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1:43:32
}}}}}}}}} ||1 . 개요2 . 노선 정보3 . 역사4 . 특징5 . 연계 철도역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성주버스정류장 과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을 잇는 노선.2. 노선 정보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송계-수륜-백운동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 종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가야산국립공원(백운동)) 종점행 첫차 11:50 기점행 첫차 16:40 막차 막차 20:00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1.5회(성주 방향: 2회/백운동 방향: 1회) 노선 성주버스정류장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송계1리, 명계 - 송계2리, 송산 - 수성2리, 갓말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신파2리, 조양 - 백운리, 중기 - 가야산국립공원(백운동)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칠봉-송계-수륜-백운동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 종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가야산국립공원(백운동)) 종점행 첫차 16:00 기점행 첫차 12:25 막차 19:30 막차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1.5회(성주 방향: 1회/백운동 방향: 2회) 노선 성주버스정류장 - 대흥리 - 유촌마을(칠봉리) - 송계1리, 명계 - 송계2리, 송산 - 수성2리, 갓말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신파2리, 조양 - 백운리, 중기 - 가야산국립공원(백운동)
성주군 농어촌버스 수륜-백운동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당리(수륜(신당마을)) 종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가야산국립공원(백운동)) 종점행 첫차 11:00 기점행 첫차 11:10 막차 막차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1회 노선 수륜(신당마을) - 신파2리, 조양 - 백운리, 중기 - 가야산국립공원(백운동)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하목-작은동-수륜-송계-성주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 종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작은리(작은리) 종점행 첫차 10:00 기점행 첫차 막차 막차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1회 노선 성주버스정류장 → 대흥리 → 성주군농업기술센터 → 대가(옥성리) → 호령고개 → 거뫼 → 작은리 → 개티 → 보월리 → 작천 → 화암 → 남은리 → 계정리 → 사창 → 오천2리 → 윤동 → 성리 → 수륜(신당마을) → 실로암요양원 → 국민호텔 → 실로암요양원 → 수륜(신당마을) → 분통골 → 수성2리, 갓말 → 송계2리, 송산 → 송계1리, 명계 → 호령고개 → 대가(옥성리) → 성주공설운동장 → 대흥리 → 성주버스정류장 [ 지도 노선도 보기 ]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송계-수륜-작은동-하목-성주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 종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작은리(작은리) 종점행 첫차 15:00 기점행 첫차 막차 막차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1회 노선 성주버스정류장 → 대흥리 → 성주군농업기술센터 → 대가(옥성리) → 호령고개 → 송계1리, 명계 → 송계2리, 송산 → 수성2리, 갓말 → 분통골 → 수륜(신당마을) → 성리 → 윤동 → 오천2리 → 사창 → 계정리 → 남은리 → 화암 → 작천 → 보월리 → 개티 → 작은리 → 거뫼 → 호령고개 → 대가(옥성리) → 성주공설운동장 → 대흥리 → 성주버스정류장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송계-수륜-계정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 종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계정리(계정리) 종점행 첫차 06:20 기점행 첫차 06:50 막차 막차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1회 노선 성주버스정류장 - 대흥리 - ( → 대가(옥성리) → / ← 유촌마을(칠봉리) ← ) - 송계1리, 명계 - 송계2리, 송산 - 수성2리, 갓말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성리 - 윤동 - 오천2리 - 계정리
날짜 미상으로 작은동 종착 노선이 폐지되었다. 2021년 9월 8일 하루 동안 기사의 바이러스 확진으로 인해 송계, 수륜, 백운동 노선의 운행이 중지되었다. * 작은동 노선은 중간에 고령군 운수면 화암리(화암사거리 정류장)를 경유하며 성주군 버스 노선 중에서도 가장 산골짜기로 들어가는 노선 중 하나다. 길 폭도 매우 좁아서, 왕복 1차선에 도로 폭은 2m인 도로에 영상에서는
무려 준대형버스 인 BS106 이 운행하는 것이 매우 엄청날 수준이다. 이래도 도로 폭이 가늠이 안 간다면 영상을 보자. 운행 중에 나무에 차가 다 긁혀서 엄청난 굉음이 나고, 커브를 돌 때도 차가 긁힐랑 말랑 아찔하게 운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실제로 타면 훨씬 더 체감될 것이다. 그래서 작은동 노선에는 숙련된 기사만 운행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하지만 숙련된 기사도 매우 힘들어하는 난코스기 때문에 운행하기 더욱 힘들다 할 수 있다. 현재는 레스타가 들어가기 때문에 운전부담은 조금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험한 노선인건 마찬가지다.
작은동 노선의 경우 수륜방면에 한해 백운동 노선과 통합 운행한다. 백운동 노선과 작은동 시계방향 노선은 성주군 가야산 입구로 가는 노선이다. 당연히 등산객들이 많이 타며, 버스 시간대도 등산객들이 나오는 시간에 맞춰져있다. 백운동 노선은 첫차가 매우 늦으며 반대로 작은동 노선은 막차가 매우 빠르다. 소요시간은 백운동 기준 직행 40분, 수륜경유 1시간 10분 정도 소요된다. 5. 연계 철도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