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호소카와 모리히로, 하타 쓰토무, 간 나오토. |
1. 개요
[ruby(民主中道, ruby=みんしゅちゅうどう)]私たちは、これまで既得権益の構造から排除されてきた人々、まじめに働き税金を納めている人々、困難な状況にありながら自立をめざす人々の立場に立ちます。すなわち、「生活者」「納税者」「消費者」の立場を代表します。「市場万能主義」と「福祉至上主義」の対立概念を乗り越え、自立した個人が共生する社会をめざし、政府の役割をそのためのシステムづくりに限定する、「民主中道」の新しい道を創造します。 우리는 지금까지 기득권익의 구조로부터 배제되어 온 사람들, 성실하게 일하고 세금을 납부하고 있는 사람들, 어려운 상황에 있으면서 자립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의 입장에 서 있습니다. 즉, 「생활자」「납세자」「소비자」의 입장을 대표합니다. '시장 만능주의'와 '복지 지상주의'의 대립 개념을 극복하고 자립한 개인이 공생하는 사회를 목표로 정부의 역할을 그를 위한 시스템 만들기로 한정하는 '민주 중도'의 새로운 길을 창조하고자 합니다. 민주당(일본 1998년) # |
민주중도란 중도주의와 자유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일본의 정치 사상이다.
2. 역사
당시 민주당은 야권 통합을 위해 만들어진 정당으로, 구민주당과 민정당, 신당우애, 민주개혁연합, 그리고 태양당의 민주우애태양국민연합(民主友愛太陽国民連合)이 합친 상태였다. 하지만 범보수 정당이었던 민정당은 범 혁신, 리버럴 정당인 구 민주당과 성향이 상이했다. 구민주당은 사회민주당과 신당 사키가케 등 엄연히 혁신, 리버럴 계열에서 분립한 정당이었고, 민정당은 신진당계 정당으로서 보수주의 성향이 강했다.당 내에서도 이러한 노선 차이로 인해 "미니 신진당"이 될 것을 우려해 당의 간판 인사중 한명인 호소카와 모리히로 전 총리가 구민주당의 노선인 "민주 리버럴" 노선과 민정당의 노선인 "보수중도"를 합쳐 민주중도라는 말을 만들어내었다. [1]
이런 당내 통합 과정을 통해, 민주당은 계속하여 몸집을 불릴 수 있었고, 18회 참원선에서 자민당 의석을 16석이나 줄이고 범야권 과반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