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장술의 일종
자연에 사는 생물들이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반대로 먹잇감을 속이기 위해 주변과 같은 색으로 변해 위장하는 일종의 카모플라주 기술.
암수가 서로 다른 형질이 나타나는 척추동물은 대체적으로 암컷 쪽이 보호색 형질이 나타난다. 그 이유는 자신과 새끼들을 천적으로 부터 보호하고 살아남기 위해서. 반대로 수컷은 화려하고 복잡한 무늬나 장식 등을 가지는데, 이는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서. 즉, 암컷은 생존, 수컷은 성 선택의 우열에 특화된 각자 다른 방식으로 진화해온 종이 많다. 예외는 호사도요나 겉모습으로만 성별을 구분하기 어려운 일부 종 정도.
사진으로 보면 이게 과연 효과적일까 싶지만 이건 동물이 잘 보이도록 찍어서 그런 거고 실제로 보면 동물이 있는지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새를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들은 시력이 인간에 비해 나쁜 경우가 많아 그 효과는 더욱 크다.
보호색이라기엔 너무 주변과 차이나는 색을 가진 동물들도 있는데 이건 가시광선이 아닌 적외선으로 세상을 보는 동물들을 노린 것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거미인데, 흰 꽃에 거미가 올라가도 자외선으로 보는 곤충들은 그걸 몰라보고 꽃에 가다가 먹히기도 한다.
카멜레온의 체색 변화 역시 보호색이 맞다. 기분에 따라서 수동적으로 체색변화를 하기도 하지만, 주변 사물에 맞춰 내부에서 자율적으로 변화하기도 한다. 한 마디로 눈 깜빡임과 같은 것이다, 수동적으로도 조절이 가능하나 의식하지 않아도 조절된다. 전자가 대개 기분의 변화, 후자가 환경에 대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카멜레온 이상의 보호색 생물로는 문어가 있다. 문어는 위협을 느낄 경우 순식간에 몸의 색깔, 몸의 모양을 바꾸어 주변 환경과 똑같은 형태를 갖추게 된다.
훗날 인간들이 이 기술을 모방해 전장에서 은닉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군인들이 입는 위장복이나 저격수들이 입는 길리 슈트. 사람의 눈을 속이기 위해 개발된 것이므로 더욱 정교하다. 더 자세한 것은 위장 참조. 이것 때문에 2차대전이나 냉전 당시 동물행동학자들이 군에 많이 자문을 해 주었다고 한다. 어떤 과학자는 군인들이 만든 것 보다 더 완벽한 위장을 보여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