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8:40:50

심술꾸러기의 저주


1. 개요

유희왕함정 카드.

2. 설명

2.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파일:ReverseTrap-DM2-JP-VG.png
한글판 명칭 심술꾸러기의 저주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あまのじゃくの[ruby(呪, ruby=のろ)]い
영어판 명칭 Reverse Trap
함정
파워업 카드의 효과를 역전시켜, 파워다운시키는 카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상대가 파워 강화형 마법을 발동했을 때에 강제 발동되며, 그 강화를 반대로 약체화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발동 타이밍상 1장에만 효력이 미치지만,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은 우수하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지속 함정이 되었으며, 필드 전체에 영향을 계속 끼치기 때문에 위력이 더 강해졌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card10004207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심술꾸러기의 저주,
일어판명칭=あまのじゃくの<ruby>呪<rp>(</rp><rt>のろ</rt><rp>)</rp></ruby>い,
영어판명칭=Reverse Trap,
효과1=①: 이 턴 중에\, 공격력 / 수비력의 증감 효과는 반대가 된다.)]

발동 턴 종료시까지 공수의 증가 감소를 역전시키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예를 들어 몬스터에게 유성의 활-실을 장착했을 경우, 공격력 1000이 감소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증가한다.

이 카드의 효과 적용 중에는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이나 아르카나 포스 EX-빛의 통치자의 코인 토스 뒷면 효과 등이 1턴에 1번밖에 발동 못하게 되는 특수 재정이 적용된다. 이게 없을 경우, 심술꾸러기의 저주를 먼저 발동해놓은 다음 라이다를 소환하고[1] 프로미넌스 드래곤처럼 발동이 무효화되어도 다시 발동을 시도할 수 있는 효과를 계속 사용하여 공격력이 500씩 무한히 올라가버린다.

그리고 어디까지나 증감 효과만 역전시키고 "자기가 직접 능력치를 변화시키는" 효과가 아니기 때문에 데미지 스텝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따라서 데미지 스텝 동안 컴뱃 트릭에 대항하여 체인 발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주의.

단순히 쓰자면 단결의 힘이나 마도사의 힘같은 카드로 공격력을 증폭시켜 공격해오는 상대에게 카운터를 치거나, 스팀로이드X-세이버 가라해드, 웨더링솔저 같이 공격력이 내려가는 디메리트를 가진 몬스터와 함께 써서 깜짝 딜을 넣을 수 있다.

좀 더 강력한 사용법은 위에 예시로 나온 직접 공격이 가능해지지만 공격력이 1000 내려가는 유성의 활-실과 함께 공격력을 내려주는 효과를 팍팍 쓴 다음 심술꾸러기의 저주로 순식간에 공격력을 증폭, 원턴킬을 노리는 방법이 있다. 필요한 카드 수가 많은 게 문제라 예능 덱이지만. 혹시 유희왕에 공격력 4000~5000쯤 되고 자체 디메리트로 공격력이 팍팍 내려가는 몬스터가 나온다면야 좀 실전성이 생길 것이다.[2]

참고로 심술꾸러기의 저주로 변경할 수 있는 건 공수의 +/- 뿐이다. 거대화수축 처럼 '2배'나 '절반' 효과를 서로 반대로 바꾸지는 못한다.[3] 진화하는 인류처럼 "2400이 된다"라는 식으로 증감 상관 없이 능력치를 변동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

그런데 DDD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처럼 조건을 만족하면 공격력이 3000 증가하는 식으로 원래 공격력만큼 증가하여 사실상 배가 되는 몇몇 카드들은 그 자체로는 심술꾸러기의 저주가 통하지만 수축 등으로 절반으로 만들어버린 다음 심술꾸러기의 저주를 쓰면 공격력 변동이 일어나지 않으니 주의.

그리고 어디까지나 능력치의 증감을 변경할 뿐 몬스터에게 직접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가 아니다. 때문에 효과 내성이 있는 카드들도 영향을 받는다.

또 추가로, 한 턴에 두 번 발동한다고 해서 역전이 다시 역전되어 원래대로 돌아가지는 않는다. 그냥 역전 한 번만 되고 끝이다.

여기까지 보면 특이한 효과이긴 해도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기에 효과 처리가 그리 어렵지 않아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실제로는 재정이 상당히 꼬인 카드라서 몇몇 상황들의 효과 처리에 대한 이야기가 상당히 복잡하다.
2021/2/20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나온 퀴즈 챌린지 1번 문제.[4]

공격력 / 수비력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과 동시에 적용되는 효과의 경우, 이 카드의 효과가 적용되어있으면 공수 증감 뒤에 동시에 처리되는 효과의 적용이 불발된다. 공격력 / 수비력을 올리거나 내려서 적용되는 효과인데, 이 카드의 효과가 적용되어있으면 올라가지 않고 내려가거나, 내려가지 않고 올라가기 때문. 쉽게 말해, 효과 내용이 "A하고 B를 한다."이면 A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니 B 또한 처리되지 못한다는 것. 예를 들어 고고고 골렘-GF의 상대 필드 위에서 몬스터 효과가 발동되면 강제적으로 공격력을 1500 포인트 내려서 그 효과를 무효화할 수 있는 효과의 경우, 심술꾸러기의 저주의 효과가 적용되어있으면 공격력이 1500 포인트 올라갈 뿐, 그 뒤에 처리되어야 할 효과 무효화는 적용되지 않는다.

