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102a3><tablebgcolor=#1102a3> | DRX 2025 시즌 로스터 | }}} |
{{{#!wiki style="color: #012063;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1102a3><colcolor=#fff> 감독 | [[김상수(e스포츠)|김상수 {{{#!wiki Ssong ]] | |
코치 | [[노진욱(1998)|노진욱 Alive ]]|[[이종원(e스포츠)|이종원 {{{#!wiki Saroo ]] | ||
로스터 | |||
TOP | Rich ]] | ||
JGL | Sponge ]] | ||
MID | Ucal ]] | ||
BOT | LazyFeel ]] | ||
SPT | Andil ]] | ||
LCK 참가팀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1102a3> | 배영준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102a3><colcolor=#fff> 소속 구단 | | DRX Challengers |
2023 | |||
| DRX | ||
2024 · 2025 | |||
평가 |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주요 경력 | ||
기타 | 여담 |
<colbgcolor=#1102a3><colcolor=#fff> DRX Sponge[1] | |
배영준 (Bae Young-jun) | |
출생 | 2004년 7월 25일 ([age(2004-07-25)]세) |
충청남도 연기군 (現 세종특별자치시) | |
국적 |
|
신체 | 185cm[2] |
ID | 클래식좀들어라 #KR2 # sgsdfhaaaew #kr2 # |
포지션 | 정글 |
소속 |
(2023.11.24 ~ 2025.11.17예정) |
|
1. 개요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의 DRX 소속 정글러.2. 플레이 스타일
전임자인 크로코와 마찬가지로 초반 설계와 싸움, 그리고 플레이 메이킹에 강점이 있는 선수. 시그니처 픽 신 짜오를 필두로 한 변수창출 능력이 특히 뛰어난 편으로, 초반부에 빠른 갱킹을 설계하고 소규모 난전을 유도하는 데에 확실한 강점이 있다. 상대 정글러와의 교전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편.다만 약점 역시 크로코와 비슷한데 중후반에는 존재감이 지워지는 걸 넘어 헤메다가 의문사하거나 뇌절로 들이박다가 데스를 기록하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 특히 메이킹 챔을 잡지 못했을 때 기량 하락이 두드러지는 편. 다만 스프링 때 바닥을 뚫고 지하까지 내려갔던 크로코의 처참했던 폼을 고려하면 지속적으로 판을 깔아주는 스폰지가 오히려 좋게 보일 수도 있다. 주한처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만 하면 제 2의 표식이 될 가능성도 있는 선수다.
서머 다큐멘터리가 공개되면서 밝혀진 또다른 단점으로는, 연습과 실전에서의 퍼포먼스 격차가 심하다는 것이다. 리그 관계자들의 후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리그 경기에 돌입하면 그 때의 기량이 제대로 나오지 않고 있다.[3] 긴장을 많이 하는 스타일인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코치진의 집중 케어를 받고 있다. 한번 흐름을 탔을 때 영향력을 맵 전체에 빠르게 퍼뜨릴 수 있는 선수이기 때문에, 기량 만개를 위해서는 멘탈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는 것이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막 데뷔한 스프링에서는 강타싸움에 약점을 드러내기도 했으나, 실전 경험이 쌓이니 강타싸움도 그렇고 전반적인 육각형의 크기가 크게 늘어났다. 같이 데뷔한 루시드가 워낙 탈신인급이라 묻혔지만 스폰지도 DRX의 핵심코어로 중용될 정도로 기량 자체는 이미 1군급 정글러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경험부족에서 오는 고립사와 판단미스는 차차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우승 | ||||
EDG YOUTH TEAM | → | DRX Challengers | → | KT Challengers |
준우승 경력 | ||||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준우승 | ||||
DWG KIA Challengers | → | DRX Challengers | → | Dplus KIA Challengers |
수상 경력 | ||||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결승 MVP | ||||
후훙차오 (EDG YOUTH TEAM) | → | 배영준 (DRX Challengers) | → | 함유진 (KT Challengers) |
4.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영준(프로게이머)/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영준(프로게이머)/선수 경력#|]][[배영준(프로게이머)/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여담
- '스폰게'라는 별명이 있다. 닉네임인 Sponge를 살짝 다르게 읽은 것이다.
- 실제로 스폰지밥을 좋아하고 팬분들에게 본인이 사인할 때 스폰지밥 그림을 그려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이름을 스폰지라고 지었다고 한다.
- 방송 전 걷기 힘들 정도로 고기를 과하게 먹고 왔다가 방송 중에 소화제를 사러 나간 적이 있다.
- 18어게인에서 이도현이 기타 치는 것을 보고 낭만 있다고 생각해 기타를 구매했다. 연습 했는지는 의문.
- 애착
뱃살배가 있다. 당사자는 같은 팀인 DRX 플레타...
- 팬들의 응원과 환호소리를 들을 때 행복하다고 한다. 인터뷰나 소감 등을 보면 그런 마음들을 잘 알 수 있다. [4]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8dd9b> | Asia Star Challengers Invitational 역대 우승자 |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시즌 | 우승팀 | 포지션별 선수 | 감독 및 코치 | |||||
TOP | JGL | MID | BOT | SPT | SUB | COACH | |||
<colbgcolor=#08dd9b><rowcolor=#61b52f> 2022 | | Solokill | Monki | Cyku | Leave | Xiamu | - | Ash | |
Hua | |||||||||
2023 | | Frog | Sponge | SeTab | deokdam | Pleata | Career | Crush | |
2024 | | Casting | HamBak | Zinie | Hype | Way | Pout | Sonstar | |
Lilac | |||||||||
Spark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8dd9b><tablebgcolor=#08dd9b> | Asia Star Challengers Invitational 역대 파이널 MVP |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 | <rowcolor=#00012d> 시즌 | 이름 (ID) | 국적 | 포지션 | 소속 |
2022 | 후훙차오 (Leave) | [[중국| | | EDG.Y | |
2023 | 배영준 (Sponge) | [[대한민국| | | DRX.C | |
2024 | 함유진 (HamBak) | [[대한민국| | | KT.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