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서버 점검은 범위가 상당히 넓은데 서버를 점검하면 다 해당되기 때문이다. 온라인 서비스 상에서 클라이언트(사용자)를 제외하면 죄다 서버(제공자)다. 예를 들면 온라인 게임,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 구글서버, 은행의 전산서버, 학교 수강신청 서버, DNS서버 등등 자세한 예는 서버 항목을 참고.점검할 때 서비스가 중단되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한가한 새벽시간이나 휴일에 하는 경우가 많다.
서버점검의 목적은 서버의 안정적인 운영에 있다. 다만 사고가 발생하여 점검을 하는 경우도 있다. 온라인 게임의 긴급점검이나 농협 전산 사고의 뒷 수습 과정이 서버점검이다.
2. 온라인 게임의 서버 점검
출처[1]서버를 안정화시키거나 버그를 고치거나 간혹 트래픽 초과가 있을 경우 점검하는 일을 통틀어서 하는 말
과도한 데이터가 오가는 온라인 게임으로선 보통 정기적으로 일주일에 한번 정도 서버를 점검하거나 하는데 이때 업데이트를 겸하는 일이 있다.
하지만 이 점검은 보통 버그를 고치면 또 다른 버그가 튀어나온다는 IT업계의 전설처럼 보통 예상했던 점검기간보다 더 길게 나올 때가 많아 1~2시간정도 길어지는 일이 태반 모 게임은 짧게는 30분 길게는 5~7시간동안 점검한다. 극단적으로 나갈 경우 온라인 게임계의 듀크 뉴켐 포에버가 되기도 한다. 게임 서버 항목에서 더 자세히 나와 있다.
2.1. 참고
- 온라인 게임 4대 명검 - 온라인 게임의 점검과 관련된 인터넷 밈.
- 부유천하 - 서버점검 계의 레전드. 농담이 아니라 정말 점검하다가 게임이 없어졌다.
- 마비노기 - 마비노기 96시간 점검
- 큐라레 - 123시간의 서버점검을 달성했다.
- 걸 프렌드(♪) - 안드로이드 버전은 353시간, iOS 버전은 381시간을 달성했다.
- 야생의 땅: 듀랑고 - 오픈한지 3일만에 무려 8번이나 점검을 했다...
- 겟앰프드 - 2018년 9월 30일 55시간동안 점검을 하며 1년치 유저 데이터가 롤백 됐다
- Rhythm Hive - 오픈 직후 점검을 5번이나 했다.
- 펌프 잇 업 - 2021년 12월 21일 서버장비 손상으로 238시간의 점검을 진행한 끝에 플레이 데이터가 전부 유실되는 참사가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