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수확개미(붉은개미) red-harvester ant, red ant | |
학명 | Pogonomyrmex barbatus Smith, 1858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 Arthropoda |
강 | 곤충강 Insecta |
목 | 벌목 Hymenoptera |
과 | 개미과 Formicidae |
아과 | 두배자루마디개미아과 Myrmicinae |
속 | 뿔개미속 Pogonomyrmex |
종 | 붉은수확개미 P. barbatus |
1. 개요
미국 남서부에 서식하는 뿔개미속에 속하는 수확개미의 한 종.2. 상세
둥지에는 식물이 자라지 않고 입구는 작은 자갈들이 둘러싸고 있고 뚜렷한 각도로 내려가며 씨앗 껍질이 둥지 주변에 흩어져 있다. 정찰 역할을 맡는 개체가 매일 아침 마운드에서 제일 먼저 나와 먹이를 찾고 마운드로 돌아올 때 길을 표시하여 일개미들에게 알린다. 일개미들 중 일부가 그에 따라 먹이를 모으고 다른 일개미들은 여왕, 마운드, 새끼를 청소하고 일반적으로 돌본다. 보통 일반적인 개미들과 마찬가지로 한 마리의 여왕개미가 수개미가 형성한 생식 접합 장소에서 여러 수개미와 짝잣기를 하고 새로운 장소로 날아가 자손 군체를 만든다.주요 먹이는 씨앗으로 씨앗을 대량으로 비축한다. 큰 턱으로 갈아서 둥지의 창고에 저장하고 이 덕분에 씨앗이 분산되게 퍼져서 식물은 분산 범위와 밀도를 늘리고 붉은수확개미는 영양소를 비축하고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리공생 관계를 형성한다. 필요한 수분의 대부분은 씨앗에 있는 지방을 대사시켜 얻으며 먹이가 부족하거나 더울 떈 광범위한 식량 저장에 의존해야 해서 씨앗은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둥지에 보관할 수 있다.
2.1. 먹이 찾기 행동
일개미 중 둥지를 순찰하는 개체, 길을 순찰하는 개체, 먹이를 찾는 개체가 먹이 찾기에 가장 많이 관여한다. 둥지를 숭찰하는 개체가 제일 먼저 둥지 밖으로 나와서 먹이를 찾으면 돌아오며 길을 표시하고 길을 순찰하는 개체에게 보고해 길을 순찰하는 개체가 최적의 먹이 탐색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둥지를 떠났다가 돌아온다. 그러면 먹이를 찾는 개체가 둥지를 떠나 먹이를 찾을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복귀율을 평가한다. 복귀율이 너무 낮으면 육식성 도마뱀과 같은 위험에 대한 경고, 먹이 부족, 경쟁의 치열함 등이라고 할 수 있다.먹이 찾기는 때때로 먹이를 찾는 개체를 둥지의 50~60m 밖에까지 이끄는 화학 신호에 의해 안내되며 먹이 찾기를 결정하면 거의 항상 둥지로 가져갈 먹이를 찾을 때까지 계속된다. 먹이를 찾는 개체가 돌아와 성공했을 확률이 90%로 먹이를 찾는 개체의 복귀 성공율은 매우 중요한 지표다.
2.2. 일개미와 여왕개미
일개미는 먹이 찾기, 둥지 유지, 방어, 쓰레기 더미 작업 및 소지 이렇게 5가지 일을 주로 수행한다. 역할은 일정하지 않고 화학적 상호 작용은 특정 개체가 특정 활동에 참여하는 시점을 결정한다.여왕개미는 새로운 둥지를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별도의 혈통의 수개미와 짝짓기를 한다. 한 혈통은 일개미를 낳고 다른 혈통은 다음 여왕개미를 낳는다. 새로운 둥지를 지을 장소에 도착하면 여왕개미는 날개를 뗴고 새로운 둥지를 틀고 둥지를 틀면 둥지 입구를 봉쇄하고 알을 낳아 그 후 6~8주 동안 일개미들이 태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