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20:01:16

성기사(하스스톤)/덱 일람/컨트롤 성기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성기사(하스스톤)/덱 일람|성기사(하스스톤)/덱 일람]]

하스스톤의 직업별 덱
[[죽음의 기사(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죽음의 기사.webp
죽음의 기사 덱
]]
[[악마사냥꾼(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악마사냥꾼.webp
악마사냥꾼 덱
]]
[[드루이드(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드루이드.webp
드루이드 덱
]]
[[사냥꾼(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사냥꾼.webp
사냥꾼 덱
]]
[[마법사(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마법사.webp
마법사 덱
]]
[[성기사(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성기사.webp
성기사 덱
]]
[[사제(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사제.webp
사제 덱
]]
[[도적(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도적.webp
도적 덱
]]
[[주술사(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주술사.webp
주술사 덱
]]
[[흑마법사(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흑마법사.webp
흑마법사 덱
]]
[[전사(하스스톤)/덱 일람|파일:직업 전사.webp
전사 덱
]]

파일:하스스톤 성기사 아이콘.png
성기사
덱 일람 역사
카드일람
핵심 고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folding [ 직업 전설 ] 파일:페가수스의 해 인장.png 핵심 파일:고전 로고.png 고전
여군주 리아드린 티리온 폴드링
티리온 폴드링
파일:고블린 대 노움 로고.png 파일:external/41a30701a8bdad14cdcd41c5677ead53c1d96c82e052e9deda7bdc2e5f99dd1e.png
볼바르 폴드라곤 성기사 에드릭
파일:external/89eaaf5fc1d60342227d5dca57ce5ac95da7ab17b10cf07269ce3b71f23efb41.png 파일:external/kr.battle.net/logo
빛의 군주 라그나로스 불꽃수염 번브리슬
파일:external/hearthstone-a.akamaihd.net/logo 파일:external/hearthstone-a.akamaihd.net/logo 파일:logo
파일:Quest_Mark.png마지막 칼라이도사우루스/갈바돈 칠흑의 기사단장 우서 발아니르
태양지기 타림 불꽃피 볼바르 리네사 선소로우
파일:하스스톤 마녀숲.png 파일:logo 파일:'라스타칸의 대난투'.png
유리 기사 칸고르의 끝없는 군대 대사제 데칼
왕자 리암 수정대장장이 칸고르 호랑이 시르밸라
파일:logo 파일:울둠의구원자.png 파일:logo-1ac84b270ec15026f1c33b4dda835332a1144d76935a7d704cef376d520b1f982b7d51dd964da9ab4e9ca2cf73c54299ba5c59ded7c5d9a96767e3943a83500d.png
사령관 라이사 파일:Quest_Mark.png미라 만들기/황제의 붕대 용기수 탈리사
노자리 모래의 기사 핀리 경 시간의 지배자
노즈도르무
파일:황폐한 아웃랜드.png 파일:스칼로맨스아카데미-logo.png 파일:광기의 다크문 축제-logo.png
아오욿 아옳으엃 종신 교수 투랄리온 구원받은 로스락시온
고위 수녀원장 알루라
여군주 리아드린 대총독 이렐
군주 바로브
파일:불모의 땅-logo.png 파일:스톰윈드-logo.png 파일:알터랙 계곡-logo.png
카리엘 롬 파일:Quest_Mark.png역경 극복/빛살이 카리엘 성전사 카리엘
대포전문가 스마이드 대영주 폴드라곤 붉은십자군 사이단
파일:가라앉은 도시로의 항해.png 파일:나스리아 성채 살인 사건-logo.png 파일:리치 왕의 진군-logo.png
거대괴수호 청지기 스튜어트 혈기사단장 리아드린
아나크로노스
코토리 라이트블레이드 백작
순도 관리인
파일:전설노래자랑-logo.png 파일:티탄-logo.png 파일:시간의 동굴-logo.png 파일:황야의 땅 결투-logo.png
별빛 그루브 평화수호자 아미투스 불꽃수염 번브리슬 황야의 땅의 영혼
황야의 땅 도적떼
춤의 제왕 칸고르 티르 시간 탐험가 루니
용감무쌍한 핀리 경
파일:위즈뱅의 장난감 공방-logo.png 파일:극한의 극락-logo.png 파일:끝없는 어둠-logo.png
장난감 대장 타림 햇볕탐식 리네사 희망의 봉화 이렐
루미아
핍시 페인트후프 샌크아즐
짐 레이너
파일:에메랄드의 꿈 속으로-logo.png
우르솔
불굴의 토레스 }}}

