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4 21:57:33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언어별 명칭
이탈리아어 Amministrazione fiduciaria italiana della Somalia
소말리아어 Dhulka Soomaaliyeed oo hoos yimaada Maamulka Talyaaniga
아랍어 إقليم صوماليلاند تحت الوصاية للإدارة الإيطالية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이탈리아-소말리아 관계 관련 문서 [[소말리아|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소말릴란드(동음이의어)(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외교 이탈리아-소말리아 관계
기타 아프리카계 이탈리아인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관련 틀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 유엔 신탁통치령
오세아니아
나우루 사모아 <nopad> 파푸아뉴기니 <nopad> 태평양 제도
아프리카 <nopad> 남카메룬 동토고 루안다-우룬디 <nopad> 소말릴란드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서카메룬 서토고 탕가니카 }}}
영국 ( 호주, 뉴질랜드 삼국 공동)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소말리아와 지부티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6px -2px -12px"
고대이슬람 정착대항해시대식민지 시대현대
푼트 마크로비아인 아자이나 세시 연맹 이파트 술탄국 아달 술탄국 하라르 술탄국 아파르 술탄국프랑스령 소말릴란드
영국령 소말릴랜드
지부티
소말리아 공화국
지부티
소말릴란드 공화국
모가디슈 술탄국아주란 술탄국오만 제국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신탁통치령 소말리아소말리아 민주공화국소말리아 연방 공화국내전
}}}}}}}}}}}} ||
1. 개요2. 상세3. 역사4. 관련 문서

1. 개요

이탈리아신탁통치를 받은 소말리아를 가리킨다.

2. 상세

1950년 영국 군정소말릴란드 군정이 끝나면서 UN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의 이탈리아에게 신탁통치를 할 수 있도록 이양을 했다.

원래대로라면 이탈리아는 소말리아에도 철수했어야 했지만 연합국 사이에서 소말리아에 대한 처우 및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1949년 11월 UN의 신탁통치를 하기로 결정했다.

결국 이탈리아가 옛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1950년부터 1960년까지 10년간 다스릴 수 있도록 했으나 대신 정치적으로 자치를 허용하는 방식이었다.

1959년 투표를 통해 소말리아에서는 이탈리아로부터 독립을 찬성하는 투표가 더 많아지면서 1960년 7월, 이탈리아가 최종적으로 물러나면서 소말리아는 주권을 인정받았다.

3. 역사

1941년, 제2차 세계대전 중 영국과 남아프리카군이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점령하였다. 하지만 1950년 4월 1일, 유엔 결의안 289에 따라 이탈리아 신탁통치령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패전국 이탈리아가 유일하게 식민지를 재통치한 사례로, 국제적으로 매우 논란이 컸다. 이에 소말리 청년동맹은 이탈리아의 복귀를 강력히 반대하였다. 하지만 미국 대표 필립 제섭은 소말리인들은 유목민이라서 아직 자치 능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하며 신탁통치 연장을 옹호하였다. 이탈리아 복귀 전, 소말리아 청년동맹은 대규모 회의를 열어 향후 전략을 논의하였다. 처음에는 무장투쟁을 고려했으나, 비폭력·정치투쟁으로 노선을 변경하였다. 이에 소말리 청년동맹은 이탈리아 행정당국에 공식 문서를 제출해 다음을 요구하였다. 아랍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파시스트 시절 관료 재임용을 금지하고, 독립 운동을 방해하지 말 것을 말이다. 하지만 이탈리아는 전후 경제 붕괴로 신탁행정을 운영할 재정이 부족했으며, 행정 책임자 대부분이 구 식민성 출신으로 임명해 소말리인과 에티오피아인의 강한 불신과 반발을 초래하였다. 그래서 신탁통치 지역은 전 파시스트들의 도피처로 인식되기도 했다. 결국 유엔은 소말리인들의 불만을 완화하기 위해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였다. 하지만 자문 위원회의 콜롬비아·필리핀 대표는 이탈리아 편향적, 반면 이집트 대표는 소말리 편에 서서 비판적 태도를 보여서 별다른 효과를 주지 못했다.

이탈리아 신탁통치행정의 총독으로 임명된 코파소는 소말리 청년동맹을 무력화하고 통치기간을 10년에서 30년으로 연장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현지인들은 AFIS를 “Ancora Fascisti Italiani in Somalia” (여전히 소말리아의 이탈리아 파시스트들) 이라고 조롱하기도 했다. 코파소는 소말리 청년동맹 협력 자체를 거부하였다. 후일 소말리아의 총리가 된 압디라작 하지 후세인은 1950년 이탈리아군에 의해 구타 및 체포당하기도 했다. 애초에 재정 부족 상태였던 AFIS는 1951년 예산이 25% 삭감되었다. 재정 압박으로 인해 주둔 이탈리아 병력이 1951~1952년에 급감하였고, 이는 신탁통치행정 당국의 치안 유지를 크게 악화시켰다.

결국 소말리인들의 반발을 달래기 위해 이탈리아 당국은 엔리코 마르티노를 새 총독으로 임명하였다. 외교부에서 새로운 총독으로 부임하는 마르티노에게 내린 4가지 지침을 내렸다.
1. 소말리 청년동맹과 협력하여 독립 준비
2. 1960년 신탁통치 종료 기한 준수
3. 이탈리아인-소말리인 간 긴장 완화
4. 소말리 경제 개선

이 4가지 지침 하에 1954년, 모가디슈에 로마 대학의 지원으로 법학·경제·사회학 고등 교육기관 설립하였다. 또한 첫 민주 선거 준비를 위해 인구조사 실시하였다. 1954년 지방선거에서 소말리 청년동맹은 압도적으로 승리하였다. 소말리 청년동맹이 독립한 소말리아를 다스릴 것이 확실시 되자 소말리 청년동맹은 급진파와 온건파로 분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교관 엔리코 안질로티가 소말리 청년동맹과 이탈리아 신탁통치행정 사이 조정 역할 수행하였고, 평화적으로 독립을 위한 준비를 차근차근 준비하였다.

1956년 이탈리아 고위 관리들이 모두 소말리인으로 교체되면서 독립을 위한 토대가 준비되었다. 1956년 말, 모든 구·현이 소말리 관리 하에 들어갔고, 결국 1960년 소말리아는 정식으로 독립하게 되었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