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21:54:43

미셸 건 엘리펀트

시 미셸 건 엘리펀트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width=360px><table bordercolor=#000> 파일:0002657220.200.jpg미셸 건 엘리펀트
Thee Michelle Gun Elephant
}}}
파일:THEE30TH.webp
▲왼쪽부터 우에노 코지, 쿠하라 카즈유키, 치바 유스케, 아베 후토시
해체 당시 멤버 치바 유스케
아베 후토시
우에노 코지
쿠하라 카즈유키
이전 멤버 시가 케이이치
장르 개러지 록, 펑크 락
활동기간 1991년 – 2003년
데뷔 (인디) 1993년 앨범 "MAXIMUM! MAXIMUM!! MAXIMUM!!!
(메이저) 1996년 싱글 "世界の終わり"
1. 개요2. 멤버
2.1. 해체 당시 멤버2.2. 전 멤버
3. 디스코그래피
3.1. 싱글3.2. 미니 앨범3.3. 앨범3.4. 베스트 앨범3.5. 라이브 앨범3.6. 라이브 영상
4.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81547713c2b84b7db0e609fa20c6f9b4.jpg
THEE MICHELLE GUN ELEPHANT (ミッシェル・ガン・エレファント)[1]

일본 4인조 개러지 록 밴드. 1991년에 처음 결성됐으며, 이후 멤버 교체를 거쳐 2003년 10월 중순 해체 당시의 4인 체제가 굳어지게 되었다. 주로 사용되는 약칭은 TMGE 또는 미셸.

2003년 8월 31일에 팬클럽 회원 편지에서 해체를 통보하고, 9월 1일에 공식 웹사이트에서 해체를 통보한다. 이후 같은 해 10월 11일 마지막 투어인 'LAST HEAVEN TOUR' 마지막 날, 15번째 싱글 '일렉트릭 서커스' 발표를 한 뒤 활동을 마감한다.

2. 멤버

2.1. 해체 당시 멤버

2.2. 전 멤버

3. 디스코그래피

3.1. 싱글

발매일 타이틀 비고
1996.02.01 세계의 끝 (世界の終わり) 1집 수록
1996.08.01 캔디 하우스 (キャンディ・ハウス) 2집 수록
1996.10.19 릴리 (リリィ) 2집 수록
1997.05.01 컬처 (カルチャー) 3집 수록
1997.08.01 겟 업 루시 (ゲット・アップ・ルーシー) 3집 수록
1997.10.21 버드멘 (バードメン) 3집 수록
1998.01.07 VIBE ON! / 당신의 노예로 남아도 좋아
(VIBE ON!/あんたのどれいのままでいい)
자주 제작 싱글
1998.08.01 G.W.D 4집 수록
1998.09.01 아웃 블루스 (アウト・ブルーズ) 앨범 미수록
1998.11.03 스모킹 빌리 (スモーキン・ビリー) 4집 수록
2000.02.02 GT400 5집 수록
2000.09.27 베이비 스타더스트 (ベイビー・スターダスト) 6집 수록
2001.03.22 폭로된 세계 (暴かれた世界) 6집 수록
2002.12.25 태양을 붙잡아버렸다 (太陽をつかんでしまった) 7집 수록
2003.06.21 Girl Friend 자주 제작 싱글
2003.10.11 일렉트릭 서커스 (エレクトリック・サーカス) 앨범 미수록

3.2. 미니 앨범

발매일 타이틀 비고
1995.10.21 wonder style 자주 제작 앨범
1997년 5월 1일 재발매

3.3. 앨범

발매일 타이틀 비고
1996.03.01 cult grass stars
1996.11.01 High Time
1997.11.01 Chicken Zombies
1998.11.25 GEAR BLUES
2000.03.01 CASANOVA SNAKE
2001.05.23 RODEO TANDEM BEAT SPECTER
2003.03.05 SABRINA HEAVEN
2003.06.21 SABRINA NO HEAVEN

3.4. 베스트 앨범

발매일 타이틀 비고
1999.08.06 RUMBLE
2000.12.13 TMGE106
2002.12.25 THEE MICHELLE GUN ELEPHANT GRATEFUL TRIAD YEARS
2009.12.16 THEE GREATEST HITS 2025.2.1 디지털 스트리밍 발매

3.5. 라이브 앨범

발매일 타이틀 비고
1993.11.25 MAXIMUM! MAXIMUM!! MAXIMUM!!! 자주 제작 앨범
1999년 11월 25일 재발매
2000.12.13 CASANOVA SAID "LIVE OR DIE"
2003.12.03 LAST HEAVEN'S BOOTLEG

3.6. 라이브 영상

발매일 타이틀 비고
1996.10.19 thee michelle gun elephant play maximum rockin' blues 1996년 10월 19일 VHS 발매
2004년 1월 21일 DVD 발매
1997.08.01 WORLD STEREO LYNCH 1997년 8월 1일 VHS 발매
2002년 3월 1일 DVD 발매
1998.05.01 FILM STARS REVENGE! 1998년 5월 1일 VHS 발매
2002년 3월 1일 DVD 발매
1999.05.01 WORLD PSYCHO BLUES VHS / DVD 동시 발매
2000.07.29 FILM STARS NOT DEAD VHS / DVD 동시 발매
2002.03.01 GOD JAZZ TIME DVD 한정 발매
2003.12.03 BURNING MOTORS GO LAST HEAVEN DVD 한정 발매
2004.01.21 a filmography of THEE MICHELLE GUN ELEPHANT DVD 한정 발매
2004.01.21 WHO KILLED THE FILM STARS? DVD 한정 발매
2010.01.20 THEE LIVE DVD-BOX 한정 발매
2010.02.17 "THEE MOVIE" -LAST HEAVEN 031011- 2010년 2월 17일 DVD 발매
2011년 9월 21일 Blu-ray 발매
2013.09.25 BURNING MOTORS GO LAST HEAVEN Ⅱ
LAST HEAVEN TOUR 2003.09.25 at Kyoto TAKUTAKU
DVD / Blu-ray 동시 발매

4. 여담


[1] 'THEE'의 유래가 된 Thee Headcoats에서 'Thee'를 발음하지 않듯, 'THEE'는 묵음이다.[2] 밴드의 이름을 딸 때 미쉘 건 엘리펀트처럼 영단어 3개의 구성을 따왔다고 한다.[3] 赤毛のケリー(Red Hair Kelly), Drop[4] 이때 추가로 공연한 곡은 'Midnight Klaxon Baby'.[5] 1996년 2월 1일 세계의 끝 (世界の終わり)을 발매하며 메이저 데뷔.[6] LP는 이전에도 「is this High Time?」 이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으며, 이번에도 같은 제목으로 발매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