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00:29:56

산스크리트어/문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산스크리트어
1. 개요2. 명사와 형용사의 격변화3. 명사론
3.1. 주격(prathamā)3.2. 대격(dvitīyā)3.3. 구격(tr̥tīyā)3.4. 여격(caturthī)3.5. 탈격(pañcamī)3.6. 속격(ṣaṣthī)3.7. 처격(saptamī)3.8. 호격(saṁbodhana)
4. 명사의 곡용
4.1. 모음 연성법
5. 동사 변화

[clearfix]

1. 개요

산스크리트어의 문법을 다루는 문서. 산스크리트어는 굴절어로, 명사가 - - 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풍부한 명사, 동사의 굴절 체계를 가지고 있다.

2. 명사와 형용사의 격변화

산스크리트 명사는 (라틴어나 고대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굴절어로서) 문장에 맞추어 격변화를 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우물' 이라는 단어가 있으면 우리는 여기에 '이/가' 주격 조사를 뒤에 별도로 붙여 주격을 만들지만, 산스크리트는 '우물이'에 해당하는 한 단어짜리 주격 명사로 변화시켜 버린다. 이는 산스크리트의 장점이자 단점으로 나타나는데, 산디를 파악했다면 문장만 딱 보고 해당 단어가 무슨 격인지 알 수 있다. 반대로 격변화를 모른다면 일일히 외워야 된다.

격변화는 크게 남성/중성/여성, 단수/양수[1]/복수 구분에 격이 7+1개다.[2] 일단 명사 하나당 21개 형태가 있고, 남성/중성/여성 한 세트씩 3세트가 있으며, -a로 끝나는 명사의 남성/중성/여성 곡용처럼 단어의 끝소리마다 명사 변화표가 따로 있다. 또한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산디 때문에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처럼 격변화가 비슷하게 끝나지 않는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남성과 중성은 거의 똑같다고 봐도 무방하다는 점이다.[3]

언어학에서 case syncretism이라고 부르는 현상이 산스크리트어에도 나타난다. 이는 어떤 단어의 격이 서로 다른데도 형태는 똑같은 것을 뜻한다. 영어에서 you가 주격으로 쓰이든 목적격으로 쓰이든 똑같이 you인 것과 같다.

그런데 문제는 산스크리트어의 case syncretism은 양수에서는 두드러지지만(겹치는 경우가 많지만), 단수와 복수에서는 별로 없다는 것이다. 그나마 중성은 남성과 형태가 같은 경우가 많아서 다행. 요컨데 문장이나 동사 단위가 아닌, 명사와 형용사도 격 변화를 철저하게 머리에 박아야 한다.

형용사도 명사와 같이 성/수/격 일치가 있으며, 수식하는 명사의 성/수/격을 반드시 따라가야 한다.

더욱 문제는 이걸 다 외운다 하더라도, 영어의 불규칙 변형처럼, 통상적인 격변화를 무시하는 명사가 있다는 것. 물론 비슷하긴 한데 비슷해서 더 헷갈린다.

그리고 명사 단어 하나에 형태 2-3개가 있는 경우가 많다. 이때 하나는 강형, 하나는 약형으로 구분하는데, 어떤 어미가 올 때에는 강형, 어떤 어미가 올 때에는 약형이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그 조건은 규칙이 있지만 단어마다 달라서 외울 양이 한가득 늘어난다. 예를 들어 바가바드 기타의 bhagavad는 bhagavat와 bhagavant 2가지 형태가 있다. 격변화를 할 때 어떤 건 bhagavant를 따라 격변화를 하고, 어떤 건 bhagavat를 따라 격변화를 한다. (규칙은 있다. 형태가 2가지인 명사는 첫 5격 변화, 즉 주격 단/양/복 목적격 단/양까지 강형, 나머진 약형이다.)

3. 명사론

산스크리트어는 인도유럽조어의 8개 격과 3개의 성, 단수-양수-복수 굴절을 그대로 물려 받았다. 산스크리트어의 명사곡용은 단어 하나당 8가지 격과 3가지 수로 8x3=24 총24개라는 무서운 값이 나온다.