1. 개요2. 역사3. 파생
3.1. 무가옳 성기사3.2. 엑조디아 성기사3.3. 신의 격노 성기사

1. 개요

국내에서는 '힐기사'로 부르는 경우도 많은, 강력한 회복 주문들로 버티다가 뒷심 카드로 역전하는 성기사의 컨트롤 덱이다. 단 힐이 덱의 핵심도 아닐 뿐더러 딱히 힐이 강조될 필요가 없는데도, 베타 시절에 냉기 마법사를 저격하던 극힐 덱이 뇌리에 남아 관성대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순수 컨트롤 덱 뿐만 아니라 콤보 덱이 버티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컨트롤 성향을 띄는 경우도 포함한다.

사실 컨트롤 성기사 자체가 도화지 같은 덱이라서 평등, 신성화, 광기의 화염술사 정도, 진은검 정도만 넣고 나머지는 대충 컨트롤스 덱 답게 뒷심+버티기 카드들만[1] 대충 때려 밖으면 그게 컨트롤 성기사다.

2. 역사

베타 초창기 하스스톤 대회를 휩쓸었던 전적이 있으나 소위 '비트 성기사'로 불리는 어그로 성기사 쪽이 좀 더 유명했다. 이후엔 빙결 마법사 강점기 때 저격용으로 활용되기도 했지만 이론과는 달리 잘 먹히지는 못했다. 곧 마법사의 빙결기가 하향되고 비밀 하향 이전까지 비밀 비트 성기사가 대세가 되는 바람에 묻혔다.

비밀이 하향된 후로는 기존 빅덱을 적당히 경량화하여 겸손/알도르와도 궁합이 좋은 날뛰는 코도를 활용하는 것이 기본 틀이 됐다. Era, Zilea, 특히 Kolento 같은 유명 전설 유저들의 덱 공개 이후 2014년 7월까지 비트 성기사와 함께 성기사의 주류를 차지했다.

낙스라마스의 저주에선 기존의 어그로 내지 미드레인지 성기사[2]가 더 이상 딱히 장점이 없어 7~8마나 카드를 넣는 덱이 대세가 되었다. 단검 곡예사를 제외하고 유령 들린 거미, 허수아비 골렘, 썩은위액 누더기골렘, 태양 길잡이, 케른 블러드후프 등으로 필드를 끈적하게 잡으면서 도발도 많이 넣고 노움 발명가와 신의 축복으로 드로를 보충했다. 이렇듯 템포가 살짝 늘어진 메타에서 질질 끄는 전략을 택했는데, 빙결 마법사 시절에 잠시 쓰다만 치유 카드들을 다시금 사용하는 것에 주목해 국내에서는 힐기사라고도 불렸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신의 축복을 제외하면 치유 카드를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는데도 컨트롤 성기사라는 표현을 몰라서 계속 힐기사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꽤 있었다.

2014년 8월에 열린 'VGVN 낙스라마스 토너먼트'에서 Realz가 쟁쟁한 유명 선수들의 타 직업들을 성컨트롤 기사로 우수수 박살내버려 화제가 되었다. 무거운 전설 하수인보단 도발 하수인이 많은 특징을 집어 이런 덱 형태를 해외에서는 Tauntadin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후 켈투자드 또한 활발히 연구되었다. 하지만 성기사 자체가 꼴찌 직업이라 암울하게 마감했다.

고블린 대 노움에선 병력 소집과 병참장교, 보호막을 쓴 꼬마로봇이 추가된 미드레인지 성기사로 대세가 이전했다. 근데 시간이 흐르며 서로의 구분이 모호하게 융합됐는데, 보통 더 무거운 전설이 많으면서 회복 카드의 비중이 높다면 컨트롤 성기사에 가까웠다.

크라켄의 해와 매머드의 해를 거치며 말 그대로 무한정 버티는 게 가능하거나 확고한 승리플랜이 있는 컨트롤 덱만이 살아남게 되었고, 그에 따라전통적인 컨트롤 성기사는 맥이 끊기고 아래의 파생 덱들이 생겨났다.
정규전에서는 뒷심도 밀리고 원턴킬도 거의 불가능하며, 야생전에서는 원턴킬은 가능하나 버티기가 힘들어 어그로 덱에 콤보 재료를 쑤셔넣고 돌리는 경우가 많다.