문제는 위의 논리는 일관성이 없다. 금지된 성배, 금지된 성의, 금지된 성창은 예외적으로 공수 증감 효과가 역전되어 적용되어도 동시 처리는 문제없이 진행된다. 왜냐하면 고고고 골렘-GF은 따로 안 된다는 코나미의 답변이 있기 때문. 고고고 골렘-GF와 마찬가지로 답변이 있는 BF-격진의 아브로오로스, 성검 아론다이트, 다크엔드 드래곤, 타락천사 디자이어 또한 동시 처리가 이뤄지지 않는다. 하지만 성배, 성의, 성창은 관련 답변이 없어서 그런지 위의 논리가 적용되지 않는다. 성배를 걸면 멀쩡히 효과가 무효화되고, 성창을 걸면 멀쩡히 마함 효과를 받지 않게 되며, 성의를 걸면 파괴 내성 + 대상 내성을 얻는다. 동시 처리가 멀쩡히 이뤄지는 것이다. 당연하지만 텍스트 상으로는 이를 절대로 구별할 수가 없다.

또한, 아머드 사이버언의 경우, 고고고 골렘-GF와 마찬가지로 동시 처리가 안 된다는 답변이 오긴 했으나, 동시에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이 1000 미만일 경우, 공격력을 1000 내려야 하는 효과는 발동할 수 없다는 답변이 왔다. 예를 들어 사이버 드래곤 코어에게 장착시키면 코어의 공격력은 400이니, 설령 결과적으로 심술꾸러기의 저주 효과에 의해 증감이 역전된다고 할지라도 아예 발동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이야기. 하지만 갤럭시 나이트의 경우, 모종의 이유로 공격력이 1000 미만이 됐어도 공격력을 1000 내리고 묘지의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답변이 왔다. 텍스트 상 차이가 없는데도 처리 방식에 대해선 다른 답변이 나온 것.

심술꾸러기의 저주의 괴상한 효과 처리에 대한 설명과 재정 모음에 관한 건 이 글을 참고. "이해가 안 되신다면 그냥 넘어가주셔도 됩니다 설마 대회에서 이런 카드를 만나겠어요?"라고 말하는 글쓴이의 설명이 압권이다.[5]

유희왕 ARC-V에선 같은 모티브의 마계대본-아마노자쿠가 등장했다. 디자인 또한 이 카드의 복장에 마계극단 마크를 붙인 것.

여담으로 포켓몬스터에도 이 카드의 효과와 유사하게 스텟증감이 반대로 적용되는 특성심술꾸러기가 있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1999-07-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Booster 3
1999-12-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EX
2000-09-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2-42 | Booster R2
2000-11-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X-45 | EX-R [ 二人対戦用構築済みデッキセット ]
2007-04-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01-JP011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1
2024-02-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EX 復刻版 - 遊戯デッキ -
2024-02-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EX 復刻版 - 海馬デッキ -
2002-03-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Y-047 | STARTER DECK YUGI
2002-03-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K-047 | STARTER DECK KAIBA
2003-03-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J-050 | STARTER DECK JOEY
2013-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02-EN169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2003-12-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Y-K047 | 스타터 덱 - 유희 편 -
2003-12-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K-K047 | 스타터 덱 - 카이바 편 -
2004-08-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J-KR050 | 스타터 덱 - 조이 편 -
2008-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01-KR011 | 토너먼트 팩 2008 Vol.1

[1] 나중에 발동하면 안된다. 그러면 라이다가 심술꾸러기의 저주의 효과를 무효로 하기 때문.[2] 다만 심술꾸러기의 저주가 함정이라 키카드를 모아도 1턴 딜레이가 있다는 게 흠.[3] 그게 되었다면 유성의 활-실이랑 수축 두 장 정도만 있으면 공격력 1000인 몬스터 하나만 소환해도 원턴킬이 되었을 것이다.[4] 참고로 해당 문제는 그동안 버그라서 재정과 다르게 적용됐던 것을 고친 것과 동시에 홍보하듯이 퀴즈로 출시한 것이다. 그 전까지는 심술꾸러기의 저주의 효과가 적용된 상태든 뭐든 고고고 골렘-GF의 효과는 동시 처리로 멀쩡히 이뤄졌다. 이 때문에 당시 업데이트를 하지 않고 실행하면 버그를 이용해 쉽게 깰 수 있었다.[5] 실제로도 이런 '복잡한 재정을 만드는 카드'나 '재정이 꼬이게 만드는 카드' 대부분은 비실전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대회 같은 곳에서는 정말로 보기 드물다. 당장 그 유명한 폴 포지션이 루프를 만드는 사례들도 작정하고 루프를 만들기 위해 판을 깔아줘야 나오는 것이지 일반적인 게임이라면 사실상 보는 것이 불가능한 필드들이 대다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