5가지 격, 2가지 수로 명사당 10개의 곡용을 가진 라틴어와 비교해 봐도 14개나 많다. 라틴어는 제1~5변화 총 5가지 굴절식이 있지만, 산스크리트어는 딱히 몇 변화 이런 식으로 정리하는 게 의미가 없을 정도로 외울게 많다. 그래도 라틴어나 고전 그리스어 등을 배운 전적이 있다면 더 쉽게 다가올 것이다...

명사의 격(格)은 총 8개로, 각각 주격-대격-구격-여격-탈격-속격-처격-호격 순서로 나열한다.

3.1. 주격(prathamā)

주격은 "A가 간다"와 같은 문장에서 "A가"를, 그러니까 주어를 지시하는데에 사용된다.
또한 "그는 부처이다"와 같은 문장에서는 그는(주어), 그리고 그것과 동일시 되는 부처(술부주격;보어)로도 쓰인다.

ahaṁ brahmāsmi. (산디 비적용: aham brahma asmi.)
나는 브라흐만이다.
tat tvam asi.
너는 그것이다. (직역하면 '그것 너는 이다.')
nr̥po rāme snihyati. (산디 비적용:nr̥paḥ rāme snihyati.)
임금은 라마를 사랑한다. (snihyati:처격과 같이 쓰인다.)

3.2. 대격(dvitīyā)

대격, 흔히 목적격이라고도 부르는 이격은 직접 목적어로써 쓰인다.
또한 "그는 빵을 먹는다", "그 여자는 도시로 간다" 에서 도시처럼 행위의 목표를 나타낸다.

paśya me yogam aiśvaram.
보라 나의 전능한 요가를. (직역하면 '보라 나의 요가를 전능한.')
aśvaṁ dr̥ṣṭvā jalaṁ labdhvā rāmo pratigacchati. (산디 비적용:aśvam dr̥ṣṭvā jalam rāmaḥ pratigacchati.)
말을 보고 나서 물을 얻은 뒤 라마는 돌아간다.
tarati śokam ātmavit
아트만을 아는 자 슬픔을 건넌다. (지역하면 '건넌다 슬픔을 아트만을 아는자가')

3.3. 구격(tr̥tīyā)

구격은 동반을 나타내는데에 사용됩니다. "그는 그녀와 함께 간다" 에서 "그녀와 함께"라는 부분이 구격이 될 것이다.
또한 구격 뒤에 "saha"가 붙으면 ~함께라는 뜻으로 "nivā"가 붙으면 ~없이 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tayā sahāhaṁ gacchāmi. (산디 비적용:tayā saha aham gacchāmi.)
나는 그녀와 함께 간다. (직역하면 '그녀와 함께 나는 간다.)
tvayā nivā so ’gacchat. (산디 비적용:tvayā nivā saḥ agacchat.)
그는 너 없이 갔다. (직역하면, 너 없이 그는 갔다.')

구격은 또한 도구를 뜻하는데에도 사용된다. 동반에서 파생된 의미지만 실질적으로 더 자주 쓰인다.
"나는 연필로 글을 쓰고 있다" 에서 연필로가 구격이 될 것이다..

ahaṁ hastena karomi. (산디 비적용:aham hastena karomi.)
나는 손으로 만든다.

3.4. 여격(caturthī)

여격은 간접목적어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어 진다.
예를 들어 "그는 친구를 위해 글을 쓴다" 라는 문장에서 "친구를 위해"라는 부분이 여격이고
"그는 아들에게 선물을 준다"에서 "아들에게"라는 부분 또한 여격이다.

putrāya mālāṁ karoti. (산디 비적용:sā putrāya mālām karoti.)
그녀는 아들을 위해 화관을 만든다.

mātā putrikāyai pustakaṁ paṭhati. (산디 비적용:mātā putrikāyai pustakam paṭhati)
어머니는 딸에게 책을 읽어 준다.

pitā mātre gajaṁ hanti.(연성법 비적용:pitā mātre gajam hanti.)
아버지는 어머니를 위해 코끼리를 죽인다.

