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1:54:38

미하일 드로즈돕스키

<colbgcolor=#fff><colcolor=#0039A6> 초대 제3보병사단 사단장
미하일 고르데예비치 드로즈돕스키
Михаил Гордеевич Дроздовский
파일:Mikhail_Drozdovskiy.jpg
출생 1881년 10월 19일[구력]
러시아 제국 키예프
사망 1919년 1월 14일 (향년 37세)
남러시아 정부 로스토프나도누
국적
학력 폴로츠 생도단
키예프 블라디미르 생도단
파블롭스크 군사학교
니콜라예프 참모학교
직업 군인
최종 계급 소장
경력 제3보병사단 사단장
1918년 6월 ~ 10월 31일
참전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1. 개요2. 생애
2.1. 제1차 세계 대전2.2. 러시아 내전
3.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제국의 군인으로 러시아 혁명 이후 드로즈드 연대를 이끌고 의용군에 합류했다.

2. 생애

1881년 크림 전쟁에서 활약한뒤 귀족 작위를 받은 군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폴로츠크 생도단을 거쳐 키예프 블라디미르 생도단에 입단했다. 파블롭스크 군사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바르샤바의 근위볼린연대에 배속되었다.

1904년 니콜라예프 참모학교 입교와 동시에 러일전쟁에 참전했다.

2.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여러 활약을 해 성 블라디미르 훈장 4등급과 황금검을 수훈받았다. 1917년 러시아 혁명 발생하자 큰 충격을 받았으며, 지휘하던 부대 내 규율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나 부대 내 군사위원회하고 갈등을 겪었다.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정권을 장악하자, 볼셰비키 정권 전복을 위해 라브르 코르닐로프 장군의 의용군 합류를 목적으로 야시에서 자원자들을 모아 일명 "드로즈도비치"라는 분견대를 구성한뒤 노보체르카스크로 향했다.

2.2. 러시아 내전

드로즈돕스키의 분견대는 엄격한 규율로 운영되었기에 현지인들의 평판이 좋았으며 노보체르카스크에 도착한 후 재정비에 들어갔을때에는 3000명으로 늘어났다. 부대 내 사무르 연대의 경우 생포된 적군 포로들로 구성되어 드로즈도비치들 중 최정예가 되었다.

1918년 6월 드로즈돕스키는 제2차 쿠반 전역에 제3보병사단 사단장으로 참전하게 되어 선두로 공격에 나서나 10월 발에 부상을 입게 되었다. 예카테리노다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당시 의료 환경이 매우 열악했기에 치료에 사용한 붕대를 삶아 사용했고, 이는 발이 괴저되는 것으로 연결되어 향년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예카테리노다르에 안장되었으나 1920년 남러시아군의 콘스탄티니예로의 망명 직전 남러시아군의 장병들에 의해 크림반도로 옮겨졌고, 무덤 훼손 방지를 목적으로 가명으로 묻혀졌다.

현재 묘지는 제2차 세계 대전세바스토폴 공방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포격으로 파괴된것으로 추정되며 위치또한 알려져 있지 않다.

3. 참고 문헌



[구력] 구력 기준 1881년 10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