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03:15:44

몽환흡수체


||<-30><tablebordercolor=#000><tablewidth=700><table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0> 성유물 스토리 관련 카드군 ||
<colcolor=#ffc90c> 주역
(성잔 일행)
[[성잔에 선택받은 자|
파일:성잔에 선택받은 자 아우람.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D4425D 아우람}}}
]]
[[성잔을 받드는 무녀|
파일:성잔을 받드는 무녀 이브.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79B50 이브}}}
]]
[[성잔에 이끌린 자|
파일:성잔에 이끌린 자 닝기르수.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5a4118 닝기르수}}}
]]
[[성잔의 수호룡|
파일:성잔의 수호룡 임두크.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506673 임두크}}}
]]
[[성잔의 요정 리스|
파일:성잔의 요정 리스.jpg
#!wiki style="margin-top: 10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6688BE 리스}}}
]]
카드군 성유물 성잔 크롤러 잭나이츠
트로이메어 파라디온 오르페골 수호룡
관련 카드 성신기 데미우르기어 · 쌍성신 a-vida · 성건사 리이브 · 창성개귀 · 성소용전 · 베스퍼 기르수 · 몽환흡수체
관련 문서 유희왕 마스터 듀얼 솔로 모드 "별의 용사의 전설"

1. 개요2. 설명3. 수록 팩 일람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1957_20240527053259_img_1_4Afyfsah0Z48IPCy11mv3Po9e135fa6aYbO2ImX6AR4Ie65TvfEournNghIB5DZS.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몽환흡수체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夢幻吸収体<rp>(</rp><rt>むげんきゅうしゅうたい</rt><rp>)</rp></ruby>,
영어판명칭=Dream Absorb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물, 레벨=2,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천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가 패 / 묘지 / 제외 상태의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1000 올린다.)]

①의 효과는 상대의 필드 이외의 효과 발동에 대응하여 자가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상대 패 트랩에 반응하여 개체수를 +1 할 수 있다. 엔드 페이즈에 파괴되지만, 패 뿐만 아니라 묘지에서도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에 중요한 디메리트는 전혀 아니다.

②의 효과는 공격력을 올리는 지속 효과.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한 만큼 공격력을 올릴 수 있다. 그러나 상대 턴에 공격 표시로 꺼내는 것은 무효화 효과에 당할 리스크에 의해 실용성이 크다고 보기 힘들다.

상대가 극한까지 전개해 턴킬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라고 만든 카드 같지만 실용성은 전무하다. 이 카드 자체에 내성이라던지 상대 효과를 억제하는 효과 같은 게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 풀전개를 달린다면 이 카드의 공격력이 10000을 넘어간다 한들 뚫을 방법이 너무 무궁무진하며, 상대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하는 카드가 서게 되면 이 카드는 그저 샌드백으로 전락한다. 무엇보다, 상대가 몬스터 효과 발동 없이 마법 / 함정으로만 승부하는 덱이라면 이 카드는 그저 애물단지가 될 뿐이다.

따라서 성능은 장식에 불과하며, 오히려 일러스트 쪽에 주목해야 한다. 베스퍼 기르수와 함께 성유물 스토리에 대한 떡밥을 뿌리고 있는 카드로서, 만악의 근원이었던 성잔의 요정 리스와 매우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기계인 오른쪽 반신이 아닌 왼쪽 반신만 보면 리스가 착용한 머리장식 / 왼쪽 땋은 머리 / 눈 밑 문신을 하고 있는 등 리스임을 확연히 드러내고 있다. 추가적으로 리스와 관계된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 아스트로이메어 이드리스의 스테이터스[1]와 이름[2]도 참고한 모습이다. 설정과는 관계 없으나 인물의 머리만 강조한 흔치 않은 구도의 일러스트는 이름이 비슷한 마력흡수구체를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

리스는 명성의 잭나이츠를 이용해 구 문명을 일소시킨 뒤 자신의 육체를 버리고 영혼을 성잔에 전송시켜 아우람 일행이 성잔을 발견할 날을 기다려왔는데, 이 몽환흡수체는 영혼을 성잔에 전송하기 전 리스가 추후의 활동을 위해 미리 제작한 인공 육체, 즉 성잔의 요정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이 카드의 레벨 / 종족이 성잔의 요정 리스와 일치한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4-07-27 |
[[일본|]][[틀:국기|]][[틀:국기|]] ROTA-JP028 | レイジ・オブ・ジ・アビス [ RAGE OF THE ABYSS ]

4. 관련 카드

4.1. 성잔의 요정 리스


[1] 리스의 레벨과 종족, 이브리스의 공수.[2] 디스트로이메어와 아스트로이메어는 각각 몽환붕계, 몽환전성이라 쓰고 그렇게 읽는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