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20:05:24

신계역

신계역
역명 표기
청년이천선 신계
Singye
新溪 / [ruby(新渓, ruby=シンゲ)]
주소
황해북도 신계군 신계읍
관리역 등급
불명
(평양철도총국 관리)
운영 기관
청년이천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업일
청년이천선 1962년
철도거리표
평산 방면
침 교
← 8.1 ㎞
청년이천선
신 계
세포청년 방면
정 봉
13.2 ㎞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청년이천선의 철도역, 황해북도 신계군 신계읍 소재.

2. 역 정보

침교역이나 기탄역처럼 농경지도 꽤 넓게 펼쳐져 있다. 남북통일이 되어 청년이천선을 개량한다 해도 화물철도나 여객철도로 굉장히 중요한 역이 될 듯. 승강장 길이는 약 250m 정도 된다. 구글 어스에서 이 지역 화질이 좀 떨어지는 고로 세밀한 정보는 알기 어렵다.

3. 역 주변 정보

신계읍은 동쪽으로 마산리, 동북쪽으로 능수리, 남동쪽으로 백곡리, 남쪽은 침교리, 서쪽은 구락리, 북쪽은 지석리에 둘러싸여 있다. 1952년에 향교리, 회동리, 성북리를 통합해서 신계면을 폐지하고 신계읍을 설치했다. 1967년에 능수리 일부를 흡수하면서 현재에 이른다.

이 지역은 8.15 광복이전까지는 자그마한 농촌부락에 불과했으나, 6.25 전쟁을 거치고 청년이천선 철도가 부설되면서 흥하게 되었다.

실제로 신계역 앞에만 약 100여 호가 다닥다닥 밀집해 있으며, 2급도로(1차선)를 타고 3km 정도만 북쪽으로 올라가면 신계읍 시가지가 나온다. 그리고 그 중심지는 굉장히 크다.[1] 참으로 상전벽해의 상황.

신계읍의 특산물은 방석, 돗자리 등 초물제품이라고 한다. 북한 내에서도 유명하다는 듯. 그래서 이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공장도 있다는 모양. 하지만 이 역의 규모는 1면 2선(섬식 승강장)밖에 안 되는데? 화물을 이 역에서 받지는 않는지 규모가 상당히 작다. 뭐 그래도 화물은 받을 수 있겠지만, 그냥 도로를 쓰는 모양.

4. 둘러보기

청년이천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1] 민가만 있는 부분을 따로 찢어 모아서 놓고 보면 그렇게 크지는 않지만, 밀집도가 높지 않아서 민가 밀집지역이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는 덕분에 크기가 커 보이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