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버링 대회 일정 | ||||
블랙컴뱃 12 | → | 블랙컴뱃 13 | → | 블랙컴뱃 14 |
XIII. 정상결전 | ||
'''Main Event : 김민우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 | ||
경기장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
경기일 | 2024년 12월 28일 | |
메인 카드 | '코리안 갱스터' 박원식 | '사신' 김남신 |
'붉은매' 지혁민 | '아이언 힙' 미야히라 슈타로 | |
'CHAMP' 록키 마르티네즈 | '짱돌' 차정환 | |
'사쿠라' 황도윤 | '야인' 이도겸 | |
'영보스' 박어진 | '캡틴 코리아' 정한국 | |
'동백' 진태호 | '야차' 최준서 | |
'윤방관' 윤호영 | '탱크' 코마키네 타카히로 | |
'투신' 김재웅 | '록리' 야마모토 세이고 | |
C '아이언 스파이더' 오하라 주리 | '직쏘' 문기범 | |
C '화이트 베어' 최원준 | '킹콩' 오일학 | |
'코리안 모아이' 김민우 | '가라데' 기노시타 타케아키 |
[clearfix]
1. 개요
블랙컴뱃이 개최하는 열세번째 넘버링 이벤트.2. 대진표
2.1. 1부
XIII. 정상결전 2024. 12. 28. (토) |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서울) | ||
링 아나운서 : 회색 / 중계진 : 홍석현 , 이둘희 | ||
BLACK Corner | 5분 3라운드 [1] | WHITE Corner |
코리안갱스터 박원식(#웰터-4) | 1경기 오픈핑거 킥복싱 룰[2] 주심 | 이환욱 | 사신 김남신 |
붉은매 지혁민(#9 / 3W 1L) | 2경기 페더급 주심 | 정정훈 | 아이언 힙 미야히라 슈타로(N/A / 4W 3L) |
CHAMP 록키 마르티네즈(#HEAVY-1 / 19W 9L 2D) | 3경기 -93kg 계약체중 주심 | 장성효 | 짱돌 차정환(N/A / 13W 5L 3D) |
사쿠라 황도윤(#8 / 2W 4L) | 4경기 라이트급 주심 | 안창률 | 야인 이도겸(#14 / 9W 7L) |
영보스 박어진(#4 / 8W 1L 1D) | 5경기 라이트급 주심 | 이환욱 | 캡틴 코리아 정한국(#5 / 11W 9L 2D) |
동백 진태호(#2 / 12W 7L) | 6경기 웰터급 주심 | 정정훈 | 야차 최준서(#3 / 7W 4L) |
2.2. 2부
XIII. 정상결전 2024. 12. 28. (토) |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서울) | ||
링 아나운서 : 회색 / 중계진 : 홍석현 , 이둘희 | ||
BLACK Corner | 5분 3라운드 | WHITE Corner |
윤방관 윤호영(#1 / 6W 3L 1D) | 7경기 플라이급 타이틀전 주심 | 정정훈 | 탱크 코마키네 타카히로(#4 / 15W 5L) |
투신 김재웅(#2 / 14W 8L) | 8경기 밴텀급 타이틀전 주심 | 이환욱 | 록리 야마모토 세이고(#3 / 7W 12L 1D) |
C 아이언 스파이더 오하라 주리(#C / 36W 20L 3D) | 9경기 라이트급 타이틀전 주심 | 장성효 | 직쏘 문기범(#3 / 12W 7L) |
C 화이트 베어 최원준(#C / 8W 5L) | 10경기 미들급 타이틀전 주심 | 정정훈 | 킹콩 오일학(WELTER-#1 / 4W 2L) |
코리안 모아이 김민우(#1 / 11W 2L) | MAIN EVENT 페더급 주심 | 이환욱 | 가라데 기노시타 타케아키(N/A / 9W 8L 1D) |
3. 경기 결과
3.1. 1부
3.1.1. 박원식 vs 김남신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1경기 | ||||||
체급 | 스페셜 매치[3] | |||||
선수 | 웰터-#4 박원식 코리안 갱스터 | 김남신 사신 [4] | ||||
승 / 패 | <승> | 패 | ||||
결과 | 〈 박원식 3R TKO승 〉 |
3.1.2. 지혁민 vs 미야히라 슈타로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2경기 | ||||||
체급 | 페더급 | |||||
선수 | #9 지혁민 붉은매 | 미야히라 슈타로 아이언 힙 | ||||
승 / 패 | <승> | 패 | ||||
결과 | 〈 지혁민 3R 4:13 TKO승 〉 |
3.1.3. 록키 마르티네즈 vs 차정환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3경기 | ||||||
체급 | -93kg 계약체중 매치 | |||||
선수 | 헤비-#1 록키 마르티네즈 CHAMP | 차정환 짱돌 | ||||
