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14:32:37

서술어

1. 개요2. 서술어의 자릿수
2.1. 한 자리 서술어2.2. 두 자리 서술어2.3. 세 자리 서술어2.4. 자릿수가 가변적인 서술어
3. 관련 문서

1. 개요

/ Predicate, Verb

문장 구성의 기본 골격이 되는 요소로서, '~이다', '~하다', '~다' 식으로 주어의 내용을 전개해주는 문장 성분으로 동사, 형용사, 체언(목적어) 등이 합쳐져 기본적인 문장의 성분을 이루는 말이다.

한국어 등의 교착어동사형용사, 더 나아가 명사, 대명사, 수사까지 서술어로 바로 쓸 수 있지만, 영어굴절어 계열은 동사만 서술어로 쓸 수 있다.[1][2] 해당 언어를 배울 때에도 '서술어'가 아닌 '동사'라고 할 정도. 이 때문에 영문법에서 사용하는 말들에 더 익숙한 학생들이 정작 모국어한국어 문법을 배울 때 처음 보는 단어(용언, 서술어, 관형사 등)와 접촉한다거나 단어는 같은데 쓰임이 좀 달라 보인다거나(형용사) 하는 등 이유로 혼란스러워하기도 한다.

고립어 계열도 거의 모든 단어를 서술어로 쓸 수 있다. 한문만 생각해 보더라도 이쪽은 품사의 경계 자체가 모호하다.

한국어에서는 이 서술어가 매우 돋보일 수밖에 없다. 이 말은 한국어를 잘 구사하는 데에는 서술어의 자연스러운 활용이 핵심이라는 말이기도 하며, 한국어는 끝까지 들어보아야 알 수 있다느니 하는 말들도 이에서 기원한 것이다.[3]

한국어의 다른 문장 성분처럼 서술어도 이동은 자유롭지만, 다른 문장 성분과 달리 서술어가 이동하였을 때는 도치법이라고 특별한 경우로 취급한다. 대개 맨 뒤에 쓰이고, 가장 많은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서술어는 높임법[4], 시제[5], 종결어미[6] 아울러 문체[7]를 확정짓는다. 물론 다른 어구도 이러한 문장 성격에 기여하지만 서술어만큼 결정적이지는 않다. 안녕히 계셨사옵나이까? 안녕히 있었니?의 문체 차이는 확연하지만, 잘 계셨사옵나이까?와 안녕히 계셨사옵나이까?의 문체 차이는 미묘하다. 당연히 여기서 미묘하다는 말은 다른 어휘를 쓰고 있는 두 말 사이에 어감 차이가 전혀 없다는 말이 아니다.

중국어는 고립어여서 수사(今天月几号 : 오늘은 월 며칠인가), 동사(我饭 : 나는 밥을 먹는다), 형용사(她很漂亮 : 그녀는 예쁘다) 등을 서술어로 사용할 수 있다.

2. 서술어의 자릿수

한국어 문법에서 서술어의 성격에 따라 필요로 하는 문장 성분의 개수. 영어의 5형식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

2.1. 한 자리 서술어

비가 내린다.
얼굴이 예쁘다.
나는 학생이다.

2.2. 두 자리 서술어

철수가 밥을 먹는다.
물이 얼음이 되었다.
그는 비겁하게 굴었다.
나는 너와 다르다.

2.3. 세 자리 서술어

엄마는 이마에 손을 얹었다.
할머니께서 나에게 세뱃돈을 주셨다.
나는 그를 사위로 삼았다.

2.4. 자릿수가 가변적인 서술어

일부 용언들은 자릿수가 일정하지 않고 그 쓰임새에 따라 자릿수가 바뀌기도 한다. 다의어인 용언 일부가 이에 해당된다.1. 필수적 부사어의 필요 여부가 갈리는 경우
(주어+서술어)
가로등이 밝다.
(주어+필수적 부사어+서술어)
그는 지리에 밝다.
2. 목적어의 필요 여부가 갈리는 경우
(주어+서술어)
자동차가 멈췄다.
(주어+목적어+서술어)
명희가 기계를 멈췄다.
(주어+목적어+서술어)
철수가 영희를 부른다.
(주어+목적어+필수적 부사어+서술어)
사람들은 그를 영웅이라고 부른다.

3. 관련 문서



[1] 동사 이외의 품사를 서술해야 할 경우 be 동사 등을 쓴다(이를 계사(Copula)라고 한다).[2] 다만 영어에서는 전통적으로 문장을 주어(subject)와 서술어(predicate)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서술어에는 동사 뿐만 아니라 보어, 목적어, 부사 등을 모두 포함시킨다. 국어 문법에서도 서술어가 엄격한 의미에서 동사에 오는 목적어, 보어 등을 전부 포함하는 경우와 같다. 그러나 국어에서는 서술어를 목적어, 보어 등과 일반적으로 구분하지만 영어 문법에서는 서술어가 동사와 동사가 취하는 목적어, 보어 등을 전부 포함한 것이라고 보는 게 일반적이다. 즉, 영어에서 서술어와 동사는 사실상 똑같다라든지 동사를 서술어로 배워야 한다든지 하는 일부 주장은 국어 문법 용어를 영어 문법에 투영하여 생긴 오해다.[3] 사실 어느나라든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듣는건 중요하지만 서술어가 뒤에 있는 한국어에선 이러한 부분이 강조된다.[4] 하 '시' 었 '나'이다[5] 하시'었'나이다[6] 하시었나이'다'[7] '하시었나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