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900000><tablebgcolor=#900000>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초대 | ||||
김두봉 | 허헌 | 유성훈 | 하앙천 | 황장엽 | |
(대수미상) | |||||
지창익 | 박관오 | 성자립 | 태형철 | 최상건 | |
(대수미상) | |||||
리국철 | 김승찬 | ||||
}}}}}}}}} |
1. 개요
북한의 교육인, 정치인. 김일성종합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2. 생애
1948년 10월 11일에 태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성시백의 아들로, 이는 성자립 수기에도 적혀 있는 분명한 사실이다. 그의 이름인 자립은 김일성이 직접 지어준 것이다. 원래 서울에서 살다가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한 후 월북하였다. 북한에서 열사로 떠받드는 성시백의 아들인 덕분에 김일성의 보살핌을 받아 만경대혁명학원을 졸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용옥과의 대담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원래는 경제학 전공자이며 외국 유학은 한 적이 없다.1992년 12월, 김일성을 접견하고 김일성시계를 하사받았다.
2004년 2월, 박관오의 후임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총장 임명이 확인되었으며,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2004년 3월, 11기 법제위원회 위원에 보선되었다고 하나 로동신문 등 북한 매체에선 이를 확인할 수 없다. 2004년 10월, 러시아 극동국립대 개교 105주년 기념식에 참석했다가 서울대학교 총장 정운찬과 회담하기도 했다. # 2005년 8월, 자주 평화 통일을 위한 8.15민족대축전 참가차 방한하였다. # 2007년 3월 21일, 김일성 탄생 95주년 김일성훈장을 받았다. 2007년 2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방북한 김용옥과 철학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 2007년 6월, 리인모 장의위원을 지냈다.
2009년 3월, 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12기 1차 회의에서 법제위원회 위원으로 다시 선출되었다. 2010년 6월 23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교육성이 교육위원회로 개편되어 산하에 보통교육성과 고등교육성이 설치됨에 따라 고등교육상에 임명되었다. 다만 고등교육상 임명이 발표되진 않았으며 이후 고등교육상 자격으로 행사를 나오면서 임명이 확인되었다. 2010년 9월, 3차 당대표자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010년 11월, 조명록 장의위원, 2011년 12월, 김정일 장의위원을 지냈다. 통일부 자료는 성자립이 2012년 11월, 국가체육지도위원에 위촉됐다고 하나 정작 북한에서 밝힌 위원 명단에 성자립은 없다. 2013년 4월 1일, 최고인민회의 12기 7차 회의에서 태형철에게 김대 총장 및 고등교육상 자리를 물려주고 퇴임하였다.
이후 조용하다가 2015년 6월 3일, 스웨덴 대사관의 도서기증식에 인민대학습당 부총장 자격으로 참석하면서 모습을 드러냈다. 하지만 동년 8월 14일, 백두대산줄기사진전 개막식에 참석한 것을 마지막으로 소식이 끊겼다. 은퇴해서 조용히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