:국기|]] 장쑤성 난징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1004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ⅰ)[1], (ⅱ)[2], (ⅲ)[3], (ⅳ)[4], (ⅵ)[5] }}}

1. 개요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明孝陵
명효릉 입구인 문무방문(文武方門)

명나라의 초대 황제인 홍무제 주원장과 효자고황후(孝慈高皇后) 마씨가 안치된 황릉이다. 입장료는 70위안이며 개장 시간은 3월부터 10월까지는 6시 30분부터 18시 30분까지, 11월부터 2월까지는 6시 30분부터 18시까지다.

명효릉에서 중산릉과 영곡사 사원에는 관광 미니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난징 지하철 2호선의 난징 고궁 역이나 난징 박물관에서 버스 G5를 타고 "명효릉"에서 하차하면 된다.

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1280px-A_Seated_Portrait_of_Ming_Emperor_Taizu.jpg홍무제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생애 <colbgcolor=#fff,#1f2023>생애
평가 평가
전투 파양호 대전
연호 홍무
능묘 명효릉
}}}}}}}}} ||

[1]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2]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3]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4]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5]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다른 기준과 함께 적용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