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23:22:32

미국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미국 전략사령부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미합중국 전략사령부 휘장.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미합중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svg
AFGSC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파일:미합중국 함대전력사령부.png
USFFC
함대전력사령부
U.S. Strategic Command Service Components
}}}}}}}}} ||
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육군 사령부
파일:미국 치안총감 계급장.svg
파일:미합중국 육군전력사령부.svg
FORSCOM
육군전력사령부
파일:미합중국 육군미래사령부.svg
AFC
육군미래사령부
파일:미합중국 육군물자사령부.svg
AMC
육군물자사령부
파일:미합중국 육군훈련교리사령부.svg
TRADOC
육군훈련교리사령부
육군 근무구성사령부
파일:미국 치안총감 계급장.svg
파일: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육군.svg
USAREUR-AF
유럽-아프리카육군
파일:미합중국 태평양육군.svg
USARPAC
태평양육군
파일:미국 치안정감 계급장.svg
파일:usarcent.png
USARCENT
중부육군
파일:5th army.png
ARNORTH
북부육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acc.png
ARCYBER
육군사이버사령부
파일:미합중국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부 엠블럼.svg
USASMDC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부
파일:usasoc_emblem 0.png
USASOC
육군특수작전사령부
}}}
파일:미국 치안감 계급장.svg
파일:arsouth.png
ARSOUTH
남부육군
파일:미국 군사지상배치배분사령부 엠블럼.svg
SDDC
군사지상배치배분사령부
}}}}}}}}} ||
미국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부
United States Army Space and Missile Defense Command
파일:미합중국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부 엠블럼.svg
창설일 1997년
약칭 USASMDC
소속 미국 육군
상급부대 미국 우주사령부
미국 전략사령부
사령관 신 게이니 중장
부사령관 아이작 펠틀러 준장
본부 레드스톤 조병창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1. 개요

United States Army Space and Missile Defense Command, 미국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부는 미국 육군의 탄도미사일 방어를 전담하는 사령부로 사령관은 육군 중장이 보임된다.

2. 역사

미국 육군이 1957년에 탄도미사일 방어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후, 지속적으로 미사일 방어 연구, 개발 및 배치에 전념하면서 결과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1962년에는 LIM-49 나이키 제우스 미사일로 ICBM 재돌입체의 요격에 성공했다. 그리고 1984년에는 핵탄두를 통한 요격이 아닌, 비핵탄두를 통한 요격에 성공했다.

한편 지향성 레이저를 통한 미사일 방어 연구를 계속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고, 1996년에는 화학 레이저를 이용해서 단거리 로켓을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

육군우주사령부를 거쳐 1997년에 현재의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부로 재편된 이후에도 지금까지 계속 우주, 미사일 방어 및 고고도 방공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편제 #==
[GBI] 지상 기반 요격체 운용 부대.[GBI] 지상 기반 요격체 운용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