3.5. 탈격(pañcamī)

탈격은 기원, 근원, 원천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거의 "~로 부터"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비교를 위해서도 쓰인다.
"그 물은 강으로 부터 온다" --> "강으로 부터"가 탈격이 될 것이고
"나는 너보다 키가 크다" --> "너보다" 또한 탈격이 되겠다.

jalaṁ samudrād āgacchati.(산디 비적용:jalam samudrāt āgacchati.)
물은 바다로 부터 온다.

karmāni mat santi.
행위들은 나로 부터 있다.

narā gr̥hād āgacchanti.(산디 비적용:narā gr̥hāt āgacchanti.)
사람들이 집으로 부터 온다.

3.6. 속격(ṣaṣthī)

속격은 간단히 소유를 나타낸다. "나의 물건"이라는 문장에서 "나의"가 속격이 될 것이다.
또한 속격은 언제나 항상 그 다음 명사를 수식한다.

sundarī tasya patnyāgacchati. (산디 비적용:sundarī tasya patnī āgacchati.)
아름다운 그의 아내가 온다.

3.7. 처격(saptamī)

처격은 장소를 나타낸다.
"나는 집에 산다"에서 "집에"가 처격이 될 것이다. "그는 말에 타고 있다"에서 "말(馬)에"가 처격이다.

3.8. 호격(saṁbodhana)

호격은 대상을 부르는데 사용된다. 한국어로 치면 "철수야", "신이시여"같은 역할이다.
호격은 주로 문장의 첫 단어로 온다. 또한 호격은 격(vibhakti)이라기 보다는 주격(prathamā)의 변형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거의 주격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4. 명사의 곡용

4.1. 모음 연성법

다음은 모음 연성법들이다.

같은 종류의 모음 일 올 때.
a/ā + a/ā = ā / 예:nara + aśvaḥ = narāśvaḥ

i/ī + i/ī = ī / 예:khādati + it = khādatīti

u/ū + u/ū = ū / 예:kuru + upa = kurūpa

r̥/r̥̄ + r̥/r̥̄ = r̥̄ / 예:bhrātr̥ + r̥ṣi = bhrātr̥̄ṣi

다른 종류의 모음.
i/ī + 모음 = y 모음 / 예:nayati + aśvam = nayaty aśvam

u/ū + 모음 = v 모음 / 예:kuru + akarma = kurv akarma

r̥ + 모음 = r 모음 /mātrr̥ + atra = mātr atra

e + a = e’ / 예:gr̥he + atra = gr̥he ’tra (’는 a가 탈락 했음을 의미한다.)

e + 모음 = a 모음 / 예:grāme + iva = grāma iva

ai + 모음 = ā 모음 / 예:nadyai + atra = nadyā atra

au + 모음 = āv 모음 / 예:pitarau + atra = pitarāv atra

어말 a다음 다른 모음이 올 때 변화.
a/ā + i/ī = e / 예:gaja + iti = gajeti

a/ā + u/ū = o / 예:kaṭha + upaniṣad = kaṭhopaniṣad

a/ā + r̥ = ar / 예:satya + r̥ṣi = satyarṣi

a/ā + e + ai / 예:nr̥pa + eva = nr̥paiva

a/ā + o = au / tatra + okaḥ = tatraukaḥ

5. 동사 변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산스크리트어/문법/동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그리스어와 달리 또 자주 나온다.[2] 호격은 대개 주격과 비슷하기 때문에 외우는 양이 크게 늘지 않는다.[3] 남성과 중성이 비슷하게 곡용하는 것은 비단 산스크리트어만이 아니라, 남성/중성/여성 구분이 남은 인도유럽어 전체가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역사언어학자들은 초기 원시인도유럽어 시절에는 단지 활성체와 비활성체로 어휘를 구분해 사용하다가, 훗날 이런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활성체는 남성, 비활성체는 중성이 되고 여성이란 범주가 추가되었다고 추측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5
, 6.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