히드라의 해에서 다시 성기사에 광역기가 다량 추가되고, 힐과 도발 등 컨트롤 지원 카드를 받아서 티어덱에 오랜만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주요 승리 플랜은 각종 버프 주문과 힐 카드를 이용해 버티고, 핸드버프를 받은 스마이트 씨를 활용한 돌진 플랜으로 마무리를 하는 덱. 주로 '신성 성기사(Holy Paladin)'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국내에서는 각종 대회에서 천상의 김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이 여러모로 임팩트가 있었기 때문에 김밥 기사라는 애칭으로도 불린다. 그러나 패치가 진행될수록 컨트롤 성기사 자체는 너프를 먹지 않았음에도 메타가 불리하게 작용해 점점 컨트롤 성기사보단 기계, 혹은 떡대 성기사로 점유율이 넘어가게 되었다.

악마사냥꾼 너프 패치 이후에는 평등, 김밥과 화염술사의 연계를 필두로 한 뛰어난 필드 장악 능력과 영웅 교체 카드 빛벼림 카리엘의 사기적인 성능이 재평가받아 다시 상위권 유저들 사이에서 알음알음 쓰이기 시작했다. 뱀가발 사제를 대표로 하는 필드덱을 매우 잘 잡는다는 장점으로 느려진 메타에 매우 잘 적응하며 점유율이 많이 오르게 되었다. 다만 성기사 특유의 수동적인 플레이 때문에 패가 마르거나 감당할 수 없을정도로 필드 복구력이 좋은 덱들의 경우 상대하기가 다소 까다롭다. 가라앉은 도시로의 항해 미니팩 파도의 왕좌에선 빛가오리를 받고 메타가 유리하게 작용하여 2티어 상위권에 등극하였다.

3. 파생

3.1. 무가옳 성기사

한글명 무엇이든 가능하다옳 파일:external/media-hearth.cursecdn.com/27240.png
영문명 Anyfin Can Happen
카드 세트 탐험가 연맹
카드 종류 주문
등급 희귀[3]
직업 제한 성기사
속성 -
황금 카드 제작
비용 10
효과 이번 게임에서 죽은 멀록 7마리를 소환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나는야 멀록! 나는야 죽음! 그리고 다시 살음!
(Theme song by Ellie Goldfin and Blagghghlrlrl Harris.)[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엇이든 가능하다옳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엇이든 가능하다옳#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엇이든 가능하다옳#|]][[무엇이든 가능하다옳#|]]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탐험가 연맹에서 무엇이든 가능하다옳(이하 무가옳)이 추가되면서 '콤보' 멀록 덱이 최초로 탄생했다. 타 콤보 덱과 달리 재료만 모으면 되기 때문에 카드를 뽑으면서 하수인을 교환하고 푸른아가미 전사, 멀록 전투대장, 늙은 거먹눈 멀록을 미리 묻어 놓으면 무가옳만 사용해도 킬각이 난다.
멀록 전체 피해량 분산 피해량 총 피해량
- - 0
대대 - - 0
2 2 2
2 2 2
푸푸 2+2 2+2 4
(2+2) 4 4
2+(2+1) 2+3 5
(2+2+1) 5 5
대대 (2+2+2) 6 6
대대 (2+2+2+2) 8 8
푸푸 (2+2)+(2+2) 4+4 8
푸푸 2+2+(2+2) 2+2+4 8
(2+2)+(2+2+2) 4+6 10
대대푸푸 (2+2+2)+(2+2+2) 6+6 12
대대 (2+2+2)+(2+2+2+3) 6+9 15
푸푸 (2+2)+(2+2)+(2+2+3) 4+4+7 15
대대푸푸 (2+2+2)+(2+2+2)+(2+2+2+4) 6+6+10 22

'이번 게임'에서 죽은 멀록을 부활시키기에, 상대가 멀록덱이라면 무가옳이 교란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얌전히 나가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3.2. 엑조디아 성기사

한글명 칠흑의 기사단장 우서 파일:칠흑우서 고화질.png
영문명 Uther of the Ebon Blade
카드 세트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카드 종류 영웅
등급 전설
직업 제한 성기사
황금 카드 제작 또는 카드팩
비용 9
방어도 5
효과 전투의 함성: 5/3 생명력 흡수 무기를 장착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앞으로 나와라. 그리고 속죄하라! 한때 나는 빛의 종복이었지만, 이제 심판을 내리는 자는 오직 나뿐이다."
("Step forward. Confess! Once I was a mere servant of the Light. Now I alone stand in judgement.")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에서 추가된 죽음의 기사 카드 칠흑의 기사단장 우서의 영웅 능력 4인 기사단의 효과인 4인 기사단이 전부 모였을 때 특수 승리하는 것을 이용해 원턴킬을 노리는 덱이다.

