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21:03:00

보문사 신중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보문사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98호 99호 100호
보문사 석가불도 보문사 신중도 보문사 지장시왕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9호
보문사 신중도
普門寺 神衆圖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사길 20
(보문동3가, 보문사)
시대 조선 말기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
수량 / 면적 1点
지정연도 1996년 9월 30일
소유자
(소유단체)
보문사
관리자
(관리단체)
보문사
파일:보문사_신중도.jpg
<colbgcolor=#ff8c00> 보문사 신중도[1]
1. 개요2. 신중도3. 상세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보문사에 있는 탱화. 극락보전 내부에 있다. 비단 위에 그려진 작품이다.

1996년 9월 30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9호로 지정되었다.

2. 신중도

'신중(神衆)'은 직역하면 '신(神)의 무리(衆)'로, '신중도(神衆圖)'는 '부처의 정법을 수호하는 신들(神衆)을 그린 그림(圖)'이란 뜻이다. 사실 신중은 원래 불교의 신이 아니었고, 불교가 생기기 전에 인도에 존재했던 다른 종교들의 신이었다. 처음에 불교는 이들과 경쟁할 수밖에 없었지만, 경쟁 대신 이들을 감화해 귀의시키는 방법을 선택했다. 그리고 기존 종교의 신들을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으로 삼았으니 이들이 바로 신중이다.

3. 상세

1867년(고종 4년)에 〈석가불도〉와 같이 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가로 길이는 200㎝, 세로 길이는 140㎝이다. 묘사한 신중은 대략 30여 명이다. 위쪽에는 신중의 대표적인 신인 제석천과 범천을 중심으로 하늘에서 사는 신중들을 그려넣었다. 가운데에는 산신과 조왕을 비롯하여 중국인도의 신중들을 묘사했다. 아래에는 위태천을 가운데에 두고 그 양 옆에 천룡, 천왕 등 신중 6명을 그렸다.

붉은 색을 많이 쓴 것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조선 후기 불화의 특성으로 꼽히는 부분이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 (이전 역사)
문서의 r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