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2:09:43

썸퍼(Lethal Company)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ethal Company/생명체
파일:Lethal_Company_test.webp
함선 · 위성 · 기상 · 상점
폐기물 · 생명체 · 함정 · 시거드의 로그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colbgcolor=#202124><colcolor=#39db33> Thumper
썸퍼/덤퍼[1]
파일:Thumperrender.webp
능력치
활동 장소 시설 내부
레이더 크기 중간
최대 스폰 수량 4
처치 가능 여부 삽: 4대
샷건: 1방
스턴 가능 여부 가능
공격력 40 (DPS 120)
문 여는 속도 느림/매우 빠름[2]
1. 개요2. 특징3. 공략 및 대처법4. 설정5. 기타

[clearfix]

1. 개요

Lethal Company의 등장 생물.

2. 특징

매우 빠르고 공격적인 이족 보행형 연골어류. 스폰되면 커다란 덩치로 쿵쿵거리는 소리를 내면서 돌아다니며 문을 부수고 쫓아올 수 있어, 정보가 없이 시작하는 초보자들의 심장마비를 유발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소리를 듣지 못하고 오로지 시각에만 의존해 플레이어를 추적한다. 다만 썸퍼가 쿵쿵거리는 소리가 워낙 커서 미리 소리를 듣고 피하기 쉬우며 시력은 좋으나 시야각이 매우 좁아 거의 정면만 볼 수 있다는 약점이 있다.[3]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괴성을 지른 뒤에 가속하기 시작하는데, 처음에는 플레이어보다 느리지만 시간이 지나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쫓아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엄청난 속도랑 무게로 문에 그냥 들이박아서 강제로 열어버리기[4] 때문에 문을 닫으면 낑낑거리는 코일헤드와 달리 문을 닫는걸로 시간을 버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진다.

공격력이 40이고 초당 3번 공격하므로 이론상 1초만에 플레이어가 끔살당해야 정상이지만, 썸퍼는 플레이어와 겹쳐져 있어야 공격이 가능하고, 공격 시 가속이 끝나며, 피격당한 플레이어는 약간 밀쳐지기 때문에 실전에선 0.5~1초마다 한 대씩 맞게 되어 대처할 시간은 넉넉하다.

3. 공략 및 대처법

가속의 특성 탓에 일반적으로 달려서 도망가는 건 거의 불가능하며, 삽과 같은 대응수단이 있다면 들켰을 때 도망가는 것보다 썸퍼가 있는 곳으로 달려가는 게 오히려 더 생존확률이 높아진다. 공격하거나, 코너를 돌거나, 공격을 받게 되면 가속이 초기화되므로 멀리서 오는 것을 기다리는 것보다 먼저 가서 때리는 편이 더 대응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발소리도 커서 썸퍼의 위치를 대강 파악할 수 있다. 그렇기에 브래컨처럼 조용히 다가와서 목을 따버리는 몹에 비하면 미리 대처하기 쉬운 편이다.

썸퍼가 플레이어를 공격한 경우, 커브를 틀거나 급회전을 한 경우엔 가속이 끝나며 다시 가속하기까지 시간이 있어 썸퍼 주위를 둥글게 둘거나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공격하면 쉽게 잡을 수 있다. 또한 삽으로 한 대 때리면 썸퍼가 잠시 스턴에 걸리므로 일단 때리는 데 성공했다면 썸퍼 주위를 둥글게 돌거나 카이팅으로 잡으면 된다.

특이하게도 히트박스가 공격하는 머리가 아닌, 상체의 끝부터 배 쪽에 위치한 탓에 삽이 애매하게 안맞는 경우는 삽의 사정거리보다 먼 거리에서 때린 즉, 너무 빨리 때렸거나 정면을 보고 때린 경우에 속한다. 따라서 썸퍼를 잡을 땐 살짝 45° 정도 아래를 쳐다보고 때리면 쉽게 때릴 수 있다.

4. 설정

시거드의 위험 수준: 70%

학명: Pistris-saevus

썸퍼는 연골어류목에 속하는 매우 공격적인 육식성 생물입니다. 썸퍼의 뼈대는 연골로 되어 있어서 신축성 있고 고무처럼 부드러운 신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썸퍼의 이름은 부화한 알의 껍질을 벗어나기 위해 뒷다리를 뜯어먹는 것에서 비롯되었는데, 그로 인해 뒷다리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합니다. 썸퍼의 팔, 즉 앞다리는 매우 튼튼하여 사냥감을 짓밟는 것에도 사용됩니다. 직선 지형에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최상위 포식자에 위치한 끈질기고 위험한 포식자입니다.

썸퍼의 주요 약점은 낮은 지능과 청력 부족으로, 만약 당신이 썸퍼를 만난다면, 살아남는 방법은 바로 썸퍼의 시야에서 벗어나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방향전환 속도가 느려 모퉁이 같은 지형에선 사냥감을 쉽게 추적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썸퍼를 마주쳤다면 시야에서 벗어나는 것이 최선의 선택입니다.

이 종의 불안정하고 빠른 진화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이들이 엉겅퀴 성운 주변 행성에서 종 분화율이 높은 돌연변이 증가의 사례 중 하나라는 이론을 세웠습니다.
생명체 도감
썸퍼의 하반신이 찢겨져 있는 이유는 태어날 때 자기 다리를 뜯어내서 팔로만 움직이기 때문으로, 그 때문에 앞다리가 매우 튼튼하게 진화했다. 또한 엉겅퀴 성운 내에선 실내 최상위 포식자에 종 분화율이 높은 편이라고 한다.

연골어류 중에서는 특이하게도 유일하게 지상에 적응한 생명체인데, 연골어류 중에선 상어에 속하는지 치열이 상어와 상당히 유사한 형태로 되어있고, 두상 또한 상어와 유사한 형태를 가졌다.

주요 약점은 낮은 지능, 청력 부족이다. 설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상어와는 다르게 썸퍼의 지능은 대략 대상 영속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보인다. 또한 청력이 낮다는 설명에 따라 인게임에서 플레이어가 내는 소리는 감지 못하도록 설정된 듯 하다.

상기한 특징들 때문에 썸퍼가 돌연변이일 수 있다고 추정하는 일부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5. 기타


[1] Thump는 쿵, 쾅 등의 세게 치는 듯한 둔탁한 소리를 뜻한다. 직역하자면 쿵쿵 거리는 것. 한국식으로 번안해보자면 쿵쿵이, 쿵쾅이 쯤 될듯.[2] 가속을 시작하여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문을 들이박아서 열며, 이 때는 문을 여는 소리가 아니라 문을 부시는 폭음이 들린다.[3] 어느 정도의 시야각이냐면 문 바로 옆 공간 뒤편에 숨으면 문을 열거나 그쪽으로 통과해도 플레이어를 보지 못하고 배회하기만 한다. 그 때문에 사방에 복도가 가득한 지형으로 도망치면 마지막으로 플레이어를 발견한 위치만을 배회하여 따돌릴 수 있다.[4] 하지만 가끔 문에 혼자 껴서 가속을 받다가 갑자기 돌진할수 있으니 어딘가에 꼈다면 구경하지 말고 도망치자.[5] 영어 발음을 한국어로 옮길 때에는 쌍시옷을 사용하지 않는데, 그렇게 하면 실제 발음과 한글 표기간의 괴리가 커지기에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섬네일'이 맞지만 '썸네일'의 사용 빈도가 상당히 높은 경우와 마찬가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9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9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