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5:57:37

식지동

고사성어
먹을 식 손가락 지 움직일 동

1. 개요2. 유래3. 기타

1. 개요

식지(검지)가 움직이다. 식욕이나 물욕이 동하여 어떠한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한다.[1]

2. 유래

춘추좌씨전열국지에 따르면, 춘추시대 정나라의 공자 송(宋)에게는 특이한 버릇이 있었다. 식지(검지)가 움직이면 반드시 기이하고 맛있는 음식을 먹게 될 일이 생기는 것이다. 어느날 자송은 공자 귀생(歸生)과 이튿날 아침 일찍 입궐하여 임금인 정영공(鄭靈公)께 문안을 드리자고 약속했는데, 이튿날 아침 귀생을 만나자 공자 송의 식지가 움직이는 것이었다. 귀생이 이를 보고 기이하게 여겨 묻자, 공자 송은 귀생에게 식지가 움직이는 까닭을 자랑스레 말했다.
"지난날 내가 사신으로 진(晉)나라에 갔을 때 식지가 이리 움직이더니 그날 처음으로 석화어(石花魚)라는 것을 먹었소. 그후 초(楚)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도 식지가 이렇게 움직였는데, 그땐 처음으로 천아(天鵝) 고기를 먹었소. 그리고 그후에도 식지가 움직인 일이 있는데, 그땐 합환귤(合歡橘)[2]을 먹었소. 이렇듯 기이한 음식을 먹는 날마다 식지가 움직이는데, 보아하니 이번에도 별미를 먹을 것 같구려. 과연 무슨 별미일지 궁금하외다."

과연 공자 송의 예상대로, 내시가 재부(宰夫; 궁중 요리사)를 불렀다. 공자 송이 내시에게 그 까닭을 묻자, 내시가 대답했다.
"오늘 새벽 한강(漢江)에서 한 백성이 200근이 넘는 자라를 잡아 우리 임금께 진상했습니다. 상감께서는 이를 모든 대부와 나누기 위해 그 자라를 잡아 국을 끓이라며 재부를 부르는 것입니다."

공자 송은 이번에도 어김없이 자신의 예상이 맞았음을 깨닫고 기뻐하였다. 그러자 영공은 이를 보고 이상하게 여겨 귀생에게 물었다. 귀생은 공자 송에게 들은 바를 그대로 말하였고, 영공은 장난조로 대답했다.
"그게 정말 맞는지 안 맞는지는 과인의 생각 여하에 달릴 뿐이다."

과연 점심 때, 다른 대부들에게는 모두 자기 몫의 고깃국이 돌아갔으나 유독 공자 송의 차례에서 고깃국이 다 떨어졌는데, 이는 영공이 재부에게 일부러 한 그릇이 모자라도록 고깃국을 끓이도록 명한 것이었다. 본디 영공은 좌중의 분위기를 유쾌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명령을 내린 것이었지만, 오전 내내 제 식지의 기이함을 자랑하던 공자 송으로서는 크나큰 모욕이자 수치가 되었다.

큰 모욕감을 느낀 공자 송은 솥으로 달려가 집게손가락을 자라국에 집어넣었다가 빨고는 “이렇게 먹었으니 내 예측이 맞지 않는단 말이오?”라고 영공에게 항변하고는 퇴청한다. 이 일로 인해 공자 송은 영공에게 반감과 복수심을 품게 된다. 영공 또한 장난 삼아 한 행동에 지 잘못을 생각지도 않고 오히려 적반하장으로 왕인 자기 앞에 불손하게 과민반응하는 공자 송의 속이 좁음을 욕하고 공자 송을 죽이기로 한다.

이렇게 공자 송과 영공 간의 사이가 악화되자, 기어이 공자 송은 자기가 죽기 전에 먼저 영공을 죽이기로 마음을 먹는다. 공자 송은 귀생을 협박하여 귀생이 자신에게 협력하도록 종용했다. 심성이 약한 귀생은 공자 송의 협박에 굴복했고, 공자 송은 장정들을 여럿 모아 영공을 죽일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그해 가을 영공이 태묘(太廟)에서 제사를 지내고 재실(齋室)에서 잠을 자자, 공자 송은 그날 밤에 장정들을 시켜 무거운 흙가마니로 영공을 내리눌려 죽이게 했다. 영공은 다친 곳 하나 없이 그대로 압사당하고 말았다.

공자춘추에서 귀생이 정나라의 실권을 잡고 있음에도 심성이 약해 공자 송을 막지 못했음에 주목하여, 집권자의 책임이 무거움을 강조하기 위해 이 일을 다음과 같이 논술했다.
鄭公子歸生弑其君夷
정공자귀생시기군이
"정나라 공자 귀생이 그 임금 이(夷;영공의 휘)를 죽였도다."

물론 임금을 시해한 범인인 공자 송의 말로도 좋지 않아서, 초(楚)나라 군사가 영수 북쪽까지 쳐들어왔을 때 다른 공자 거질(去疾)이 부린 나졸에 잡혀 수차례 찔려 죽었다. 이때 공자 귀생은 이미 죽고 없었으므로, 대신 귀생의 관을 부수고 시체를 토막내며 그 자손을 모조리 국외로 추방했다. 고깃국 한 그릇이 모자란 것 때문에 여러 사람이 피해를 본 것이다.

3. 기타



[1] 손가락 중 첫째는 무지(拇指), 둘째는 식지(食指), 셋째는 중지(中指), 넷째는 무명지(無名指), 다섯째는 소지(小指)라 부른다.[2] 합환 지방에서 나는 귀한 귤. 후일 안자라고도 불리는 제나라의 안영이 초나라에 갔을 때 이 귤을 대접받으며 귤화위지라는 고사성어를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