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01:57

서훈

1.
1.1. 한국
1.1.1. 고려1.1.2. 조선
1.2. 기사단(order)
1.2.1. 덴마크1.2.2. 스웨덴1.2.3. 영국
2. 인물
2.1. 고대 중국 후한 말의 인물2.2. : 정치인2.3. 문재인 정부 제34대 국가정보원장이자 제4대 국가안보실장

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훈장(상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가유공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명예칭호(title of honor)를 부여하는 것이다. 서구권에서는 주로 기사단(order)과 결합한다. 소련이 붕괴한 이후에는 러시아에서도 구 러시아 제국 시절의 기사단을 군주국의 색채를 지우고 재활용하고 있다.

1.1. 한국

1.1.1. 고려

훈관(勳官)과 공신호를 병용했다. 공신호에 관해서는 공신을 참고.
고려에서 사용했던 훈관의 칭호로는 상주국(上柱國), 주국(柱國), 상호군(上護軍), 호군(護軍), 상경거도위(上輕車都尉), 경거도위(輕車都尉), 상기도위(上騎都尉), 기도위(騎都尉), 효기위(驍騎尉)가 있다.[1]

1.1.2. 조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신 문서
1.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사단(order)

각 기사단은 명목상으로는 군부대에 해당하므로, 그 단원은 명목상으로는 현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각 기사단별로 제복과 계급이 규정되며, 각 기사단의 각 계급별로 규정된 계급장[2]과 녹봉[3]이 수여된다.

1.2.1. 덴마크

명칭 계급과 정원 비고
코끼리 기사단
Elefantordenen
기사(riddere) 50인[4]덴마크의 대훈위에 상당
단네브로[5] 기사단 단네브로 대십자사령관(Storkommandør)
대십자(Storkors)
단네브로 1등급 사령관(Kommandør af 1. grad af Dannebrog)
단네브로 사령관(Kommandør af Dannebrog)
단네브로 1등급 기사(Ridder af 1. grad af Dannebrog)
단네브로 기사(Ridder af Dannebrog)

1.2.2. 스웨덴

명칭 계급과 정원 비고
왕립 치천사 기사단
Kungliga Serafimerorden
기사스웨덴의 왕족과 외국의 국가원수 및 이에 준하는 자에 한한다.
왕립 검 기사단
Kungliga Svärdsorden
왕립 북극성 기사단
Kungliga Nordstjärneorden
왕립 바사 기사단
Kungliga Vasaorden
왕립 칼 13세 기사단
Kungliga Carl XIII:s orden

1.2.3. 영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훈장(상훈)/영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인물

2.1. 고대 중국 후한 말의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훈(후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 정치인

서훈(1942) 참고.

2.3. 문재인 정부 제34대 국가정보원장이자 제4대 국가안보실장

서훈(1954) 참고.


[1] 이상은 고려시대 史料 Database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제도의 원류인 당·송에는 이 밑에 비기위(飛騎尉), 운기위(雲騎尉), 무기위(武騎尉)가 있었다. 고려에서도 이들을 썼는지는 확인이 필요하다.[2] 이것이 바로 훈장이고 셀프훈장이 생기는 이유이다.[3] 이것이 바로 대한제국 때 훈장연금을 규정한 이유다.[4] 30인에서 50인으로 확대되었다. 단, 덴마크의 왕족과 외국인은 정원 외이다.[5] 덴마크의 국기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