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04 21:35:20

모스크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파일:external/www.goclassic.co.kr/MoscowPhilharmonicOrchestra.jpg

러시아어: Академический симфонический оркестр Московской филармонии, 영어: Moscow Philharmonic Orchestra

러시아모스크바를 거점으로 하는 관현악단. 여느 러시아 악단이 그러는 만큼 공식 명칭은 꽤 긴 편으로, 쭉 써보면 '모스크바 필하모닉 아카데미 교향악단(Academic Symphony Orchestra of Moscow Philharmonic)' 이다.

1. 연혁2. 역대 음악 감독3. 특징

1. 연혁

1951년 지휘자 사무일 사모수드가 소련 문화성의 의뢰로 창단했는데, 당초 악단의 성격은 청소년 관현악단이었고 이름도 '모스크바 청소년 관현악단' 이었다. 2년 뒤 대부분의 단원들이 성년기를 맞이하자 악단 성격을 바꾸어 본격적인 프로 관현악단으로 재출발했고, 명칭도 현재의 것으로 바꾸었다.

사모수드가 1957년에 새로 신설된 소련 국립 카펠라 교향악단으로 이임하자 나탄 라흘린이 후임으로 들어와 1960년까지 재임했고, 이어 청소년 악단 시절부터 자주 객원으로 출연했던 키릴 콘드라신이 제3대 음악 감독에 취임했다. 콘드라신은 취임 후 러시아/소련 음악 위주였던 연주 곡목을 서방의 표준 곡목으로까지 대폭 확대했고, 악단을 이끌고 세계 각지를 방문해 연주하는 등 악단의 위상을 한층 높여놓았다.

콘드라신이 정부 당국과의 마찰로 인해 1975년에 사임한 뒤에는 드미트리 키타옌코가 제4대 음악 감독으로 부임했고, 키타옌코는 소련 붕괴 직전이었던 1990년 노르웨이의 베르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로 옮길 때까지 재임했다. 이어 바실리 시나이스키가 후임으로 들어갔는데,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사회 전체에 퍼진 심각한 경제난 때문에 악단 활동에 큰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시나이스키가 1996년 퇴임한 후에는 마르크 에름레르가 자리를 이어받았지만, 불과 두 시즌 정도만 지휘하고 볼쇼이 극장으로 이직했다. 악단은 후임으로 유리 시모노프를 영입했고, 시모노프는 2010년 현재까지 직위를 유지하고 있다.

2. 역대 음악 감독

3. 특징

러시아 악단들 하면 떠오르는 야성미 넘치는 사운드를 연상하기 쉬운데, 실제로 그런 기질도 갖고 있지만 콘드라신 시대에 확충한 서구 레퍼토리도 곧잘 소화하는 멀티플레이어 기질도 갖고 있다. 다만 소련 붕괴 후에는 국가로부터 받아오던 지원이 거의 없어지다시피 해버려서 악단의 수준도 같이 추락했다는 까임을 면치 못했다. 심지어 봉급 지불이 계속 미뤄지자 악단 활동은 뒷전으로 미루고 레슨 등 다른 활동을 본업으로 삼는 단원들까지 나왔을 정도였다. 지못미.

그래서 그런지 이 악단이 녹음한 음반도 주로 콘드라신~키타옌코 재임기에 나온 것들이 유명하며, 특히 콘드라신이 1961~75년에 녹음한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전집은 해당 작곡가의 교향곡 전집으로는 세계 최초라는 기록도 갖고 있다. 물론 거의 모든 예술을 국가가 통제하던 시대였던 만큼, 거의 모든 앨범도 소련 국영 음반사였던 멜로디야에서 나온 터라 서방 세계에서 구하기는 쉽지 않은 편이었다.

1990년대 이후로는 녹음 활동이 많이 위축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인지 2000년대 초반 부터는 홍콩 소재 다국적 음반사인 낙소스에서 드미트리 야블론스키와 로센 밀라노프 등의 지휘로 러시아 근현대 작곡가 작품 위주의 음반 녹음을 하고 있다. 이외에 일본에서 쇼미더머니를 시전하는 음반사들과도 관계를 맺고 있으며, 멜로디야에서 소련 시절의 녹음들을 다시 CD로 발매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주요 공연장은 차이콥스키 콘서트홀이며, 이외에도 차이콥스키 음악원 대강당이나 국제 예술회관 등에서도 공연하고 있다.

비록 소련 붕괴로 큰 타격을 입기는 했지만, 그 후에도 여러 차례 후폭풍을 극복하고 민간 기업을 스폰서로 유치하는 등의 노력을 하며 존속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88년 올림픽 때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공식적으로 방한해 공연한 첫 공산권 예술 단체로 화제가 되었고, 이후에도 계속 내한 공연을 갖고 있다. 또 1980년대 후반 공산권과 외교 관계가 개선되기 시작하자 당시 그 쪽 시장에 관심을 갖고 있던 서울음반(현 로엔엔터테인먼트)에서 키타옌코와 시나이스키의 지휘로 이 악단의 연주를 러시아 현지에서 녹음해 음반으로 발매하기도 했다.[1]

다만 이 악단의 정체성에 대해 확실히 알지 못하면 유사 단체들로부터 낚일 수도 있는데, 실제로 2003년에 한국에서 낚인 적이 있었다. 이미 2000년에도 홍콩에서 전혀 다른 단체가 모스크바 필이라는 이름을 내세워 낚시질을 했고, 이러한 혼동과 사기 행각은 현재 진행형인 상태다.

정식 명칭을 보면 이 악단은 모스크바 필하모닉이라는 공연 기획사에 속한 악단 중 하나이며, 여기에 속한 다른 악단의 경우에도 공식 명칭으로 모스크바 필하모닉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영어권에서 흔히 'Moscow Philharmonic' 이라고 하면 1951년 사모수드에 의해 창단된 악단을 칭하므로, 팜플렛의 악단 프로필을 잘 봐야 헷갈리지 않을 수 있다.

[1]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채산성 문제로 오래 가지 못했고, 1997년 외환 위기 후로는 서울음반도 자금난에 허덕이기 시작해 클래식 시장을 포기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