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02:33:53

브랜블 로즈 드래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로즈 드래곤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이자요이 아키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로즈 · 로즈 드래곤
<rowcolor=#fff,#000> 서브 에이스 에이스 에이스 진화체
5D's
스플렌디드 로즈
코믹스
린천사 퀸 오브 로즈
마천사 로즈 소서러
OCG
헤이트 로즈 위치
5D's
블랙 로즈 드래곤
코믹스
월화룡 블랙 로즈
OCG
브랜블 로즈 드래곤
OCG
블러드 로즈 드래곤
코믹스
대린마천사 로자리언
}}}}}}}}} ||
유희왕 5D's 시그너의 에이스 관련 OCG 오리지널 몬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시그너 드래곤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드래곤
잭 아틀라스
레드 데몬즈 드래곤
이자요이 아키
블랙 로즈 드래곤
스타더스트 워리어
슈팅 스타 드래곤 TG-EX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스카레드 데몬
스카레드 슈퍼노바 드래곤
브랜블 로즈 드래곤
블러드 로즈 드래곤
루카
고대 요정 드래곤
고대 요정 라이프 드래곤 - 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그 외 에이스 몬스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도 유세이
정크 워리어
잭 아틀라스
-
이자요이 아키
스플렌디드 로즈
정크 스피더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레드 라이징 드래곤 헤이트 로즈 위치
루카
-
-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BF-풀아머드 윙
}}}}}}}}} ||


1. 개요2. 설명
2.1. 모티브/설정
3. 수록 팩 일람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카드명은 일어판 기준으로 '흑장미의 파멸룡'이라 쓰고 '브랜블 로즈 드래곤'이라 읽는다.

2. 설명

파일:黒薔薇の破滅竜.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브랜블 로즈 드래곤,
일어판명칭=<ruby>黒薔薇の破滅竜<rp>(</rp><rt>ブランブル・ローズ・ドラゴン</rt><rp>)</rp></ruby>,
영어판명칭=Bramble Rose Dragon,
속성=화염, 레벨=7, 공격력=2400, 수비력=1800, 종족=식물족,
소재=식물족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때마다\, 상대에게 600 데미지를 주고\,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600 내린다.,
효과2=②: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블랙 로즈 드래곤" 1장을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튜너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슬퍼하는 불꽃이 증오하는 세상의 모든 걸 꿰뚫는다. 증오의 가시여, 피어나거라![1] 싱크로 소환! 나타나거라, 브랜블 로즈 드래곤!"
悲しき炎が忌むべき世界の全てを貫く!憎悪の荊よ... 狂い咲け!シンクロ召喚!現れよ![ruby(黒薔薇の破滅竜, ruby=ブランブル・ローズ・ドラゴン)]!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스카레드 데몬처럼 원본을 특수 소환하는 용도의 보조형 리메이크 몬스터.

원본과 스텟이 같으나 종족이 식물족으로 바뀌었으며, 식물족 튜너를 요구하게 되었다. 식물덱 이외의 덱에서 용병처럼 쓰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①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가 효과를 발동할 때마다 600 데미지를 주고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600 내리는 지속 효과. 600이라는 수치가 생각보다 아픈데다 패/묘지 등 장소도 가리지 않아서 선공에 이 카드를 세우는데 성공한다면 전개를 넘어 우라라와 같은 상대의 패트랩 발동 및 코스트로 덤핑해 효과 발동하는 것도 방해할 수 있고, 타점 싸움에서도 유리해진다. 참고로 지속 효과라 카드명 제약도 없기에 2장을 세우면 최대 6회, 3장을 세우면 최대 4회로 효과 발동 횟수를 줄여버릴 수도 있다. 단, 마함은 그대로 뚫린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②의 효과는 자신 / 상대 메인 페이즈에 자신을 릴리스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블랙 로즈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 취급으로 특수 소환하는 프리체인형 유발 즉시 효과. 상대 턴에 갑자기 튀어나와 필드 클린을 노릴 수 있다. ①의 효과에 의한 데미지를 감수하고 전개를 걸어온 상대에게 결정타를 날리거나 마법 / 함정 위주의 전략을 쓰려는 경우 이 효과로 받아칠 수 있다. 단, 블랙 로즈 드래곤은 체인 2 이후에 특수 소환할 경우 타이밍을 놓치기 때문에 퀵 타이밍을 활용해야 한다.

③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튜너를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②의 효과와 연계하면 곧바로 블러드 로즈 드래곤을 불러낼 수 있으며 후속도 확보 가능하다. 헤이트 로즈 위치의 효과로 엑덱에서도 덤핑할 수 있어서 원본을 거치지 않고도 불러낼 수 있다.

2.1. 모티브/설정

외형은 블랙 로즈 드래곤증오의 가시를 장착한 모습으로, 원본에 비해 검은 가시덩굴이 더 많아졌다. 이는 H-C 매그넘 엑스칼리버 사례처럼 장착 마법과 그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가 하나가 된 케이스다.

또한 머리에 달린 가시덩굴이 사방으로 날뛰고 있고, 눈에선 안광을 내뿜으면서 포효하는 등 원본과 달리 난폭한 인상을 주는데 이는 이자요이 아키가 폭주한 모습을 이미지한 것이다. 이름과 소환 영창까지 감안하면 정확히는 마음 속에 있는 증오[2]디바인을 향한 광적인 믿음[3]으로 인해 삐뚤어진 아키가 가면을 쓰고 활동했던 흑장미의 마녀를 이미지한 것이다.[4]

효과 구성도 아키가 달라지는 과정과 일맥상통한다. 초능력으로 모두에게 피해를 줬던 흑장미의 마녀는 ①의 효과와 유사하고, 유세이와 5D's 멤버들을 만나 어느정도 억제할 수 있게 된 아키의 모습은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원본을 소환하는 ②의 효과와 유사하다. 그리고 이 카드를 제외해 새로운 튜너를 불러내는 ③의 효과는 원본과 튜닝해 새로운 진화체를 소환함으로써 이전의 모습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진 새로운 아키의 모습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카드명의 브랜블은 가시나무를 뜻하는 Bramble을 의미하면서도 일본어 기준으로 블랙(브라크)와 발음(브란브루)의 돌림자가 비슷한 것을 노린 것이다. 정발명은 헬 브랜블의 선례를 따라 브램블이 아닌 브랜블로 번역되었다.[5]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39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KR039 | 둠 오브 디멘션즈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EN039 | DOOM OF DIMENSIONS

4. 관련 카드

4.1. 블랙 로즈 드래곤

4.2. 증오의 가시


[1] 원본인 블랙 로즈 드래곤은 開く를 쓰는 반면 이 카드는 狂い咲く를 쓴다.[2] 초능력을 가진 자신을 괴물보듯이 한 부모와 세상 사람들로 인해 뒤틀리면서 세상을 증오하게 되었다. 증오의 가시가 아키의 증오 그 자체를 상징하고, 유세이와의 듀얼에서 구속해방파로 깨부순 전개를 생각해보면 증오에 구속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3] 초능력으로 인해 기피하던 자신에게 유일하게 손을 내민 인물로, 그 이후로 유세이를 만나기 전까지 디바인만 믿으며 살아왔다. 또한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극도로 분노하는 모습을 보일 정도로 광신도 그 이상으로 디바인만 바라보며 살아왔다는걸 보여준다.[4] 헤이트 로즈 위치가 흑장미의 마녀를 상징하고, 이 카드는 헤이트 로즈 뒤에 있는 실루엣의 정체이자, 에이스 몬스터다.[5] 마침 헬 브랜블블랙 로즈 드래곤과 같은 팩에서 나온 카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