승리플랜의 핵심은 경매장 지배인 비어도. 영능-비어도-주문-영능-주문-영능-주문-영능 순으로 내면 되며, 비어도가 3코스트, 영능 4번은 8코스트이므로 동전을 하나 이상 사용하거나 비어도, 혹은 영웅 능력의 비용을 줄일 필요가 있다. 비어도의 트리거인 주문을 수급하는 방식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비어도가 없으면 고대의 양조사(또는 젊은 양조사)와 고르곤 졸라로 기사를 패에 모으는 방법도 있으나, 필드에 다른 4인 기사단이 없으면 영능에서 이미 손으로 가져온 것과 같은 기사가 나올 수 있어 어느 정도 운이 필요하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영능을 먼저 누르면 패에 있는 것과 같은 기사가 나와서 말짱 꽝이 될 수 있으니 유의. 비어도 플랜보다 걸리는 시간도, 안정성도 떨어지는 사실상의 하위호환이다.

2024년 노래방 친구이 등장해 앞서 나온 것에 비해서 굉장히 쉽고 허무하게 킬을 낼 수 있게 되었다. 시간의 지배자 노즈도르무 등으로 어떻게든 마나를 9 이상 만들어 놓고 긴급 소집으로 주둔지 사령관과 노래방 친구를 소환해놓고 영능을 2번 누르면 끝.

3.3. 신의 격노 성기사

한글명 신의 격노 파일:external/media-hearth.cursecdn.com/355.png
영문명 Holy Wrath
카드 세트 고전
카드 종류 주문
등급 희귀
직업 제한 성기사
속성
황금 카드 제작 또는 카드팩
비용 5
효과 카드를 뽑고 그 카드의 비용만큼 피해를 줍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제발, 용암 거인아 나와라!
(C'mon Molten Giant!!)

신의 격노로 시르밸라를 뽑아 25 ~ 50딜을 넣어 게임을 끝내는 덱.

이전의 신의 격노 덱은 헤멧을 사용하기 위해 어그로 덱으로 짜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시르밸라가 추가되면서 컨트롤 형식의 신의 격노 덱이 탄생했다. 드로우 카드를 통해 덱을 다 뽑고, 탈진인 상황에서 시르밸라를 은행원으로 덱에 집어넣은 뒤 신의 격노를 사용하여 25의 피해를 주는 것이다. 상대 피가 25보다 높다면 한턴을 더 내서 50딜까지도 가능하다.

엑조디아 성기사와 비교하면 여러 장단점이 있다.



[1] 부활, 하수인 버프, 회복 카드들...[2] 요즘 기준으로 보면 미드레인지+컨트롤 성기사이다.[3] 원래는 특급 카드로 기획되었는지 미리보기에선 특급 카드로 나온다.[4] 카드 이름부터 엘리 굴딩의 곡 Anything Could Happen의 패러디이다. 캘빈 해리스는 엘리 굴딩의 전 남친.[5] 얼왕기에서 죽기 우서로 원턴킬이 가능해졌고 시르밸라, 은행원을 쓰는 신격기사도 등장했으나 둘 다 무가옳에 비하면 훨씬 번거롭고 느리다.[6] 주술사의 필드 전개부터가 괴랄했던데다 멀록 전투 대장이 모두 사술을 당하면 항복 외에는 답이 없었다. 여기에 번개 화살, 불의 군주 라그나로스, 바람의 군주 알아키르 같은 피니쉬도 있어서 사술을 쓰지 못하게 전투대장을 같이 죽일 여유도 없었다.[7] 다른 성기사 덱들도 흑마법사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주 목적이 무가옳을 통한 원턴킬인 무가옳 성기사는 예전부터 도발에 취약했기 때문이다.[8] 취향에 따라 카르투트 수호병을 넣기도 하지만, 퀘스트를 깨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도발과 힐이 주 목적이다.[9] 동전을 수급하는 입증된 모험가, 드로우를 주는 퀘스트 중인 탐험가, 버티기에 좋은 하늘장군 크라그[10] 1코스트, 내 덱에 넣은 주문과 넣지 않은 주문을 드로우. 신성 주문.[11] 법원의 명령 사용 즉시 죽기 우서 드로우, 이후 시간의 지배자 노즈도르무-노래방 친구 혹은 주둔지 사령관 드로우. 중복이 뽑히는 경우를 가정해도 명령 사용 4턴 후에는 파츠가 모두 모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