승 / 패 | 패 | <승> | ||||
결과 | 〈 차정환 3R 5:00 만장일치 판정승 〉 |
3.1.4. 황도윤 vs 이도겸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4경기 | ||||||
체급 | 라이트급 | |||||
선수 | #8 황도윤 사쿠라 | #14 이도겸 야인 | ||||
승 / 패 | 패 | <승> | ||||
결과 | 〈 이도겸 1R 2:13 KO승 〉 |
3.1.5. 박어진 vs 정한국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5경기 | ||||||
체급 | 라이트급 | |||||
선수 | #4 박어진 영보스 | #5 정한국 캡틴 코리아 | ||||
승 / 패 | <승> | 패 | ||||
결과 | 〈 박어진 3R 5:00 만장일치 판정승 〉 |
3.1.6. 진태호 vs 최준서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6경기 | ||||||
체급 | 웰터급 | |||||
선수 | #2 진태호 동백 | #3 최준서 야차 | ||||
승 / 패 | 패 | <승> | ||||
결과 | 〈 최준서 3R 5:00 만장일치 판정승 〉 |
3.2. 2부
3.2.1. 윤호영 vs 코마키네 타카히로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7경기 | ||||||
체급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 |||||
선수 | #1 윤호영 윤방관 | #4 코마키네 타카히로 탱크 | ||||
승 / 패 | 패 | <승> | ||||
결과 | < 코마키네 타카히로 3R 2:21 서브미션승 > |
3.2.2. 김재웅 vs 야마모토 세이고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8경기 | ||||||
체급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 |||||
선수 | #2 김재웅 투신 | #3 야마모토 세이고 Rock Lee | ||||
승 / 패 | <승> | 패 | ||||
결과 | < 김재웅 1R 3:07 TKO승 > |
3.2.3. 오하라 주리 vs 문기범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9경기 | ||||||
체급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 |||||
선수 | #C 오하라 주리 아이언 스파이더 | #3 문기범 직쏘 | ||||
승 / 패 | 패 | <승> | ||||
결과 | < 문기범 3R 5:00 만장일치 판정승 > |
3.2.4. 최원준 vs 오일학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제10경기 | ||||||
체급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 |||||
선수 | #C 최원준 화이트 베어 | 웰터-#1 오일학 킹콩 | ||||
승 / 패 | 패 | <승> | ||||
결과 | < 오일학 3R 5:00 만장일치 판정승 > |
3.2.5. 김민우 vs 기노시타 타케아키
BLACK COMBAT 13 | ||||||
<colbgcolor=#0f1a18> MAIN EVENT | ||||||
체급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 |||||
선수 | #1 김민우 코리안 모아이 | 기노시타 타케아키 가라데 | ||||
승 / 패 | <승> | 패 | ||||
결과 | < 김민우 1R 1:19 KO승 > |
4. 평가
4.1. 경기 전
로드 FC, ZFN와 함께 국내 최정상의 세 단체가 격돌하던 이벤트인 만큼 많은 이목이 집중되던 매치업이었고 블랙컴뱃도 많이 힘을 주려고 했던 이벤트였다. 그래서 블랙컴뱃도 많이 힘을 주려고 했던 이벤트였지만 자그마치 8명[5]이나 부상을 당해 아웃되면서 위기에 처한 것처럼 보였다. 심지어 8명의 선수들이 챔프급이거나 2위권 선수들로, 이 선수들이 빠진다면 정상을 찍기 어렵게 보일 정도로 블랙컴뱃에게는 뼈아픈 부상 아웃들이었다.하지만 코리안갱스터 선수가 블랙컴뱃 내의 스토리가 아닌 바깥의 스토리로 경기를 사실상 물고 와서 오프닝 매치를 담당하게 되고, 슬슬 주가를 다시 올리고 있는 고등학생 파이터 출신 붉은매 VS 일본 오디션 승자인 아이언힙, 양해준의 부상 아웃으로 인해서 중량급 챔피언전 대신 미들급으로 뛰게 된 록키 VS 블랙리스트 차정환, 각자 다른 뜻의 낭만을 수식어로 가지고 있는, 타격전이 기대되는 매치업인 사쿠라 VS 야인, 국내 격투기 선수 중 최고 유망주중 하나인 영보스 VS 계체량 실패로 욕을 먹었지만 먹보정 밈으로 인기를 얻게 된 캡틴코리아, 다시 심기일전해서 돌아온 야차 VS 블랙리스트 동백, 일본의 실력자 탱크 VS 챔피언 윤방관, 챔피언급으로 평가되는 투신 VS 블랙컴뱃과 싸우고 떠났다가 다시 돌아온 악동 록리, 블랙컴뱃 내 최고 인기를 가진 일본 선수 오하라 주리 VS 특유의 퍼포먼스로 블랙리스트 중에서 먹보정과 함께 많은 인기를 끌었던 직쏘, 챔피언 최원준 VS 야차를 박살내고 유망주 반열에 오른 킹콩, 다시 돌아온 블랙컴뱃의 최고 인기 스타 모아이 VS 가라데 까지 총 4개의 타이틀전까지 진행하게 됐고 경기 내적으로도 블랙컴뱃의 팬이라면 충분히 돈을 지출할만하게 알차게 짜여졌기 때문에 이 정도만 해도 다른 단체에 탭을 받을 수도 있다는 의견이 블랙컴뱃 팬들 내 사이에서는 지배적으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4.2. 경기 후
블랙컴뱃, 국내 1위 격투 브랜드 입지다져 … “2025년 흥행 이어가겠다”욕을 먹었던 부분은 먼저 직쏘의 3번의 로블로 반칙과 이로 인한 블랙컴뱃 심판진의 경기 지연으로 인해서 많은 시간이 날라갔던 것이었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상장을 한다는 발언까지 나오니 한동안 팬덤 내에서는 욕을 먹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경기들은 매우 알찬 매치업으로 즐길만한 거리들도 많았고 실제로 역대급이라고 할 정도로 경기장도 꽉 찼으며 직쏘 경기를 제외하면 혹평을 받을만한 경기도 없었다. 특히 코갱 VS 사신은 정식 MMA 경기가 아님에도 그 화제성이 미친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고 지혁민의 KO 승, 노장 차정환의 죽지 않은 실력 발휘, 이도겸의 KO 승리 이후 내 아를 낳아도 세레머니, 라이트급 정상급 대결인 영보스 VS 캡코, 최고 인기스타 중 하나인 야차의 귀환과 승리, 플라이급 새로운 챔피언 탱크, 정식으로 챔피언이 된 투신, 중량급 유망주 킹콩의 연전연승, 최고 인기스타였던 모아이의 빠른 시간 KO.[6]
이런 경기 내용들과 높아진 수익률은 블랙컴뱃이 점점 경기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블랙컴뱃이 더이상 유튜브 3류 단체가 아니게 되었던 모유대전부터 시작해서 메인카드인 2부가 망했지만 1부만으로도 모유대전을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은 블랙컴뱃 11, 블랙리스트와 오리지널 블컴 선수들 중에서 인기 스타들을 적절하게 내세워 성공한 블랙컴뱃 12에 이어서 꾸준히 성장 중임을 보여준다.
앞서 말했듯이 욕을 먹을만한 요소는 있었고 실제로 욕을 먹었지만 성공했는가에 대해서는 아무도 이견이 없다. 젊은 유망주 선수들이 더욱 두각을 나타내고[7], 챔피언 라인은 더욱 견고해진 것은 덤[8].
5. 폐회사
폐회사 드디어 정상결전이 끝났네요. 제가 구차하게 설명할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에게 물어보겠습니다. 자, 이제 한국 격투계에 정상이 어딥니까? 여기까지 오는데 정말 많이 들었던 말이 있습니다.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거다, 아무것도 바꿀 수 없을 것이다, 파이트머니 안 바뀔 거다, 선수들 대우 안 바뀔 거다, 국내 격투계에 대한 팬들의 인식 안 바뀔 거다. 하지만, 바뀌지 않은 것은 딱 하나입니다. 블랙 컴뱃을 시작할 때 품었던 우리의 꿈, 그리고 그 꿈을 이루고자 했던 의지 이것들을 안 바꾸니까 바꾸지 않을 거라고 했던, 바꾸지 못할 거라고 했던 것들이 다 바뀌었습니다. 여러분들이 시국이 좋지 않고, 각자 사정이 안 좋아서 아 이거 언제 바뀌지? 안 바뀌나? 할 때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십시오. 바꿀 수 없는 것은 없습니다. 왜냐 역사는 흐르고 인간은 성장하고 시대는 바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2025년 내년 저는 나머지 바꾸지 못했던 것들을 모조리 바꾸려 합니다. 자, 국내 정상 바뀌었죠? 이제 세계 정상을 바꾸려고 합니다. 다들 또 무슨 소리냐 하실 수 있는데 '내년에 반드시 아시아 최초로 그리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블랙 컴뱃을 상장시키겠습니다.' 이게 가능한가 싶겠지만 제 답변은 하나입니다. '시대는 바뀐다.' 감사합니다. 2024년 12월 28일 Godfather BLA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